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이공의 흰옷
구에 반봉 지음 / 동녘라이프(친구미디어) / 1986년 8월
평점 :
절판


과거에 대한 향수, 참회
그런 단어들을 언습하게 만드는 이야기

1.
대략 5년만에 다시 만나게 된 선배와 이런저런 이야기를 나누게 되었다. 그 선배는 나와 친분이 두터웠던 이는 아니었다. 하지만 그 선배는 나와 대학시절 역사의 진보라는 이름 하에 사회적 이익과 개인적 이익을 동일시했던 경험을 공통분모로 갖고 있었다. 아무래도 초·중·고등학교 동창을 만나는 것과는 다른 느낌일 수밖에 없었다. 나누던 이야기들 중에 서로에게 가장 감동을 주었던 책이 무엇인지를 이야기를 했는데, 나는 <전태일 평전>이었고 그 선배는 <사이공의 흰옷>이라고 했다. 내가 <사이공의 흰옷>을 읽게된 계기는 이러하다.

2.
나는 배달되어 온 <사이공의 흰옷>을 단번에 읽을 수밖에 없었다. 주인공 홍이 학생운동에 헌신·체포·고문·당 가입을 하게 되는 단련의 과정을 그린 것이 이 책의 줄거리인데, 마치 대학시절 선배들의 모습을 보는 것 같았고 단편적으로는 후배들의 모습을 연상시키기에 충분했다. 사회적 이익을 위해서 홍이 유급을 결심했듯이 선배들 역시 그러했다. 서서히 강해져 가는 홍의 모습에서 학년이 높아질수록 강고해지는 선배들의 모습 또한 유사했다. 즉 <사이공의 흰옷>은 내 과거의 단편들 끄집어냈고 향수를 자아냈다.

그러나 마지막 페이지를 넘긴 순간 나는 씁쓸한 입을 다셔야만 했다. 왜냐하면, 주인공 홍은 사회적 이익과 개인적 이익이 부합된 일생을 사는 것으로 결론지어진 반면 내 주위에 대다수의 선배들은 사회적 이익의 방향과 개인적 이익의 지향이 괴리된 채 혹은 종잡을 수 없는 문제가 되어버렸기 때문이다. 이들의 삶은 너무도 버겁게 때론 슬프게 보일 뿐이었다. 나 역시 마찬가지만. 이 책의 줄거리는 선배들의 모습과 유사했건만 결론은 너무도 딴판이었다.

그 다름은 책을 읽던 중간 중간에 불러일으켰던 향수와는 다르게 그 동안 놓치고 있었던 activist의 지향을 포기한 문제들을(혹은 과거 한동안 내가 놓지 못했던 좌절감의 원인들) 되돌려보게 했던 것이다. 과거를 되돌아본다는 것이 어떤 이들에게는 유쾌한 것이 될 수 있겠지만 젊은 시절을 헌신했던 것들이 공염불이 된 이들에게는 유쾌한 것이 될 수 없었는지 나는 지금 처해있는 현실의 모습--즉, 私的(사적) 이해에만 몰두해있는--에 홍의 모습을 통해서 숙연해질 수밖에 없었다. 참회를 하게 된 것이다.

3.
저자의 의도와는 다르게, 과거 이 책을 읽고 다부진 결의를 다짐했던 독자들과도 다르게 나는 과거에 대한 향수와 참회를 행하고만 것이다. 그런데, 내 머리 속에서는 '너는 지금 이 책을 정신적 안위를 제공해주는 것으로 여기고 있어'라는 말이 떠돌고있었다. 아마도 이런 생각이 떠올려진 것은 내 개인적 느낌이 이 책을 빛낼 수 있는 가치를 추락시키고 있다는 의구심을 가질 수밖에 없기 때문일 것이다. 나는 이 책을 과거의 뒷물에 허덕이는 이들이 읽기보다는 현실에 치열한 이들이 읽기를 바란다. 더 이상 내 개인적 향수·참회로 이 책의 가치가 바래지 않기 위해서 이런 바램을 표하고 싶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