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강 1 - 제1부 격랑시대
조정래 지음 / 해냄 / 2001년 11월
평점 :
절판


소설가로 장인인 조정래님의 <<한강>>을 영화화 한다면, 아마도 카메라는 한없이 낮은 곳을 향할 것이다. 그리고 렌즈는 위로 향한채 영상을 담아야할 것이다. 등장인물의 얼굴 주름과 핏줄 선 눈과 눈시울을 담아야 하고 푸석푸석한 피부와 굵은 마디의 손을 보여 주어야 하기 때문이다.

'한국 자본주의가 얼마나 가혹하고 피눈물나는 과정을 지나온 결과인가를 알아야 합니다. 돈 벌기 위해 서독으로 월남으로 떠났던 누이와 형제들의 모습을 누가 기억하고 있습니까. <<한강>>은 60, 70년대를 살아온 한국사람의 모습을 되찾아주고 옹호해 주고 위로해주는 소설로 읽을 수 있습니다'라고 조정래님이 말했듯이 '공으로 얻어진' 한국 자본주의가 아니며 또한 자본주의의 수혜자들만의 공만이 아님을 알 수 있다. <<한강>>은 핏물을 담은 스폰지 처럼, 수많은 사람들이 자신의 육체와 정신에 담아온 한국 현대사의 증거들을 10권의 책으로 생생해 보여주고 있다.

한국 현대사는(여타 자본주의 국가의 발전과 마찬가지다) 지구에서 바라보는 달과 같다. 달표면에 수백수천개의 구덩이가 있듯이 그리고 밝은 면에 얼룩으로밖에 치부되지 않는 그 구덩이들이 조정래님의 '현미경'과 '망원경'을 통해서 달의 어두운면과 밝은 부분의 수많은 구덩이들의 실체들을 볼 수 있게 되었다. 이것은 민중의 일상사가 역사학의 중심이 되고 있지 못한 상황에서 값진 것이라 생각된다. 또한 조정래님의 소설의 힘이고 가치라고 할 수 있겠다.

담론으로 역사의 동참을 호소하는 것이 아닌 현재 내 생활 내 의식에서 이미 역사의 편린이 되고 있음을 부정할수없도록하기때문에 더욱 그러하다. <<태백산맥>>이 이데올로기 담론에 의해 민중 삶의 의지나 희망이 축소, 왜곡되고 <<아리랑>>이 민족이란 담론에 갖혀 한반도의 특수성이라는 평강에 한정 될 수 있다는 평으로 평가절하될수있지만 <<태백산맥>>, <<아리랑>>, <<한강>>으로 완성되어진 한국 근현대사를 배경으로하는 조정래님의 대하소설은 자본주의 발전이라는 역사의 관성속에서 민족사적 특수성과 이데올로기적 격정이 녹아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그 절정이 바로 <<한강>>이라고 생각한다.

월북자의 아들(유일민, 유일표), 권력지향형 정치인(강기수), 빈농 출신의 출세주의자(이규백, 김선오), 빈농 출신의 깡패(서동철) 등의 가상인물들과 전태일, 김진홍, 박태준, 임종국 등 실존인물들 모두가 한국 자본주의 발전의 수레 속에서 허구 아닌 실존으로 다가오기 때문에 더룩 그러하다. 또한 이야기의 기승전결보다는 등장인물들의 다양한 삶의 군상(대다수의 소설이나 영화에서는 대중들의 애환과 고통이 소품처리 되고 마는 것에 불과한 반면)들을 통해서 현실의 각양각색의 인간들의 사고나 행동들을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때문에 그러하다.

결론을 말한다면, 조정래님의 소설을 읽으면 우리는 이미 역사의 선상에(이것이 칼날 위든 평지 위든) 서 있음을 깨닫게된다. 개인주의가 팽배한 젊은이들이 <<한강>>을 읽어야하는 이유는 그 무엇보다고 이것 때문일것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