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를 아는 남자 진구 시리즈 2
도진기 지음 / 시공사 / 2012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우선 이 책을 선택한 이유는 작가의 이력 때문에...

작가가 판사로서 나름 전문적인 법적 지식과 경험이 글 속에 녹아있을 것이라는 판단. 이 판단은 어느 정도는 맞았다. 어느 정도...인 이유는 독창성이라기 보다는 한국적이었다는 것...


이 책을 선택한 두 번재 이유.. 주인공이 함정에 빠진 설정..이라고 생각했다는 거...

사실 소설 처음에 주인공이 함정에 빠진 듯 하지만, 풀려나고, 그 이후 3자로서 사건의 주위에 존재하고 있다. 음모나 상황이 주인공을 압박하지도 않고, 그렇기에 주인공이 이 사건 해결에 크게 의지를 가지고 있지 않는 인상이다. 오히려 주변 상황이 주인공에게 관찰 될 수 있도록 다가오는 형국...

좀 더 자세히 풀자면 의지는 있으나, 그것이 독자로 하여금 단편적인 경황에 비추어 거리를 유지하게 한다. 


가장 맘에 들지 않는 것은 그 남자의 살해 동기. 단순 살인자인 여자가 자존감이 센 여자이기 때문에 우리가 전혀 예측할 수 없는 바람둥이 남자를 죽였다...라는 거... 어쩌면 동기는 중요하지 않을 수도 있기에 그냥 넘어갈 수 있지만, 반면에 그 동기가 살인자를 추적하는데 있어 가장 중요한 단서가 되지 않을까? 처음부터 많은 독자들이 부인을 의심하겠지만,(물론 필자도...그랬다)..그리고 그 부인의 아버지도...이런 예상을 보기 좋게 뒤집기에는 설득력이 부족하다고 생각된다. 


하지만, 진구의 행동...특히 살인 현장의 발견 이후...그리고 사람을 대하는 전략적인 심리..

그것은 맘에 들었다. 


퍽치기 속임수는 나름 신선했는데...중간 퍽치기 살인자로 바뀌는 시점은 ...좀 ...맘에 들지 않는다. 진구가 임씨에게 전화를 걸지만, 임씨는 받지 않고...술취한 문경위 뒤로 점점 다가가는 누군가의 시점...문경위가 그냥 퍽치기 당하는 것을 보여주고, 다음날 누군가가 죽었다...그러나 그건 문경위가 아니라..임씨다. ,...너무 쉽게 예측 된다고 생각했을까....? 그렇진 않았을 듯...


오히려 중간에 살짝 들어가는 해미의 시점보다는 우리가 책을 읽는 동안 용의 선상에 올릴 수 있는 다른 인물들의 시점을 통해 트릭을 구성했으면 더 재미있을 듯...특히 살인자 여교수의 시점이 너무 없어...결론이 좀 뜬 금 없다라는 생각이 든다...진구의 시점으로 이루어지는 추리장르지만, 차라리 이런 시점의 전환들이 더 괜찮지 않았을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