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아한 세계 (2disc)
박지영 외, 한재림 / KD미디어(케이디미디어) / 2009년 1월
평점 :
품절


왜 또 조폭영화냐는 물음은 하지 않아도 되겠다. 세계는 ‘해석’하기 나름이니까.

송강호의 연기는 영화 전체에서 빛을 발하고, 조폭 영화에 단골로 등장하는 우리의 주연급 조연배우들 역시

영화의 수준을 유지하는 데 큰 힘이 되고 있다.

이 영화는 ‘조폭’ 영화가 아니라 조폭에 몸 담고 있는 한 ‘가장’의 이야기다.

따라서 조폭의 비정함이 자주 나오기는 하지만, 그 비정함은 ‘가장’인 조폭의 힘겨운 삶을 드러내는 배경일 뿐이다.

송강호와 오달수는 서로 다른 파에 속해 있는 중간 보스지만 어릴적 친구 사이다.

노회장은 송강호가 힘겨울 때 도와준 유일한 ‘형님’이지만, 송강호의 라이벌이 친동생이기 때문에 갈등을 겪는다.

영화의 껍데기를 벗겨놓고 보면, 이 영화는 한 ‘가장’이 우리나라에서 살아가는 방식을 가감없이 보여주고 있다.

직장 상사에게 잘 보여야 하고, 동료와 경쟁해야 하며, 끊임 없이 업무 처리에 문제가 생기는 직장인의 삶과

그리 다르지 않을 뿐 아니라, 바로 그 ‘직장’이라는 것이 ‘조폭’과 다름없는 ‘자본의 논리’에 휘둘리고 있기 때문이다.

영화는 해피엔딩으로 끝나는 듯 하면서도-주인공이 끝내 죽지않고 살아남았을 뿐 아니라, ‘조직’을 통합해 더 좋은

위치에 자리 잡았기 때문-결코 행복하지 않은 모습으로 끝난다.

특히 마지막 장면은 이 영화가 보여주고자 했던 핵심인데, 참으로 많은 것을 생각하고 느끼게 하는 장면이다.

단지 ‘기러기 아빠’라는 문제가 아니라, 작게는 ‘가족’의 문제, 개인의 행복, ‘행복함’의 의미를 비롯해

송강호가 속해 있는 사회 전체의 구조에 관해 심각한 질문을 던지고 있기 때문이다.

조폭이 행복하게 산다는 것은 아이러니한 사회다. 조폭이 행복한 삶을 꿈꾸는 것 또한 아이러니한 사회다.

하지만 조폭에 몸 담고 있는 ‘개인’이 행복한 삶을 꿈꾸는 것은 충분히 그럴 수 있다.

이 두 가지 논리가 모순을 일으키고 있으니 이것 또한 아이러니가 아닌가.

송강호의 눈물이 바로 그렇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이장과 군수 (2disc)
장규성 감독, 유해진 외 출연 / CJ 엔터테인먼트 / 2007년 7월
평점 :
품절


재미있고 공감할 수 있는 영화. 별4개.

배우들의 연기도 좋고 스토리도 좋다.

* 진보의 대중화와 우익의 희화화

제목을 좀 어렵게 쓴 듯 한데, 사실이다. 이 영화는 그저 웃고 즐기자는 코미디 영화일 수도 있지만

현실을 잘 반영하고 있다는 점에서 ‘정치적’인 영화로 해석할 수 있다.

내가 살고 있는 마을에서도 이장과 군수는 상당히 자주 오르내리는 단어다.

또한 이장과 군수의 역할이 얼마나 중요한가를 절실하게 느끼고 있기 때문에 이 영화가

마음에 더 많이 와 닿았다.

실제로, 이장 노릇을 어떤 사람이, 어떻게 하느냐에 따라 그 마을은 엄청나게 많이 달라진다.

군수도 어떤 사람이 군수 노릇을 하느냐에 따라 군 전체의 모습이 달라진다.

그렇다면, 대통령이 어떤 사람이냐에 따라 나라의 모습이 달라진다고 하면 너무 오버하는 것일까?

이 영화에서 군수는 37살의 젊은이다. 시골의 평균 연령이 60세를 넘었으니 37살이면

엄청나게 젊은, 아니 어린 나이다.

하지만 그는 대학생 때 학생운동을 했고, 비교적 진보적인 생각을 가지고 있는

소신있고 양심적인 인물이다.

그의 친구 이장은 이장이 되고 싶지 않았지만 마을 주민들에게 떠밀려 이장이 되었고

단지 자기보다 못했던 친구가 군수가 되었다는 사실만으로 기분이 나쁜 라이벌이다.

시골 군 단위에는 토호 세력이 있게 마련이고, 부동산 업자로 대표되는 토호세력은

군수를 어르고 달래보지만 먹혀들지 않자 온갖 추잡한 짓을 다 하게 된다.

이 과정에서, 진보 즉, 군수는 지역 발전을 위해 ‘방폐장’ 건립을 추진하고

토호세력 즉, 부동산 업자와 지방 공무원들은 ‘방폐장 건립’을 반대하는 세력이 된다.

80년대에 무수히 불렀던 운동권 노래들이 우익들의 집회에서 울려퍼지고

전두환 정권의 홍보 가요로 히트했던 정수라의 노래가 진보의 입장에서 흘러나온다.

군수의 친구인 이장은 자격지심과 열등감, 개인적인 욕심 등으로 우익에게 이용 당하고

나중에서야 정신을 차린다.

이 영화의 미덕은 영화 막판에도 현실을 있는 그대로 보여준다는데 있다.

코미디 영화이니 해피엔딩으로 끝날 수도 있었겠지만, 우리의 현실이 그렇게

녹녹하지 않다는 것을 냉정하게 보여줌으로써, 진보가 가야할 길을

다시 생각하게 만들고 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못말리는 결혼 (2disc)
김성욱 감독, 유진 외 출연 / 포이보스 / 2007년 7월
평점 :
품절


코미디. 코믹 영화는 언제봐도 즐겁다. 끝이 해피엔딩으로 끝나서일까.

돈많고 천박한 집안-돈 많으면 모두 천박한 건 아니겠지만…^^-과 돈 없어도 꼿꼿한 집안과의 결혼 대결.

한 번 웃고 보기에는 괜찮은 영화.

이왕이면 좀 더 웃겨도 좋았을텐데…

임채무 씨는 [복면 달호]에서도 점잖은 역할로 나오더니 이번에도 역시 점잖은 역할.

김수미 씨는 [가문의 영광] 시리즈에서 욕쟁이 마나님으로 나오더니 역시나 비슷한 캐릭터.

그래도 김수미 씨 연기는 언제봐도 재미있다. ^^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철콘 근크리트
마이클 앨리어스 감독, 아오이 유우 외 목소리 / 아인스엠앤엠(구 태원) / 2012년 5월
평점 :
품절


일단, 에니메이션 영화를 보고 나서 곧바로 알라딘에서 마츠모토 타이요의 만화를 모두 구입했다.

최근에 정식으로 한글판 번역이 나왔는데, 왜 이렇게 훌륭한 만화가 이제서야

번역되었는지 모를 정도다. 하긴, 좋은 만화는 잘 알려지지 않으니까.

미야자키 하야오는 하나의 세계를 구축했고, 아키라는 혁명을 일으켰다면, 마츠모토 타이요 원작의

에니메이션 ‘철콘 근크리트’는 신선한 충격이다.

그림의 선도 내가 좋아하는 선이어서 더욱 마음에 든다.

에니메이션은 장편 성인용이어서 어린이가 주인공일지라도 어린이에게 보여줄 수는 없다.

스토리는 단순하면서도 인간의 양면성, 선과 악이 교차하고 선과 악은 사회를 살아가는 인물들의

태도에서도 그대로 드러난다. 멋진 만화를 멋진 에니메이션으로 만들었다. 소장가치 완벽.

철콘 근크리트라는 단어는 작가가 어렸을 때, 철근콘크리트를 잘못 발음한 것이라고.

홈리스와 야쿠자들이 모여 사는 '지옥의 거리' 다카라쵸. 그곳에는 서로를 의지하며 자유롭게 살아가는 두 고아소년 쿠로와 시로가 살고 있다. '고양이'라는 별명의 그들은 다카라쵸에서 아무도 손대지 못하는 '악동'으로 유명한 문제아들. 하지만 그들의 터전 다카라쵸에도 어둠의 그림자가 다가오기 시작한다. 테마파크 사업을 통해 떼돈을 벌어 마을을 삼키려는 야쿠자와 외부세력의 검은 음모가 시작된 것. 결국 쿠로와 시로는 자신의 마을을 지키기 위해 행동에 나서고, 이제 그들과의 숨막히는 전쟁이 시작된다!

마츠모토 타이요의 [철콘크리트]를 다시 보다. 다시 봐도, 대단한 작품이다. 만화로도, 애니메이션으로도, 나무랄 데 없는 걸작. 별 다섯 개.

src="http://marupress.tistory.com/plugin/CallBack_bootstrapper?&src=http://s1.daumcdn.net/cfs.tistory/v/0/blog/plugins/CallBack/callback&id=18&callbackId=marupresstistorycom186560&destDocId=callbacknestmarupresstistorycom186560&host=http://marupress.tistory.com&float=left&random=39">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극락도 살인사건 (2disc)
박솔미 외, 김한민 / KD미디어(케이디미디어) / 2009년 1월
평점 :
품절


문제는, 누가 범인인가가 아니다.

범인이 누구인가를 알아내는 것보다 이 사건의 본질을 이해하는 것이 더 중요하겠다.

미스터리 호러 스릴러 영화이긴 하지만

영화에서 가장 무서운 존재는 역시 거대 자본, 또는 거대 제약회사라고 본다.

섬 주민들은 모두 피해자이고 억울한 죽음을 맞는 사람들이지만

단지 그렇게 흑백이 분명하게 만들지는 않았기 때문에-또 그렇게 만들면 재미도 없기 때문에

메타포는 중의적이다.

받아들이는 사람에 따라 몇 가지로 해석할 수 있는데,

범인의 경우도 그러하다. 가장 마지막에 살아 남은 사람일까?

한국 영화의 장르가 다양하고 재미있게 만드는 것이 즐거운 일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