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래된 미래 - 라다크로부터 배운다, 개정증보판
헬레나 노르베리-호지 지음, 김태언 외 옮김 / 녹색평론사 / 2003년 12월
평점 :
구판절판


화폐에 길든 우리에게 던지는 질문

사람들이 과거의 일들을 말한다면 두 가지로 맥락으로 나눌 수 있을 것이다. 하나는 좋은 기억들을 그리워 할 것이고 다른 하나는 좋지 않은 일들에 대해 부끄러워할 것이다. 사람들이 이렇게 말할 수 있는 것은 하염없이 흘러보낸 '현재'라는 시간들에 대한 반성을 전제하거나 절망적인 미래를 잠시나마 잊기 위해서일 것이다.

<오래된 미래-라다크로부터 배운다>는 내 짧은 인생살이가 얼마나 강박하기 이를 데 없는 사건과 일의 나열인지 그리고 최첨단 최신의 현재에서 미래로의 길이 실제로는 얼마나 절망적인지를 일깨워준다. 그래서 상부상조의 생활을 하는 라다크 주민들이 자본주의 문명이 들어오면서 강박해지는 생활에 스스로 씁쓸해 하는 것은 하염없이 자본주의 사회에서 살아야하는 우리의 살림살이를 반추하게 한다.

라다크 원주민들은 곡물을 타작하거나 채집·수렴을 할 때 서로를 돕는다. 이를 보고서 이들에 대해서 우리는 독립적이지 못하고 서로에게 너무나 의존적 생활을 하고 있다고 과연 말할 수 있을까? 아니다. 그들의 공동체 자체를 본다면 라다크는 완전히 독립적인 공동체이다. 외부와의 단절을 위해서도 그 많은 세월을 잘 지내오지 않았는가.

우리는 라다크 원주민들 보다 개개인은 독립적일 수 있지만 교환상품인 화폐에 길들어져 주머니에 돈이 없으면 어떤 것도 할 수 없는 사회에 살고 있다. 라다크 원주민의 허름한 옷차림이나 거친 손과 피부는 말끔한 옷과 깨끗한 피부의 우리 모습을 보면 우월성을 강조할 수 있겠다. 하지만 우리는 그들보다 더 세분된 편린 속에서 화폐의 올가미에 묶여있다. 그 편린은 언제 떨어져나갈지 모르는 불안함을 안고 있다. 또 화폐의 올가미에서 벗어날 수는 없다. 이를 깨닫게 된다면 우리는 전혀 자유롭지도 행복하지 않다.

라다크의 독립적인 공동체 삶이 파괴되었다. 자본주의 파고에 편린이 된 것이다. 이는 무엇을 의미하는가? 그것은 저자가 라다크에서 자본주의가 파괴한 것이 무엇이고 이제 잊혀진 것이 무엇인지를 복원하는 작업 속에서 우리는 알 수 있다. 또 저자가 '라다트는 오래된 미래'라고 말하는 것은 무엇인지를 생각하면 알 수 있는 것이다.

아마 라다크의 공동체 삶을 현재 자본주의 사회에서 단순히 원형 그대로 복원하자라고 말하는 것은 아닐 것이다. 내 생각에 저자는 현재 거대 자본주의의 역사적 발전(전환·도약·변혁·혁명)을 위해서는 그들의 자주적인 협동 생활공동체를 복원해야하다는 것을 말하고자하는 것 같다. 라다크의 기억을 되새기면서...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