쓰는 몸으로 살기 - 나를 다듬고 타자와 공명하는 어른의 글쓰기
김진해 지음 / 한겨레출판 / 2025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언제쯤이면 글쓰기가 물 흐르듯이 자연스러워질까. 매번 글을 쓰는 순간이 되면 두려움부터 앞선다. 어떤 문장으로 시작해야 할지 무엇을 써야 할지 내 감정을 어디까지 넣어야 할지 등등 수많은 고민거리 때문에 글을 써야 하는 순간이 되면 온몸이 긴장감에 휩싸인다. 


언어학자가 쓴 이 책은 '쓰기란 상대를 밀어내는 게 아니라 내 쪽으로 당기는 일'을 설명한다. 나를 다듬고 타인과 공명하는 어른의 글쓰기를 보여주며 머리가 아니라 몸으로 쓰는 일을 이야기한다. 그렇다면 쓰는 몸이란 무엇일까. 하나의 글에 머무르지 않고 끊임없이 성찰하고 새로운 글로 흐르는 몸이다.


이 책에서는 쓰는 몸이 되기 위한 과정을 보여준다. 첫 번째 시작은 힘을 빼는 것이다. 힘이 잔뜩 들어간 글은 진부하고 거부감이 든다.  저자는 글쓰기란 혼자만의 작업이 아니라 작가와 독자의 대화라 말하며 독자의 기운을 느끼면서 자신의 이야기를 간절하게 풀어내야 한다고 설명한다. 


이어서 말의 끌려다니지 않기 위해 말의 특성을 알고 적절한 더하기와 빼기를 적용하여 글맛을 좋게 하는 연습이 필요하다. 이럴 땐 과감히 포기하는 것도 하나의 전략이 될 수 있다. 2부 마무리에 소개된 '인간적인 글쓰기를 위하여' 부분은 많은 사람들이 기억했으면 한다.


글을 잘 쓰게 되는 순간은 그냥 오지 않는다. 자신만의 꾸준한 노력이 뒷받침되어야만 좋은 글이 나올 수 있다. 이 책은 글쓰기에 대한 신체적 감각과 기본 체력을 길러야 하는 중요성을 보여준다. 이 책을 통해 내가 쓴 글들을 다시 읽어보았다. 그리고 앞으로 나만의 글쓰기가 나아갈 방향성에 대해서고 고민하는 시간을 가졌다. 


글쓰기를 통해 내가 얻을 수 있는 점과 내가 기여할 수 있는 점에 대해서도 떠올려볼 수 있었다. 쓰는 몸으로 살아간다는 건 세상과 소통할 수 있는 방법을 터득하는 것이다. 아기가 첫 걸음마를 떼듯 나의 글쓰기도 조금씩 앞으로 나아갈 거란 기대해 본다.


#쓰는몸으로살기 #하니포터11기 #도서리뷰 #서평단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