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도를 기다리며 민음사 세계문학전집 43
사무엘 베케트 지음, 오증자 옮김 / 민음사 / 2000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책을 많이 읽어야한다는 강박관념에 고전이며서 얇은 책인 <<고도를 기다리며>>(이하<<고도>>)를 집어들었다. 이미 이 책을 읽은 이들은 고개를 갸웃둥하며 혹은 혀를 차며 '차라리 좋은 만화책을 볼것이지'라고 말할 것이다.

얇은 생각에 경고하듯 <<고도>>의 적은 쪽수(대본 자체만 보면 150쪽도 되지 않는다.)와 적은 글자구(짧은 대사의 모음이니)가 인간 삶/생애에 대한 깊은 의미를 담고 있어 쉽게 읽히지 않았다. 뿐만 아니라 여러번 읽게 만들었다. 왜냐하면 등장인물들의 대사에서 '고도'라는 인물의 정체/의미를 정확히 찾으려 했기 때문이다. 나와 <<고도>>와의 추격전은 나의 완전한 패배가 되는 듯했다. <<고도>>를 덮고 잠시 추격전을 멈추니 내 방식데로 흐릿하게나마 <<고도>>의 의미에 대해서 알 수있게 되었다.

온 세상에서 유일하게 아니 공평하게 주어지는 시간의 일정한 흐름 속에서 삶을 영위한다는 것은 '주어진 갈망'(부재한 것들은 채우려는 의지 혹은 채워진 것들을 더욱 많이 채우려는 의지)의 연속이라는 것이다. 즉 '고도'라는 인물을 끊임없이 기다려야하는 두 주인공 블라디미르와 에스트라공의 모습은 '주어진 갈망'을 채우려한다.(왜, 무엇때문에 갈망이 주어졌는지는 <<고도>>에는 나오지 않는다.) 나는 고도가 신과 같은 절대적 존재인지, 희망/자유 같은 추상적 관념인지, 토지/임금 같은 계급 불평등의 해결인지 단정지어 생각하지 않았다. 단지 '고도'를 특정한 단정들을 통칭 할 수 있는 '주어진 갈망'이라고 불러야한다고 생각한다. 즉 사뮈엘 베케트 자신도 고도에 대해 모른다고 했듯이 인간 개개인/세대/시대별 '고도'들을 총칭하는 것으로 여겨야한다. 내용의 보편성 획득!

이런 내용성뿐만 아니라 글체 역시 특정세대나 지역만이 고스란히 이해할수있는 것이 아니다. <<고도>>의 글이 '스타일 없이 쓰여진 글'인 것처럼 다양한 언어로 번역되어 읽혀도 <<고도>>의 무대가 '그 어느 곳도 아닌 황량한 언덕'(그래서 인간의 갈망에 의해 그 무엇이 채워져야하는 장소)을 보편적으로 알수있는 것처럼 보편성을 굉장히 잘 획득한 작품이라고 말할 수 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