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태일 평전
조영래 지음 / 돌베개 / 1983년 6월
평점 :
구판절판


질기게 참회를 행하도록 촉구하는 책

나는 시대의 위인들에 관한 책을 읽게 되면 그들과 같은 사람이 되고싶은 열망에 사로 잡히곤한다. 또한 위인들의 말과 행동을 추종하는 버릇도 있다. 분명 어설픈 추종은 삶의 나락이 되지만 말이다. 그런데 내게 강한 인상을 남겼지만, 나 스스로 추종할 수 없는 인물이 있다. 열망이 아무리 강해도 말이다. 그 인물은 바로 전태일이다.

<전태일 평전>을 처음 접하게 된 것은 고3 겨울방학 때였다. 그렇지만, 두고두고 내 곁을 떠나지 않은 책이 되고 말았다. 어떤 이들은 삶의 지혜를 얻기 위해 <삼국지>지를 읽고 또 읽는다고 하지만 나는 대학생활의 나태함이나 사회에 대한 불만이 치솟을 때 <전태일 평전>을 펼쳤다. 처음 읽었을 때의 숙연함은 매번 <전태일 평전>을 펼쳤을 때마다 농도를 달리하여 찾아왔다. 그렇게 가까이 했것만 나는 언제나 전태일을 추종 할 수 없었다.

'근로 기준법을 준수하라!'

자신을 불사르며 외친 전태일의 분노는 의식과 육체가 합일된 것이었다. 반면 나는 언제나 머릿속으로만 맴도는 분노만으로 입만 나불거리는 몸둥아리일 뿐이었다.

얼마 전 경찰이 대우 자동차 노조원의 노조사무실 출입을 막고 무력 진압했던 사건이 있었다. 법원도 승인한 그러니까 법적으로 합법적인 노조사무실 출입을 경찰이 막은 것이다. 언론에서 대서특필된 기사를 본 후 나는 다시 <전태일 평전>을 펼쳐들었다. 나불거리던 입도 침묵한지 오래된 시점에 다시 <전태일 평전>을 보게된 것이다. 사회적 약자들로 보이는 노동자들이 밟히고 쓰러지는 모습에 내가 할 수 있는 일은 없었기에 속죄하는 기분으로 읽은 것이었다.

나는 '군사독재시절..... ' 운운하면서 시대가 바뀌었다고 말하는 사람들을 신뢰하지 않는다. 왜냐하면 전태일이 피워놓은 화염은 지금 대우자동차 노동자들을 통해서 전해 내려오고 있기 때문이다. 한 권의 전기문에 불과한 <전태일 평전>에서 나는 전태일이 느낀 몸과 마음이 합일된 분노를 지금 시대의 역사의 보편적인 분노로 여긴다면 편협한 생각인가? 그렇지 않다고 생각한다. 시대가 근본적으로 바뀌지 않는다면 전태일의 분노는 보편적인 것이다.

나는 파편이 되어 무기력한 개인에 불과하다. 이러한 무기력증을 대학시절부터 지금까지 갖고있었다. 아마도 이런 감정은 살아갈수록 흩어지는 것이 두려워 <전태일 평전>을 읽고 또 읽는 행동으로 나타나는 것인지 모른다. 내가 존경하는 위인들에게 느끼는 추종과 다르게 말이다.

<전태일 평전>이 노동운동에 헌신하는 이들에게는 자신들을 추동하는 책이라는 것을 부인 할 수 없을 것이다. 한편으로 내게 있어 <전태일 평전>은 사회·현실에 해체되는 나를 위안하는 책이었는지도 모른다.

종로에서 대학로에서 노동조합의 깃발이 세워질 때, 그 대열에 합류하지 못하는 이들에게는 아마도 <전태일 평전>은 질기게 참회를 행하도록 촉구하는 책이 될 것임을 나는 믿는다. 나와 수년동안 <전태일 평전>이 참외의 시간을 함께 듯이 말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