너의 목소리가 들려
김영하 지음 / 문학동네 / 2012년 2월
평점 :
구판절판


"오로지 태어나는 것만이 죽으니, 탄생은 죽음에 진 빚이다"


지구에는 특별한 목적을 가진 기계들이 있어.

바로 센서야.

감각을 하는 게 그것들의 목적이야.

그런데 고통을 감지하는 센서는 없어.

나는 그렇게 만들어진 것 같아.

아침에 출근하는 사람들이 내 앞을 지나가면 그들의 고통이 내 영혼을 짓눌러.

그들이 지고 가는 삼의 무게로 가슴이 터질 것 같아.

 

뛰지마, 네가 이 우주의 중심이야.(133)


"동물은 죄가 없다. 아니, 죄를 지을 수 조차 없지. 죄를 짓고 고통을 느끼고 용서를 구하는, 그래서 구원에 이르는 게 바로 인간이다."
"죄, 잘못, 인간, 동물. 이런 식으로 모든 것을 구분하는 게 바로 인간이에요. 그러니까 잘난 척을 하는 거예요. 내가 인간이다. 내가 제일 위에 있다. 나는 죄를 안다. 동물은 모른다. 그러니까 우리는 동물은 죽여도 된다. 이런 식이에요." - 아비
83
"동물원에 있는 호랑이를 볼 때하고 비슷한 것 같아. 우리는 서로의 눈을 들여다보지. 그리고 아주 잠깐 동안 서로 이해하고 있는 것 같은 기분이 들기도 해. 그렇지만 호랑이가 몸을 돌려 사라지면 그런 일은 아예 일어나지 않았던 것 같기도 하잖아. 너, 어떤 애 인지 아직 잘 모르겠지만, 아까 잠깐 그런 기분이 들었어." - 아비
138
"아메리카 인디언들은 나무를 베기 전에 나뭬게 용서를 구했대. 그들은 나무가 사라진다는 것이 뭘 의미하는지 알았던 거야. 나무에게 용서를 구함으로써 그들은 나무의 부재를 받아들일 수 있게 돼. 평생 보던 나무를 베어 없앤다는 것은 자기 마음의 일부를 잘라버리는 것과 같아. 그들에겐 화폐가 없었어. 사물과 그들은 직접적으로 맺어져 있었어. 돈을 받고 일을 한다는 의식이 너의 참인식을 가로막았고 그 때문에 너는 큐브를 느낄 수 없었을 거야." - 아비
147
"코끼리를 어릴 때부터 줄에 묶어놓고 키우면 나중에 커서 힘이 생긴 뒤에도 줄만 묶어놓으면 꼼짝을 못 한다는 거야. 자기한테 그런 힘이 있는 줄 모른다는 거지." - 아비
160
용기, 그것은 죽음의 가능성을 일소에 부치는 허세에서 온다. - 아비
57
슬픔에는 마음이 뜨거워지는, 그러니까 서러움에 가까운 감정이 있는가 하면 반대로 마음이 차가워지는, 비애에 가까운 심사도 있다. - hannyyap
134
"뛰지마. 네가 이 우주의 중심이야." - hannyyap

지나간 기억은 외려 생생해지기만하는데, 새로운 경험은 그에 터무니없이 미달한다는 것을 거듭 하여 깨닫게 될 때, 인생은 시시해진다. 나는 너무 일찍 그것을 알아버렸다. 


누가 그랬던가. 인간의 일생이라는 것은 고작해야 과거에 읽은 어떤 소설보다 조금 더 잘 기억이 나는 한권의 책에 지나지 않는다고...


일어날 일은 일어나고야 만다. 


스티븐 디스태블러라는 미국의 조각가는 이런 말을 남겼다. "예술가는 작업하지 않는 고통이 작업의 고통을 넘어서지 않는 한 일하지 않는다. "


사실에서 출발한다고 해서 다 사실은 아니고, 상상에서 시작됐다고 다 허구는 아닌 것이 소설의 세계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