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공중그네 ㅣ 오늘의 일본문학 2
오쿠다 히데오 지음, 이영미 옮김 / 은행나무 / 2005년 1월
평점 :
"못말리는 정신과 의사 이라부가 퍼뜨리는 요절복통 행복 바이러스"라는 선전 문구는 부적절하게 보인다
오히려 나에게는 읽으려다가도 망설여지는 부분이었다
그런 일은 없었다, 배를 잡고 웃는다는 그런 건.
술술 읽힌 만큼 가벼운 이야기 속에 가벼운듯 무거운듯 담겨진
누구나 담고 사는 고민과 그에 대한 이라부의 인생지침이랄까
그건 참 매력적이었다
-여지껏 잘 해왔던 일이 갑자기 한데 엉켜서 막막해지기만 하는 경우[이유가 무엇이든,
야쿠자의 선단공포증이든, 작가의 강박증이든, 공중그네이든]
-내 잘못을 깨닫지 못하고 어느 순간 주위 사람들이 다 나를 미워하는 것만 같고
외톨이가 된 기분이 들 때
-어느 순간, 살다보니 움츠러든, 다른 누구도 아닌 내 이야기
-나보다 어떤 사람이 많은 주목을 받는 것이 질투나고, 두려운 것[그가 출중하거나 하지 않거나]
그들이 야쿠자나 서커스단원이나 야구 선수나 작가, 의사 라서가 아니라 인간이라서 느끼는
너무 당연한 감정이기에 나에게도 스쳐지나갔음이 분명한, 그런데 적나라한
그래서 더 끌리는 그런 이야기.
그것에 대해,
무심한듯보이다가 어느순간, 이런거 아니야? 하는 이라부의 한마디. 당돌함, 뻔뻔함.
무엇보다도 즐겁게 사는 법을 알려준다
현실에 있다면, 이라부에게 고운 시선이 가기는 어렵겠지만 소설 속에 있기에 그는 멋지다
물론 소설이라도, 돈이 많은 집에 병원 수입 걱정이 없다는 현실감 있는 배경이 있긴 하지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