칼의 노래 (1.2권 합본) - 우리 소설로의 초대 4 (양장본)
김훈 지음 / 생각의나무 / 2001년 10월
평점 :
구판절판


"이제 죽기를 원하나이다. 하오나 이 원수를 갚게 하소서."
노량 해전 출정에 앞서 그가 올린 기원이다.
이순신의 이야기를 할 때마다 매번 들었던 이 한마디가 이 책의 말미에서 문득 눈시울을 뜨겁게 만드는 것은 무슨 이유에서일까?
눈에 보이는 적, 눈에 보이지 않는 적, 칼로서 베어지는 것, 그리고 칼로서 베어지지 않는 것
눈에 보이는 적, 그리고 칼로서 베어지는 것은 보이는 데로, 베어지는 데로 하면 될 것이지만, 눈에 보이지 않는 적은 어떻게 찾아낼 것이며 칼로서 베어지지 않는 것은 어떻게 베어낼 것인가?
어쩌면 그는 임진년 이후 전쟁터에서 그것을 고민하며 괴로워하고 극복하려고 하지 않았을까?
김훈의 [칼의 노래]를 읽으면서 내내 그것이 마음에 걸렸다.
우리는 늘 이순신을 가리쳐, 성웅, 불멸의 신이라 불렀다.
그는 살아있는 역사 속의 한 사람이기 보다, 현실에는 없었던 신화적 인물로 색칠되었다.
원탁의 기사였던 아더 왕이 실존 인물이었음에도 불구하고, 그저 신화 속의 영웅처럼 그려지듯이, 이순신 역시 실제하는 유한하고 나약한 한 인간이었음에도 불구하고, 불사신처럼, 혹은 실패를 모르는 전쟁 영웅처럼 그려지고 있는 것은 아니었던가 싶다.
김 훈의 [칼의 노래]에는, 임진년 이후 이순신의 행보 속에서, 과거와 현재를 넘나들며 그의 인간적인 고뇌와 전쟁의 잔혹함, 그리고 어지러운 당시의 정치 현실을 강하면서도 매끄러운 문체로 표현되고 있다.
책을 한 번 잡으면 결코 손을 놓을 수 없는, 이 강렬하고도 매혹적인 이끌림, 그것은 어쩌면 당시 이순신의 환도에서 들렸던 울음, 그것이 아니었을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