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트] 키메라의 땅 1~2 세트 - 전2권
베르나르 베르베르 지음, 김희진 옮김 / 열린책들 / 2025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진화 생물학자 알리스는 혼종 인류 연구를 진행하던 중 반대 세력의 위협으로 국제 우주 정거장에서 연구를 이어가기로 한다. 그녀가 우주에서 3종족의 키메라를 탄생시켰을 때 지구에서는 3차 세계 대전이 발발한다. 수많은 나라들이 핵폭탄을 쏘아대자 지구는 궤멸하게 된다. 더 이상 우주에서 버틸 수 없는 상황에 알리스는 3종족의 키메라 배아를 들고 지구로 귀환한다. 그녀가 도착한 파리에는 핵 전쟁에서 살아남은 소수의 인간들이 지하 공간에서 생활하고 있었다. 멸종 사태의 구인류와 새롭게 생겨난 신인류의 동거는 순조롭게 이루어질 수 있을까.


무한한 상상의 세계가 소설 속에서 펼쳐진다. 인간과 박쥐의 혼종으로 하늘을 날 수 있는 '에어리얼', 인간과 두더지의 혼종으로 땅을 파고 지하에서 생활할 수 있는 '디거', 인간과 돌고래의 혼종으로 물속에서 유영하며 살아갈 수 있는 '노틱'. 전공자의 시선에서는 결코 상상하고 싶지 않은 결과물이 탄생했다. 유전학과 진화론에 관심이 있지만 이종 간의 교배는 내키지 않았다. 그런 까닭에 소설에서 키메라 연구가 성공했을 때 불안함을 지울 수 없었다. 상상력의 결말이 어떻게 전개될지 마음이 급해졌고 결말까지 단숨에 읽을 수 있었다. 


알리스가 태아들의 움직임을 보고 잠을 이루지 못한 장면에서는 과학자의 자부심과 성취감을 엿볼 수 있었고 그 순간의 감정이 어떨지 짐작할 수 있었다. 그러나 성공의 기쁨도 잠시였다. 과연 이 키메라를 인류의 후계자라 말할 수 있을까. 애벌레가 나비가 되는 건 종의 고유성을 유지하는 진화와 성장의 단계다. 이에 반해 혼종의 탄생은 창조의 영역에서 생각해 볼 수 있다. 낯선 외모와 능력에 대한 거부감과 이질감을 과연 극복할 수 있을까. 구인류와 신인류는 조화를 이룰 수 있을까.


소설은 과학적 상상력으로 만들어진 세상이지만 어쩌면 가까운 미래에 어느 연구실에서 키메라 탄생 뉴스를 듣게 될지도 모른다. 작가는 자신만의 방식으로 인류의 미래와 진화에 대한 고민을 제시했다. 작가가 보여주는 세상은 막바지 무더위가 극성인 여름날에 가슴 깊이 서늘함을 안긴다. 


#도서제공 #서평단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