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라예보의 첼리스트
스티븐 갤러웨이 지음, 우달임 옮김 / 문학동네 / 2008년 12월
평점 :
품절


실화라는 설명에 '작가의 말'을 먼저 읽고 경악을 금치 못했다. 이토록 거짓말 같은 이야기가 어째서 묻혀있었던 것일까. 이게 진짜라면 영화나 노래 같은 것으로 진작 나올 법한데. 혹시 나만 몰랐던 것일까... 그러나 이야기는 실화가 맞았다.

<사라예보의 첼리스트>는 1992년 사라예보 내전을 바탕으로 하고 있다. 4년 동안 사라예보라는 도시는 적군에게 포위되었다. 적군은 도시를 둘러싸고 저격수를 배치했고, 도시의 거리는 누구나 생의 마지막이 될 수 있는 폐허로 변했다. 거리의 아무데서나 친구와 가족이 팩팩 쓰러져갔을 것이고, 쓰러졌던 자리 위에서 다른 누군가가 다시 쓰러졌을 것이다. 그 때의 사라예보 시민들에게 4년이란 시간은 남은 평생을 합해도 모자랄 만큼 긴 시간이 아니었을까.
 
당시 내전 중이었던 사라예보를 어떻게 설명해도 상황의 묘사가 와닿지 않을 것이다. 대개의 전쟁은 한 사람의 목숨에 초점이 맞춰지지 않기 때문이다. 너무나 거대한 것은 오히려 비현실적이다. 하지만 소설은 다르다. <천 개의 찬란한 태양>이 그랬듯, <사라예보의 첼리스트>도 큰 사건의 작은 개인에게 시선을 돌린다. 거기 진짜 위대한 이야기가 있다는 것을 아는 듯이.
 
이 책에는 사라예보의 시민들이 나오지 않는다. 다만 네 사람이 나올 뿐이다. 나는 그 중에서도 가족을 위해 주기적으로 죽음의 거리로 나가 식수를 받아와야 하는 가장(그는 웃으며 문 밖을 나선 뒤, 죽음이 무서워 문에 기대어 하염없이 운다)의 이야기에 가슴이 아팠다. 22일 동안 죽음의 거리 한 가운데서 아다지오를 연주했던 첼리스트보다, 올림픽 금메달을 딴 총으로 이제는 적군을 죽이는 여자보다, 단란한 가정을 지키고 싶은 무명의 한 남자가, 그의 눈물이 너무 아름다워서, 차라리 가슴이 아프다.
 
"거리에서 첼로를 연주하고 있는 남자가 있어요."
"시장 근처에서요. 빵을 사려고 줄 서 있던 사람들이 죽은 곳이죠."
"매일, 네 시에."
 
이것은 자신이 할 수 있는 일을 지금 하고 있는 사람들의 이야기다. 대단한 사람은 아무도 없다. 그들이 하는 행동이 그들을 위대하게 만들었을 뿐이다.
 
 
* 2008년의 사라예보(터널 B라고 부르는 관광용 건물)

이제 사라예보는 전쟁의 상처로 돈을 번다. 숨기고 싶은 역사와, 숨길 수 없는 지금이 만나는 장소. 지금 사라예보 시민들은 위대했던 그들의 역사를 기억하고 있을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7)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