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장>의 시대적 이식성 : 지식인의 일탈과 몰락을 그린 빼어난 작품 좋은 작품은 발표된 시점의 시대적 상황에 따라 독보적인 지위를 확립하게 된다. 또 좋은 작품은 발표된 이후에도 독자들이 속한 시대상황에 뛰어난 이식성을 보여준다. 그런 작품을 우리는 수작·명작이라고 부르길 주저하지 않는다. 최인훈씨의 <광장>은 작품 그 자체가 갖고있는 독보적인 지위뿐만 아니라, 독자들이 속한 매 시기마다 <광장>이 제기한 문제의식을 새롭게 되집어 보게 하는 이식성을 갖고 있다. 그래서 나는 <광장>을 몇 안 되는 수작·명작이라고 부르고 싶다. 폭력이 지배하는 남한이라는 광장. 폭력에 깨져버린 남한에서의 이명준(지식인)의 밀실(첫 번째 일탈). 이데올로기적 편협함이 지배하는 북한이라는 광장. 그 편협함을 강요하고 이용되는 이명준의 밀실(두 번째 일탈). 결국 전쟁포로가 되어 제3국 행(세 번째 일탈)을 택한 이명준. 외국으로 이송 중 자살(몰락. 죽음 자체가 어쩜 광장이거나 밀실인지도 모른다). 이런 상징성은 독자로 하여금 시대의 아픔을 되새기게 한다. 그리고 독자에게 삶의 진지함을 부여한다. 그럼 어떤 시대의 아픔인가? <광장>은 이데올로기 대립(혹은 체제 대립)에 일탈할 수밖에 없는 지식인의 표상과 살아 남을 수 없었던 지식인의 몰락을 그리고 있는 것이다. 사회의 악폐들에 고통스러워하고 이를 극복하고자하는 수단과 방법들이 구체적이지 못할 때, 해결책이라고 하는 것들이 거짓일 때 일탈을 꾀하게 된다. 그럴 때 지식인은 일반인들이 꾀하게 되는 일탈 - 사회의 악폐에 고통스러워하고 이를 극복하고자하는 수단 방법이 제거되어 무기력증을 심각하게 느끼게 될 때(이명준이 남과 북에서 밀실로 파고들어 갈려고 했듯이) - 은 살벌한 이데올로기 대립이 진행되었던 시기뿐만 아니라 악폐들에 대한 돌파구를 찾지 못 하는 현재의 상황에 비춰서 되 집어 볼만하다. 또 지식인의 몰락 - 사회의 악폐에 패배한 후 사회와 단절하고 침묵하거나 지식인이라는 지위가 상실되는(이명준이 제 3국 행을 택했듯이 그리고 자살을 했듯이) - 은 예전과 마찬가지로 지금도 남북한이 체제 대립을 하며 각각의 답안을 제시하지만 정답과는 거리가 먼 상황에 비춰 볼 만하다. 남한의 민주주의가 발전하고 고도의 산업사회가 되어 부유해졌다고 말하지만 의구심을 가질 수밖에 없는 현재의 처지를 본다면 말이다. 이유를 어찌저찌 단다고 해도 북한 역시 마찬가지다. 여기서 나는 '절망에서 피어나는 희망'이라는 통속적인 말을 하고 싶다. 어쩌면 최인훈씨는 <광장>을 통해서 매 시기시기 독자들에게 이탈하고자하는 인간들과 몰락하는 인간, 그들에게 자화상을 그려줘서 다시금 희망을 가져보라는 메시지를 <광장>이라는 소설의 행간에 암시하고 있을 것이라는 생각이 들었기 때문이다. 특히 지식인의 머뭇거림, 동요, 우유부단함을 질타하고 있는 것인지 모른다. 이런 암시들이 느낄 수 있기에 전쟁 이후의 세대들이게도 특히 이사회의 발전을 고심하는 이들에게 <광장>은 충분히 생산적인 문제를 제기하고 있는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