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둑맞은 자부심 - 상실감, 수치심 그리고 새로운 우파의 탄생
앨리 러셀 혹실드 지음, 이종민 옮김 / 어크로스 / 2025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캘리포니아대학교 사회학과 명예 교수인 저자는 자부심과 수치심을 바탕으로 최근 미국 사회의 우파를 이야기한다. 진보 진영이 놓치고 있는 사실을 보여주고 정치적 갈등의 주원인으로 도덕적 감정을 제시한다.


 시대의 변화에 따라 지역적 자부심이 강한 이들이 겪게 되는 상실감이 '도둑맞은 것'이라는 정치적 메시지로 발산될 때 '우파'라는 이름의 색은 점점 더 짙어지게 된다. 저자가 들려주는 이야기는 전혀 낯설지 않다. 지난 선거를 거치면서 비슷한 양상을 목격했기 때문이다. 


7년에 걸친 저자의 취재와 인터뷰는 전 세계적인 우경화의 원인을 찾는 단초를 제시한다. 가난한 사람들이 트럼프에 열광하고 민주당의 확고한 지지층이 공화당으로 돌아서게 된 원인을 이념이 아닌 감정에서 찾는 발상이 신선하다. 


이 책을 통해 그동안 풀리지 않던 의문이 조금씩 풀려가기 시작했다. 언젠가부터 정치적 양극화가 더 심해지고 젊은 세대들의 우파 성향이 심상치 않게 느껴졌다. 단순히 상식의 문제라 여겼기에 그들의 태도 변화를 도무지 이해할 수 없었다. 이제는 그들의 상황과 변화를 이해할 수 있을 것 같다. 


혹실드 교수의 오랜 연구 결과는 경제적 박탈감과 정체성의 위기가 우파를 열광하게 되는 이유가 된다는 사실을 알려준다. 빠르게 변하는 문화에 곧바로 반응하지 못하고 경제적 쇠퇴가 가팔라지면서 존재감마저 박탈당하는 현실에서 이들이 우파 정치인의 선통에 빠르게 흡수되는 현실이 구체적으로 보인다. 


어느 때보다 이념 갈등이 치열한 요즘, 많은 사람들이 이 책을 읽었으면 한다.  2030세대의 우경화는 우리나라만의 현상이 아니다. 미국의 현실에서 대한민국의 현재가 보인다. 서로의 감정을 들여다보고 보듬으며 경청의 자세를 취한다면 격동하는 정치적 분노를 가라앉히고 진보 진영이 다시 신뢰를 받을 수 있는 길을 찾을 수 있을 것이다. 결국 우리에게 필요한 건 인간에 대한 이해다. 

겉보기에 트럼프는 지지자들에게 자부심을 되찾아주고 있었다. 그는 대다수 미국인이 거짓이라고 여기는 것들을 그들에게 제공했다. 그리고 그 거짓을 한 가지 진실과 결합했다. 잃어버린 자부심이라는 진실이었다.

p. 342

'내 진짜 모습을 알아봐준다.' 갈수록 심해지는 분열을 치유하기 위한 첫 번째 과제는 흙덮이처럼 보이지 않는 존재가 되어버린 사람들의 얼굴을 제대로 알아봐주는 것일지도 모른다.

p. 399


#도서리뷰 #서평단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