처음 처음 | 이전 이전 | 1 | 2 | 3 | 4 |다음 다음 | 마지막 마지막
꼬마 꾸뻬, 인생을 배우다 열림원 꾸뻬 씨의 치유 여행 시리즈
프랑수아 를로르 지음, 강미란 옮김 / 열림원 / 2009년 12월
평점 :
품절


<아기 성장 보고서>에서 신생아가 의료진의 손가락을 꼭 붙들고 매달려서 떨어지지 않는 사진을 보고 놀란 적이 있다. 그 악력, 손으로 꽉 움켜쥐는 악력이 칡등처럼 질기디 질긴 생명의 힘이라고 또다른 어딘가에서 읽은 적이 있다. 생명은 본능적으로 강인하고 이기적이다.

그래서 일견 아이는 스스로 자란다는 말이 맞다. 일본에서 기적의 사과를 길러낸 농부 할아버지가 “사과는 사과나무가 키우는 것이지요. 저는 응원할 뿐입니다”라는 말이 맞다. 자라는 건 아이가 한다. 부모는 아이가 잘 자라도록 응원하고 서포트하는 충실한 헬퍼에 머물러야 한다.

그리고 부모가 해야할 최고의 응원이란 바로 이런 것이다.

“그래도 혹시 친구를 위해 속이는 일을 피할 수 없다면
그떄 가장 중요한 건 잡히지 않는 거란다." 

‘이걸까 저걸까’ 아리송다리송한 세상 일들에 대한 현명한 조언자, 멘토. 저렇게 말해주는 아빠는 얼마나 멋진가! 
 

“친구를 속이는 건 나빠. 절대 안 돼!” 라고 해버리면 그 중간에 서서 고민해야 할 미래의 수많은 기로에서 아이는 자신을 책망하고 결국은 자포자기의 심정으로 “비뚤어져 버릴테닷!” 하고 편안하게 그릇된 길로 들어설 수도 있다. 올바르고 싶은 착한 마음에서 말이다. “난 그렇게 가르치지 않았다”고 억울해하는 부모들 많이 봤다. 아이에게 생선 자르는 칼 하나 주고 사과를 토끼 모양으로 깎아내지 않았다고 분노하는 것과 다르지 않다. 투박한 걸 주면 투박하게 자란다. 섬세하고 다양하게 주면 섬세하고 다양하게 자란다.

중요한 건 눈이고 시선이고 대화다. 꼬마 꾸뻬(마저도 부모와 상의하지 못할 일로 끙끙대는 경우가 많지만 그래도 비교적 무난하게 아이)는 엄마 아빠에게 마음을 열고 묻고 듣는다. 그때마다 제 이야기를 귀찮다고 구겨진 이마로 듣거나 성의없이 대답하지 않고, 때론 의견이 부딪치더라도 성의있게 들어주고 고민해주는 부모님이기 때문이다.

그래서 나는 이 책을 특별한 어떤 교훈을 주는 책이라기보다는 가정 안에서 대화가 이루어지는 바람직한 롤모델로 보았다. MBC에서 파랑새 특강인가에서 김미경 대표가 강의를 하면서 실제 각 가정에서 이루어지는 대화들을 모니터하고 실험했는데, 정말 쳇바퀴 돌듯한 대화만 이루어졌다. 단 3마디 만에 대화가 끊겼고 쑥스럽다는 이유로 곧바로 예전의 나쁜 반응들, 책망하는 리액션(‘근데 왜 엄마한테 말 안 했어?’‘아빠가 언제 그랬냐?’‘네가 잘하는데도 엄마아빠가 이러든?’)으로 넘어가버렸다. 세상에서 가장 모르고 가장 서툰 것이 어쩌면 부모들이 아이와 하는 대화일지도 모른다.

<우리 아이가 달라졌어요><양육 쇼크><딥스>... 가만 보면 다 부모 자녀간의 올바른 대화방식 부재를 지적하고 가이드하고 있다. 꾸뻬 씨네가 좋은 롤모델이 될 듯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너는 모른다
정이현 지음 / 문학동네 / 2009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인터넷연재소설, 다작 속에 걸작이 탄생한다는 의미에서는 반기지만 불발탄도 많은 듯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중고] 지구 위의 작업실
김갑수 지음, 김상민 그림, 김선규 사진 / 푸른숲 / 2009년 6월
평점 :
판매완료


[명탐정코난]아가사박사만작업실필요한건아니잖아요ㅎ 자의식으로부터자유로울공간!!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바쿠만 BAKUMAN 2 - 초콜릿과 아카마루
오바 츠구미 지음, 오바타 다케시 그림 / 대원씨아이(만화) / 2009년 5월
평점 :
구판절판


놓치는소재없는 촘촘한일본만화의상상력 흥미롭게읽어나가는중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에펠탑 없는 파리 - 프랑스 파리 뒷골목 이야기
신이현 글 사진 / 랜덤하우스코리아 / 2008년 6월
평점 :
품절


1장을 못 벗어나고 몇 달을 처박아두었다가, 다시 읽는데도 처음에 막힌다. 꾹 참고 조금 읽어서 익숙해지니 중반 이후로는 편안하게 글을 즐길 수 있게 되었다. 우리가 서울에 대해 '여의도 옆의 밤섬-' 혹은 '마포대교 말고 잠실대교까지 내려와서' 이런 식으로 말할 때 서로 지명에 대해 알고 있다고 생각하듯이, 신이현 작가는 파리에 사는 사람들에게 말하듯이 술술 말했기 때문인 것 같다. 얼마전에 수원 사람이 '코끼리 분식 옆길로 빠져서' 어쩌고 하는데 수원 출신들은 다 알아듣고 나만 암호처럼 들었던 것처럼. 그런 점에 익숙해지니 잡지 칼럼이나 에세이 읽듯 편안하게 읽힌다. 하기야 앞골목이 훤해야 뒷골목까지 관심이 가는 걸거다. 파리를 편안하게 추억하고 싶은 사람들은 한 번씩 읽어봐도 좋겠다.  

서울에 대해서도 이렇게 편안한 에세이가 나오면 좋겠다는 생각이 들었다. 아직까지 나온 것들은 누구 명사의 가택이 어쩌구 고종황제 때 어쩌구 하는 식으로 역사의 무게가 무거운 편인 듯하다. 좀더 캐주얼한 이야기들을 들려주는 서울 뒷골목 책을 기다려본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처음 처음 | 이전 이전 | 1 | 2 | 3 | 4 |다음 다음 | 마지막 마지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