손님
황석영 지음 / 창비 / 2001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황석영님이 굿을 열었다. 요섭(주인공)을 내세워 굿을 연것이다. 요섭은 넋들을 부른다. 가해자들(자신의 형을 비롯해 6.25에 잔인한 살해극을 꾀한 기독교인들)과 피해자(6.25에 죽은 무고한 양민들)을 불러 서로의 이야기를 늘어놓도록 한것이다.

하나의 사실(6.25라는 이데올로기의 대립장이었다는 전쟁)에 두 측면이 충돌하는 것이다. 하지만 서로의 정당성을 설파하지는 않는다. 다만 그들의 시각을 보여줄뿐이면 그 결과가 어떠한지 제시할 뿐이다. 이로써 굿을 보는 이로 하여금(손님을 읽는 독자로 하여금) 과거 선혈이 낭자한 역사적 사실이 갖는 현재적 의미를 생각하게 한다.

황석영님이 '남과 북이 꺼끄러울 수 있는' 것이라 말하듯 하나의 정당성을 전제하여 읽는 이를 계몽시키려하지 않는다. 이는 어쩜, 황석영님이 공개한 창작노트 메모에서 말한 발전되 리어리즘인지는 나는 잘 모른다. 다만, 내가 이 '손님'을 읽으면서 느낀것은 참혹한 역사의 경험이 반복되지 않도록(그것을 경험했든 그렇지 않든) 매진하라는 경고를 받았다는 사실은 어쩔수 없는것같다. 또한 넋들을 진정 위로하기 위한 현재의 과제를 자연스럽게 떠올리게 한다는 것이다.

'역사... 이 거대한 뿌리는, 한번 든자리에 또 다시 들어 차지 않는다. 뻗어 갈뿐이지만 그리고 똑같이 반복될수 없는 것이지만 토양의 형태에 따라 굴곡되고 때론 썩기도 하지만 끊임없이 나아간다는 것... 그래 전진하자... 앞으로 저 짙은 자양분이 있는 토양으로...'

'손님'은 이렇게 역사의 현장에 독자를 손님으로 참여시키므로써 3인칭 시점에서 자연스럽게 1인칭 시점으로 옮겨놓아 충돌했던 두 넋의 화해를 꾀하고자하는 태도를 요구하는데 뛰어나다고 할수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