설탕 전쟁 - 제국주의, 노예무역, 디아스포라로 쓰여진 설탕 잔혹사
최광용 지음 / 한겨레출판 / 2025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달콤한 맛 이면에는 어둡고 씁쓸한 역사가 있었다.


작가의 책은 이번이 두 번째다. 전작인 『향신료 전쟁』에서는 향신료를 둘러싼 서구 열강의 제국주의적 탐욕과 세계사를 맛깔나게 보여줬는데, 이번 책에서는 설탕을 둘러싸고 벌어진 세계 이야기를 드려준다. 


달달한 맛의 대명사인 설탕이 세계사의 결정적 장면들에 크나큰 영향을 끼쳤다는 사실이 흥미롭다. 과거에는 보석처럼 귀하게 여겨졌던 설탕이 현재에 이르러 사람들의 건강을 위협하는 요인 중 하나로 취급받게 될 줄 누가 알았을까. 설탕을 매개체로 들여다본 역사는 기대만큼 달콤하진 않았다.


설탕의 원료인 사탕수수 재배를 위해서 여러 유럽 국가들은 식민지를 건설하고 대규모 농장을 운영했다. 농장 운영을 위해서 원주민들을 거의 노예처럼 부렸고 이 과정에서 원주민들의 고유한 역사와 문화를 파괴했다. 


또한 대규모의 아프리카 흑인 역시 설탕 산업의 희생자가 되었다. 강제 이주를 통해 이들을 노예로 부리며 상상조차 하기 싫은 끔찍한 학대를 자행했다. 이로 인해 흑인 노예들은 분노가 정점에 이르렀을 때 저항이 시작되었다. 이들은 치열한 투쟁은 세계 최초 흑인 노예 독립국인 아이티 공화국의 탄생으로 이어진다.


설탕의 역사에 한인들의 삶이 연결되어 있다는 점도 시선을 끌었다. 20세기 초 '사진신부'라는 제도를 통해 하와이에 있는 정착하게 된 한인들은 약 40개 설탕 농장에 분산 배치되어 끔찍한 노동 환경을 견뎌야만 했다. 그럼에도 이들은 조국의 독립을 위해 적극적으로 활동했고 수입의 일부를 독립운동자금에 보탰다.


달콤한 설탕의 역사가 이토록 잔혹할 줄은 몰랐다. 본능적으로 단맛을 선호하도록 진화해 온 인간의 잔혹한 본성은 역사 속에서도 드러난다. 익숙한 식재료를 통해 알게 된 세계사는 결코 쉽게 잊히지 않을 것이다. 익숙한 역사적 서술에서 벗어나 색다른 접근을 찾는 이들에게 『설탕 전쟁』은 매력적인 이야기를 들려줄 것이다.

#도서제공 #도서리뷰 #서평단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