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백 블랙 앤 화이트 시리즈 18
미나토 가나에 지음, 김선영 옮김 / 비채 / 2009년 11월
평점 :
구판절판


미나토 가나에의 <속죄>를 읽어보고, 그 매력에 <고백>까지 읽게 되었다. 읽은 순서와는 다르게 <고백>이 처음 쓴 소설이고, <속죄>는 그 후에 쓴 소설이다. 두 소설의 형식은 비슷하다. <고백>은 영화로도 만들어졌고, 현재 한국에서 개봉예정이어서 필자는 개봉을 기다리고 있다. 개인적으로는 읽은 순서에 의한 영향이 없지는 않겠지만,<고백>보다 <속죄>가 더 낫다라고 생각한다. 고백이 밖을 향한다라고 한다면, 속죄는 안을 향하는 소설이다. 고백의 인물들은 타인에게 뭔가를 보여주고 행하려하고, 속죄의 인물들은 타인에게서 받은 무언가때무에 자신의 상황에 부딪히는 소설이다. 속죄는 고백과 비슷해 보이지만, 좀 더 진일보 하였다. 긴 시간의 텀을 이용하는 현재 과거의 방식이 다양한 시점을 이용하면서도 짜임있게 진행되고 있다. 어쩌면 이 긴시간의 틈은 영화로는 메우기가 힘들 것이고, 그래서 고백이 영화로 선택된 것이 아닌가 라는 생각이 든다. 물론 초반의 흡입력있는 설정이나, 사건들이 고백이 영화적인 이유는 있다. 하지만, 고백은 인물의 독백들이 다소 설득력이 떨어진다. 인물들이 보여주는 의식, 그 논리들이 조금은 비약이라는 생각과 함께, 감정적으로 잘 와닿지 않는 것이다. 사건에 전말에 대한 것도 초반에 이미 소진되어 중간은 사건의 진행보다는 인물의 관점만을 보여주려 하기 때문에 지루한 면도 있다. 물론 후반에 다른 사건이 있지만, 그건 생각보다 임펙트가 있지 않다. 이 임펙는트 사건의 반전을 애기하는 것이 아니라, 사건이 주는 이야기의 마지막 정서가 그다지 약하다는 것이다. 아마 인물에게 감정적으로 동조하지 못하기 때문에 이런 결과 생겼을 것이다. 영화가 소설의 이런 부분들을 잘 극복하지 못한다면, 그다지 매력이 없을 것 같다는 생각을 하게 된다. 오히려 속죄의 짜임이는 형식에 고백의 사건들을 접목시키는 시도를 해본다면, 그 시도가 영화적으로 어떻게 변행되었는 가를 흥미롭게 볼 수 있을 것 같다. 그래도 이 <고백>이라는 소설을 어떻게 영화로 만들었는지는 매우 궁금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