쥐 I
아트 슈피겔만 지음, 권희종 외 옮김 / 아름드리미디어 / 1994년 9월
평점 :
구판절판


히틀러를 선봉으로 게르만 민족이 유대인에게 행한 대량살상은 물질적인 것뿐만 아니라 정신적인 것까지도 미디어를 다양한 형식으로 전세계에 전파되었고 앞으로 될 것이다. 그래서 일까. 내게 나치가 행한 유태인 대량학살은 식상해진지 오래되었다. 더 정확히 말해야겠다. 팔레스타인에 대한 이스라엘의 학살을 떠올린다면 근·현대사에서 유태인의 처한(혹은 행한) 모습이 너무나도 상반되어 나치의 학살이 잊지 말아야할 '역사의 교훈' 그 이상의 의미를 갖지 못하고 있다. 즉 현실과 괴리된 교훈 말이다.

<쥐>의 저자 아트 슈피겔만은 시궁창의 쥐들과 다름없었던 유대인들의 모습을 형상하고 있다. 또 쥐의 천적 고양이는 나치를 형상하고 있다. 그래서 '미키마우스'나 '톰과 제리'의 제리에서 볼 수 없는 역사성과 사실성(이를 문학성이라고 동일화해도 좋을 듯하다)이 슈피겔만의 <쥐>에서 볼 수 있다는 것. 또 쓰라린 기억을 갖고 있는 유태인에게 과거는 일상 속에서 끊임없이 떠올리는 수밖에 없는 현재진행형임을 나타낸다는 것. 또 망각되어질 역사를 긴장감을 놓지 않고 복각하고 있다는 것. 이런 것들은 분명 <쥐>의 작품성을 드높일 것이다.

어찌된 일인지 내게는 이런 작품성이 눈에 들어오지 않았다. 빼어난 작품성을 가진 만화라는 친구의 소개로 읽게 되었지만 말이다. 나는 <쥐> 한 컷 한 컷마다 착시현상을 일으켰다. 마치 조지오웰의 <동물농장> 마지막 부분에서 나폴레옹이 인간들과 술잔을 부딪히는 모습을 보는 동물들의 착시현상과 같은 것을 느낄 수 있었다. 쥐는 팔레스타인으로 고양이는 이스라엘로...

칼이 살인자의 손에 들어가면 무기가 되고 손재주 좋은 요리사 손에 가면 유용한 도구가 되듯 <쥐>도 그런 쓰임에 따라 평가되어진다고 본다. 그래서 <쥐>의 예술적 가치가 훼손될 수 있다고 본다. 아니, 이미 훼손되었는지 모른다. 유태인하면 역사의 피해자라는 의식을 확대하고 그래서 팔레스타인들을 탄압하는데 침묵하도록 강요하는 수단이 되었다면 말이다.

좋은 작품을 만나 흥에 겨워 서평을 쓸 수 없다는 현실에 통감을 하지만 <쥐>를 통해서 역사의 교훈이 교훈자체로만 끝나는 것이 아닌 진보된 사회의 발전에 디딤돌이 될 수 있지 않을까? <쥐>의 작품성을 보존한다는 측면에서 말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