처음 처음 | 이전 이전 | 21 | 22 |다음 다음 | 마지막 마지막
지구를 지켜라!(dts) - 일반판 (Save the Green Planet)
CJ 엔터테인먼트 / 2005년 3월
평점 :
품절


영화 [지구를 지켜라]를 보고이 영화가 흥행에 참패했다는 것은 아이러니다.관객 1천만명 시대에 고작 몇 천명 정도가 이 영화를 봤다는 것은, 한국 관객의 편식이 얼마나 심한가를 여실히 보여주는 증거다.

물론, 이 영화를 선택하지 않은 것이 관객의 잘못은 아니지만, 좋은 작품을 선택하는 안목이 부족했다는 지적은 마땅히 받아야 할 것이고, 이 영화를 만들어서 배급하는 영화사는 ‘마케팅’ 실패를 뼈저리게 느꼈을 것이다.

아마도, 영화사 스스로도 이 영화를 어떻게 규정해야 하는지 당황했을 듯 하다.[지구를 지켜라]는 블랙 코미디, 판타스틱 SF, 서스펜스 호러 등 여러 장르를 혼합해 놓은 듯 보인다. 여기 저기 인터넷으로 찾아 본 관람평을 보면 대부분 그렇게 생각하고 있다.

그러니 영화사가 어떤 장르에 촛점을 맞춰 홍보를 해야 할 지 모르는 것은 당연하다. 이렇게 잘 만든 영화를 가지고도 흥행에 성공하지 못했다면, 단순히 개봉 타이밍의 문제를 넘어 영화사에 뭔가 문제가 있어 보인다.

어쨌거나, 다른 사람은 그렇게 생각하지 않을지 모르지만, 나는 이 영화를 보면서, 단박에 눈치챘다.

이 영화는 블랙 코미디도, 판타스틱 SF도, 서스펜스 호러도 아닌, 바로 ‘계급투쟁’에 관한 영화라는 것을.이렇게 말하면, 대부분의 사람들이 ‘극좌편향’이라고 비난하겠지만, 이 영화를 잘 살펴보고 몇 가지 장식을 떼버리면 분명하게 드러나는 것은 자본가인 강사장과 노동자인 봉구의 대결로 남는다.

외계인 운운하는 것이 영화적 수사라는 것을 모르는 사람은 없겠다.노동자인 봉구는 강사장을 납치한다. 그가 외계인이라는 것이 이유지만 강사장의 회사에서 일했던 경험이 있는 봉구는 바로 그곳, 공장에서 노동조합원이었고, 사랑하는 애인이 파업 현장에서 용역 깡패에게 목숨을 잃는다.

어머니 역시 강사장의 공장에서 일하다 독극물에 중독되어 식물인간이 되고 만다.어릴 때부터 폭력과는 거리가 멀고, 늘 괴롭힘을 당하던 착한 봉구는 자본가가 지배하는 이 사회 속에서 부적응자가 되어 간다.

봉구의 어린시절부터 공장 노동자까지의 삶은 가난한 민중의 자식이 사회 속에서 어떻게 살아왔는가를 평균적으로 보여준다.폭력에 길들여진 사회, 마초가 판을 치고, 폭력이 법보다 위에 있고, 인간의 존엄성보다는 착취가 우선인 사회, 그 속에서 착한 봉구는 무기력할 수밖에 없다.결국 봉구는 미쳐가고, 그의 상상 속에서 자본가는 ‘외계인’으로 변하게 된다.

그렇다. 자본가는 ‘인간’이 아닌, ‘외계인’이다. 같은 인간이라면 어떻게 같은 인간을 그렇게 참혹하게 착취하고 내버릴 수 있는가. 일회용품처럼 노동자의 피를 빨아먹고 뱉어낼 수 있는가.정상적인 사람이라면, 노동운동한다고 사시미칼로 배를 쑤시지는 못할 것이다.

공장에서 기계가 사람의 뼈를 가루로 만들어도, 한달에 잘라진 손가락이 가마니로 쏟아져도 눈하나 깜짝하지 않고, 오직 ‘이윤’만을 챙기는 자들이 바로 ‘자본가’이고 그들은 ‘인간’이 아닌 ‘외계인’이 분명하지 않은가.

봉구는 그런 외계인이 바로 지구를 멸망시킨다고 믿고, 그들을 잡아 지구의 평화를 지키려고 한다.하지만, 영화는 현실을 충실하게 반영하듯이, 이 영화에서도 역시 ‘외계인’ 아니 ‘자본가’가 승리한다.

뛰어난 실력과 명석한 두뇌를 가진 자본가 강사장은 결국 노동자 봉구의 집요한 저항을 뿌리치고 그를 때려눕힌다. 대단한 자본가의 힘이다.신인 감독은 봉구와 강사장의 대결구도를 왜 굳이 노동자와 자본가로 설정했을까?

우리 사회에는 아주 다양한 관계들이 있음에도, 이런 구도를 만든 것은, 감독의 깊은 속마음이 있는 것은 아닐까 생각해본다.우리 사회는 여전히 ‘자본가’와 ‘노동자’가 존재하고, ‘자본주의 국가’에서 국가 권력은 ‘자본가’의 이익을 대변한다.

노동자들은 사회의 권력을 장악한 ‘자본가의 논리’에 매몰되어 자신들의 세계관을 잃어버린다.한 편의 영화에서 너무 많은 의미를 찾으려고 지나친 비약을 하는 건 아닌가 생각되지만 이 영화가 가지고 있는 진정한 미덕은 보고 느낄 수 있는 사람만이 알 것 같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황해 - 아웃케이스 없음
나홍진 감독, 김윤석 외 출연 / KD미디어(케이디미디어) / 2012년 1월
평점 :
품절


‘추격자’를 만든 나홍준 감독의 작품.한국 영화에서 또 하나의 걸작이 탄생했다. 전편인 ‘추격자’를 능가하는 하드보일드하고 개성있는 작품으로 깊은 인상을 받았다.

영화 도입부부터 마지막 장면까지 긴장을 풀 수 없는 탄탄한 스토리와 속도감이 이 영화의 수준을 말한다.

엉성한 듯 치밀한 스토리는 관객에게 끊임없이 생각하도록 만든다. 어찌보면 복잡한 듯한 구성이지만 조금만 생각하면 사건의 발단이 얼마나 단순하게 시작되었는지, 그래서 그 어이없을 정도로 단순함 때문에 오히려 무릎을 치게 된다.

오해라고 하지만, 영화에서는 바로 그 ‘오해’ 때문에 무수히 많은 사람들의 목숨이 사라지고, 자신의 아내도 아닌, 내연녀와의 불륜을 복수하기 하다 비참하게 죽는 사장을 보면서 인간의 어리석음을 마땅히 비웃게 된다.어설픈 감정은 배제하고, 본능에 따라 움직이는 사내들의 세계는 영화적으로 과장되었을 뿐, 그것이 현실과 다르다고 누가 강변하겠는가.

넥타이를 맨 정장 안에는 웃는 얼굴로 뒷통수를 치는 거대한 자본과 이윤과 비정함이 있지 않은가. 구남은 살기 위해 죽이고, 희망을 위해 살인을 한다. 살인을 옹호하거나 정당성을 부여할 생각은 전혀 없지만, 적어도 그렇게 살 수밖에 없는, 그런 선택을 할 수밖에 없는 존재도 있음을 알아야 하지 않을까.

영화 속 인물들은 조금씩 과장되고 정형화되었지만, 우리 내면에서 잠자고 있던 본능이 이 영화를 보면서 꿈틀거리는 걸 느끼는 건 나 혼자뿐일까.

면가의 냉혹하고 한치의 망설임도 없는 도끼질, 죽음 앞에서도 물러서지 않고 회칼을 휘두르는 한국의 조폭들과 연변의 조폭들, 피가 솟구치고 두개골이 빠개지는 잔인함, 인간의 육체를 토막내 개먹이로 던지는 끔직함, 이런 것들이 과연 영화 속만의 이야기일까.

며칠 전, 굶어 죽은 한 시나리오 작가의 죽음을 보자. 그리고 자기 아버지에게 맞아 죽은 세 살짜리 아기를 보자. 영화보다 덜한가? 영화는 어쩔 수 없이 현실을 반영한다. 영화 속에서 아무리 쾌락을 탐한다고 해서 그것이 아름다운 세상이 아니듯이(감각의 제국), 칼로 난도질 당하고 도끼로 뼈가 빠개지는 잔인함 뒤에는 그보다 더 흉포한 세상이 있는 것이다.그런 면에서 ‘황해’는 현실과 영화를 훌륭하게 접목한 걸작이다.

개인적으로 별 다섯개에 별 다섯개를 주는 최고 작품.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처음 처음 | 이전 이전 | 21 | 22 |다음 다음 | 마지막 마지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