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멸의 작가, 위대한 상상력 - 서머싯 몸이 뽑은 최고의 작가 10명과 그 작품들
서머셋 모옴 지음, 권정관 옮김 / 개마고원 / 2008년 1월
평점 :
절판


 

 

거장이 전해주는 고전독법과 연예가 중계
 

 

 

읽기가 만만찮은 500여 페이지에 달하는 평론집이다..

하지만 지은이가 비평가가 아닌 작가란 점에서 색다른 평론집이라 하겠다..

그 작가는 다름 아닌 '달과 6펜스' , '인간의 굴레'등을 썼던 바로 서머싯 몸이란 사실에 눈길이 간다..

그런 거장이 전해주는 고전독법과 문학사적으로 손꼽히는 열편의 작품이란 소개글에 설레는 마음으로 책장을 펼쳤다..

 

 

필자에게 있어 고전 읽기란 항상 어려움으로 다가왔었다..

고전사상서들은 물론이거니와 고전 소설들 까지도..

 

 

하지만 본인이 다시금 독서에 취미를 붙이기 시작했을 무렵 가장 먼저 샀던 책들이..

바로 학창시절 익히 보았던 세계문학전집과 같은 고전 소설들이었다..

세군데 출판사에서 출판된 세계문학전집들을 서로 비교해 보고 여기 저기서 한작품 한작품씩 사모은 책들만 이제 백여권이 넘어갈 정도이니 고전 소설에 관한 필자의 애정은 꽤나 각별하다 할 수 있겠는데..

 

이 작품들이 보면 볼수록 어릴적 봤을때 처럼 전반적으로 그렇게 쉽게 읽혀지지가 않는다..

그도 그럴것이 학생들을 상대로 한 책이랑 성인들을 상대로 출판된 책이 당연히 난이도가 다를테니..

물론 괴테의 '젊은 베르테르의 슬픔' , 스탕달의 '적과 흑' 같은 작품들처럼 다시 읽고 또 읽어도 여전히 흥미로운 고전들이 있기는 하나 대부분이 솔직히 지루한 편이라는 생각이 들었더랬다..

알베르 까뮈의 '이방인'은 여전히 뭔소리인지 모르겠고..

제인 오스틴의 '오만과 편견'의 밀고 당기기는 여전히 질질 끌기만하는 느낌이었다..

 

 

그때 난 생각했다..

 

아.. 나의 고전독법에 무슨 문제가 있는거구나라고..

 

그래도 책장 가득 빽빽히 꽂혀있는 세계문학전집들은 죽기전에 반드시 토씨하나 빼놓지 않고 다 읽어야할 영원한 숙제였고..

언젠가는 넘어서야 할 '운명'같은 그것이었다..

 

 

사람들은 누구나 다 그러한게 있지 않겠는가..

바라 보기만 해도 배부른것들 말이다..

오물오물 자기 새끼 입으로 들어가는 음식물을 흐뭇하게 바라볼때나..

예쁜 여자친구의 종달새처럼 재잘거리는 입술을 사랑스럽게 바라볼때나..

내게 있어 세계문학전집은 그렇게 바라보기만 해도 배부른 그런것들 이었다..

 

 

그렇게 날이 지날수록 점차 그 지루함에 꺼내보는 횟수가 줄어만가고..

스피디하고 트랜디한 요즘 소설들에만 눈길이 가던 요즈음..

그 책들이 그저 바라보기만 해도 배부른 그런 전시용으로 전락되어갈 무렵..

이 책을 통해 전해 온 서머싯 몸의 고전독법은 개인적으로 무척 많은 위로가 되었던듯 하다..

 

 

이 책의 첫 장에는 그런 서머싯 몸의 소설 읽기에 관한 정의가 나온다..

한마디로 표현하면 바로 이것이다..

 


'소설은 즐기는 것이다!!'

 


이 얼마나 명쾌한 한마디인가..

 

 

자고로 '소설'이란 재미있어야 하고 독자는 그것을 즐기기만 하면 되는것이다..

어떤 지식을 전달해 주려 하거나 또 소설을 통하여 어떤 지식을 습득하려 하는것도 부질없는 짓이란것이 서머싯 몸의 주장이고..

이는 필자도 백배 공감하는 이야기이다..

 

그러면서 서머싯 몸이 제시하는 독법은 꽤나 파격적인 '건너뛰어 읽기'란 방법이었다..

예를들어 세르반테스의 '돈키호테'는 누구나 다 인정하는 걸작이다..

하지만 '돈키호테'의 그 방대한 이야기 중에는 분명 안 읽고 대충 넘어가도 크게 지장이 없는 지루한 부분이 존재한다는 이야기였다..

실제로 필자는 작년에 서점에 들렸다가 가장 완벽한 번역본이라는 돈키호테를 사온적이 있는데..

무려 730여 페이지에 달하는 분량을 보고..

아니 돈키호테가 이렇게 두꺼운 책이었나라고 놀랬던 적이 있었다..

 

그러니까 이 '돈키호테'를 한번쯤은 통독해야할 필요는 있지만 다시 볼 때엔 대충 건너뛰며 재미있는 부분만 골라봐도 상관 없다는 얘기가 되겠다..

 


서머싯 몸은 말한다..

 

소설을 즐겨라고..

 

그리고 그 책의 비평가는 독자 스스로 바로 당신이 되어라고 말이다..

 

 

 

참으로 명쾌하고 위로가 되는 이야기가 아니었나 싶다..

 

 

 

본론으로 들어가서..

 

서머싯 몸이 선정한 열편의 작품은 다음과 같다..

 

헨리 필딩의 '톰 존스' , 제인 오스틴의 '오만과 편견' , 스탕달의 '적과 흑' , 발자크의 '고리오 영감' , 찰스 디킨스의 '데이비드 코퍼필드' , 플로베르의 '보바리 부인' , 허먼 멜빌의 '모비 딕' , 에밀리 브론테의 '폭풍의 언덕' , 도스토예프스키의 '카라마조프 가의 형제들' , 톨스토이의 '전쟁과 평화'

 

약간은 생소한 '톰 존스'를 제외하곤 거의다가 한 번씩은 읽어 봤거나 책장에 곱게 꽂혀있는 책들일 것이다..

서머싯 몸은 이 열편을 선정하는데 어느 특정한 시대나 특정한 지역 또는 집단을 막론하고 어느 시대 어느 지역 어느 집단에서나 보편적으로 명작으로 통할 수 있는 그러한것에 촛점을 맞추었고 또한 그러는 것이 진정한 명작으로서의 이름을 얻을 수 있다는 생각에서였다고 한다..

 

실제로 200여년이 지난 오늘날에 국내에서도 출판된 어느 출판사의 세계문학전집을 살펴보아도 항상 앞자리에 자랑스럽게 그 한자리를 차지하고 있는 작품들이니 그 명작으로서의 가치는 의심의 여지가 없다 할 수 있겠다..

 

 

하지만 개인적으로 이 평론집에 기대했던 사항은 위와같은 명작들을 읽음에 있어서 우리가 어느 부분에 주안점을 두고 어떠한 시각으로 다가가 그 숨겨진 의미를 보다 이해하기 쉽게 전해주었으면 하는 사항들이었는데..

 

각각의 작품을 설명함에 있어 서머싯 몸은 저런걸 어떻게 다 알아냈을까 싶을 정도로 소소한 작가들의 사적인 이야기를 들려주는데만 많은 지면을 할애하고 있고 정작 책에 관한 설명에서는 작가가 이러이러한 과거를 겪었으니 그에 유추해본 결과 이 작품은 이러이러한 성향을 뒤게 되었다는식의 설명이 좀 많은편인것 같았다..

 

예를 한가지만 들어보면..

 

'적과 흑'의 주인공인 쥘리앙 소렐은 참으로 매력적인 훈남이다..

그렇게 여자들을 이용해 출세의 야욕을 불태우고 결국은 그걸로 인해 파멸하게 되는것이 '적과 흑'의 주된 스토리인데..

소렐이 만나는 여자들은 하나같이 소렐의 매력에 흠뻑빠져 모든것을 희생하고 생각치도 못한 큰 사건들을 저지른다..

하지만 정작 스탕달 자신은 별로 곱지 못한 외모와 소심한 성격탓에 뭇 여성들에게 매력적인 남자로 보이고 싶었으나 실제로는 전혀 그러질 못했고 그렇게 치장만 열심히 하다 살다간 그런 남자였다고 한다..

그런 훈남이 되고픈 스탕달의 갈망이 소설속의 쥘리앙 소렐을 창조하여 대리 만족을 했던 뭐 그런 얘기가 되겠다..

 

 

물론 문학을 전공하지도 않았고 주위에 문학을 논할 사람도 없는 토목공학을 전공한 문학이랑 전혀 상관없는 플랜트 엔지니어인 필자가 가로늦게 문학에 꽂혀 작가에 대해 알수있는 정보는 책들에 첨부된 작자해설 정도였던 사실에 비추어 보면..

이런 사적인 작가의 이야기들을 접할 수 있는건 무척 흥미로운 사실이긴 하다..

 

하지만 거의 모든 남자 작가들은 왜 하나같이 다들 그렇게 정부를 만드는데만 유난히 집착하는 여성 편력을 보였으며..

적어도 결혼후에는 철저히 정조를 지켜야한다는 다분히 유교적이고 보수적인 결혼관을 지니고 있는 본인으로서는 참 이해가 안되고 보기가 껄끄러운 대목이었다..

 

마치 연예가 중계를 보면서 내가 왜 연예인들의 열애설 따위를 시시콜콜하게 보고앉아 있어야하는 생각이 들었던것 처럼..

 

아무튼 작가 개개인의 신변잡기에 관한 이야기 보다는 책에 관한 이야기에 좀 더 비중을 실어줬으면 더 좋았겠다란 개인적인 아쉬움이 있었다..

 

 

이 책의 마지막장 또한 상당히 흥미로운 이야기가 펼쳐진다..

앞서 거론한 열명의 작가들이 한 자리에 모여있는 상황이다..

마치 어느 파티 석상에 한꺼번에 모여서 그들이 지내는 모습을 가상으로 그려내는데..

각각의 개성이 잘 드러나는 재밌는 풍경이다..

이 장만 읽어도 앞서 구구절절 세세하게 설명해 놓은 작가들의 스타일을 반정도는 쉽게 알아볼 수 있겠다..

 

 

결코 쉽게 술술 읽힐 책은 아니었지만..

곳곳에 흥미로운 요소가 다분하고 무엇보다 책 읽기에 관해 도움이 될 만한 얘기들이 많아서 유용했던것 책같다..

 

 
비록 서머싯 몸의 관점에서 봤을때..

진정 문학만을 생각하며 뛰어난 문장력을 보인 사람을 굳이 한명 꼽아보자면 플로베르 정도였다고 할정도로..

우리가 익히 천재라고 알고 있던 이들조차 크게 뛰어난 문장력을 가지고 있진 않았지만..

 

이 책의 제목처럼..

그들은 '위대한 상상력'이 있었기에..

오늘날 불멸의 작가 거장의 반열에 오를 수 있었나 보다..

 


세상 모든일이 그렇듯 책 읽기에도 정답은 없는것 같다..

 

적어도 소설을 읽을때는 서머싯 몸의 말처럼 그것을 즐기는데 주력하면 보다 즐거운 책 읽기가 될듯싶다..

 

 

시간이 허락하면 가까이두고 틈틈히 꺼내보며..

이 책을 토대로 열편의 명작들을 다시 보는것도 충분히 도움이 될듯하다..

 

 

그리고 그 '위대한 상상력'을 지녔던 '불멸의 작가'들을 만나는 기쁨을 누려보자..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