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엘프와드 - 고도 3954
장마르크 로셰트.올리비에 보케 지음, 조안나 옮김, 김동수 감수 / 리리 / 2021년 6월
평점 :

엘프와드 : 고도 3954
그래픽노블 / 장마르크 로셰트 , 올리비에 보케 / 리리
알피니즘, 거대한 산을 품고 살았던 열여섯 소년의 성장기
“이토록 살아 있음을 느껴본 적이 있었던가!”
《설국열차》의 작가 장마르크 로셰트
산과 예술, 알피니즘과 산악인들의 우정을 그린 자전적 성장기
- 책 표지 문구 인용 -
산악인들은 왜 목숨을 걸고 정상을 향하는가? 일반인들은 도저히 이해할 수 없는 그 마음을 책을 통해서 간접적으로나마 느껴볼 수 있었습니다. 이 책은 [ 설국열차 ]로 우리에게 알려진 장마르크 로셰트의 청소년기때부터 고산 가이드를 꿈꾸며 산악활동에 매진한 그의 자전적 성장기 이야기입니다.
아마 1976년 엘프와드에서 큰 사고를 겪지 않았다면은 만화가인 장바르크 로셰트가 아니라 고산 가이드 장바르크 로셰트를 만나보지도 않았을까? 싶을 정도로 그의 산에 대한 깊은 경외감과 열정은 대단했었던 것 같습니다. 책이 아주 튼튼한 양장이고 판형도 커서 보기 너무 편하고 소장하기에도 멋집니다. 책을 펼치면 온 책장 가득 펼쳐져 있는 일러스트에 금방 빠져들어가게 되네요.

미술학교에 다니고 있었던 로셰트는 하루종일 그르노블 미술관에서 그림을 감상하는 것이 제일 즐거운 일이였습니다. 그러던 어느날 엄마와 산길을 가다가 혼자 떨어져 나와 작은 산의 정상에 오르게 되던 날 그는 자산이 산과 사랑에 빠졌음을 깨닫게 됩니다. 그가 산에서 느꼈던 지극히 아름다움 그 자체의 광경에 매려되었고 그후 온통 산 생각뿐인 소년이 되었죠.
산을 등반하길 좋아하던 친구인 상페의 도움으로 이웃 친구의 등반 장비를 빌려서 처음으로 도전한 '치즈강판( 바위가 면도날처럼 살아 있어서 미끄럽게 쉬운 암벽)'의 루트의 절벽 끝까지 올라가는 등반을 하고 내려온 후 그 열정은 더 깊어만 가서 엄마에게 장비가 필요하다고 하지만 엄마는 등반은 애들 장난이 아니라며 독어 시험에서 15점 이상을 받아오면 생각해 보겠다는 약속을 받습니다.
그후 열심히 공부해서 20점 만점짜리 독어시험에서 딱 15점을 맞은 로셰트는 약속대로 등반장비를 갖게 되고 그 다음부터는 상페와 함께 등반을 하면서 자신의 등반기록을 차곡차곡 쌓아갑니다.
등반가들의 메가 라베라르드!을 오르면서 도중에 엘프와드 북벽을 보게 되는데... 알프스에서 손꼽히는 장엄하고 아름다운 루트를 보면서 이 다음에 꼭 같이 엘프와드 북벽 드비 - 제르바수티 루트를 함께 오르자고 약속을 합니다.


에귀 디보나( 해발 3,130m ), 에타주 골짜기봉 (해발 3,564m ), 막시매 봉 (해발 3,303m ) 등등의 등반을 하면서 상페와 로셰프는 많은 고비도 넘기지만 점점더 성장해 갑니다. 그리고 등반을 반대했던 엄마와 함게 등반을 하면서 위험한 고비도 넘기지만 산의 정상에서 아름다운 경치를 구경하는 추억도 쌓게 되빈다. 특히나 기숙학교에 갇혔을 때 암벽 등반 실력으로 건물을 타고 내려와 몰래 상페와 등반을 하는 추억은 책을 읽으면서도 재미있으면서도 그 열정이 부럽게 다가오더라구요.
그러나 역시 산은 위험했으니 눈사태로 친구를 잃는 경험도 하고 상페는 산에 가고 싶은 마음이 없어져서 산과 멀어진 삶을 선택하지만 그 결과도 ..... 흠
그리고 로셰프 역시 엘프와드에 오르다가 엄청난 사고를 겪게 됩니다. 엘프와드 긴 빙하에서 사고를 당한 것인데 이 사고가 그의 인생의 흐름을 바꾸어 놓았다고 볼수 있을 듯 합니다. 그만큼 끔찍한 사고였는데 이후 그는 자신의 길은 그림에 있음을 깨닫고 작품 활동에 오랫동안 전념하게 됩니다.
그러나 산을 완전히 떠난 것은 아니였으니..... 비록 산을 직업으로 삼지는 않았지만 지금 이대로 딱 좋을 정도만으로 산과 함께 하는 그의 산과 예술, 알피니즘과 산악인들의 우정을 그런 그의 자전적 이야기가 이 책속에 있습니다. 너무 재미있게 읽었고 산악인들의 알파니즘, 그 마음을 조금은 이해할 수 있게 만들어주었네요.
책서평이벤트에 당첨되어서 책만 제공받아 자유롭게 작성한 리뷰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