엉덩이에 입맞춤을 일루저니스트 illusionist 세계의 작가 9
에펠리 하우오파 지음, 서남희 옮김 / 들녘 / 2008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이 책을 인류학과 관련된 이러저러한 책들로 평가하긴 하지만 다 읽고난 느낌은 말 그대로 "똥구멍과 항문의 차이"라 할 듯 싶다.

우리는 세상에서 더러운 것들이 축적되어 배설되는 것을 외면하려든다.
그곳만큼 악취가 나고 부패한 곳은 없으니까.
하지만 그곳에서 지독한 고통이 시작되면 그 위에 놓여있는 세상까지 고통스러워지기에 어떤 방법을 써서라도 고치려고 한다.
그 어떠한 방법도 근본적인 문제를 해결할 수 없다.
왜냐하면 사람들은 그곳을 "똥구멍"이라 하고 "항문"이라 하지 않기 때문이다.

"똥구멍과 항문"
결국 같은 배설 구멍인데 무슨 차이가 있을까?
"똥구멍"이 된다면 그곳은 세상에서 쓸모없는 쓰레기들이 모여든 곳이 되지만 "항문"이 되면 인간의 신체에 중요한 한 부분으로써 최종의 결과들이 집적되는 곳이 된다.

오일레이가 많은 도토레들을 만나고 현대 의학의 힘을 빌리긴 하지만, 그들은 모두 그가 아픈 곳이 "똥구멍"이라고 생각한다.
오일레이의 고통을 멈추게 하고 치료하게 한 바부는 그곳을 "항문"이라 칭하고 인간 삶에 있어서 중요한, 그래서 소중하게 여겨져야 할 한 부분이라고 생각했다.
치료할 수 있음은 바로 여기에서 시작되는 것이다.

이것은 단지 인간의 몸에 관한 것만이 아니다.
우리는 세상을 살면서 더럽고 악취나는 문제에 대해 특별한 고통이 수반되지 않는 한 외면하려고 든다.
바로 부자들이 극빈자들을 외면하려는 것과 마찬가지로.
하지만 그들이 문제를 일으키고 그것이 고통을 수반하게 되면, 사탕과 꿀로 그들을 달래기도 하고, 채찍과 몽둥이로 괴롭히기도 하고, 아예 들어내어 다른 것으로 바꾸려고도 한다.
하지만 그 어떠한 것도 소용이 없다.
왜냐하면 많이 가진 자가 있으면 하나도 가진 게 없는 자들도 있는게 세상 이치니까.
그렇다면 그들의 입장을 생각하고 그들도 세상을 구성하는 중요한 부분이라는 생각을 갖고 관심을 갖는 것이 문제를 해결하는 근본적인 자세가 될 것이다.
바로 그 자세가 고통을 없애고 악취를 제거하며 부패를 막아 안정적인 상태를 만들어주게 될 것이다.

그것이 바로 하우오파의 소설 [엉덩이에 입맞춤을]이 이야기하려는 바가 아닐까 싶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