행복한 만찬 - 공선옥 음식 산문집
공선옥 지음 / 달 / 2008년 5월
평점 :
구판절판


나는 도시에서 자랐다. 하지만 우리나라의 어디에나 그러하듯, 근교엔 물론 논밭이 있었다. 논밭을 가꾸는 나의 할머니도 있었고, 할머니의 윗입술 주름처럼 쪼그라든 감이 무성한 늦가을 감나무도 있었고, 감나무에 둥지를 튼 까치도 있었다. 나는 도시에서 자랐고, 지금도 도시에서 산다. 그러나 문명의 중심에서도 내 몸은 늘 대지와 대지의 언어를 기억하고 있었다. 그것을 한 권의 책으로 느꼈으니, 고맙다는 말로 차마 표현할 수 있을까.

'행복한 만찬'이라는 제목 때문에 풍성한 식탁을 예상했었다. 하지만 글이 내게 준 건 '궁핍했지만 아름다웠던 시절'이었다. 하지만 또 그것이 어떤 고급 메뉴보다 풍성한 식탁이라는 걸, 인정하지 않을 수 없다.

소설가 공선옥의 식탁에는 어떤 메뉴가 있을까.
고구마, 쑥, 감자, 보리, 무, 콩, 토란, 시래기, 고들빼기, 초피, 메밀...
그래, 이름만 들어도 절로 미소가 지어지는 것들. 지금 내 몸을 만들어주고, 내 정신을 지탱해주는 것들. 고맙다, 고맙다는 마음이 먼저 생기는 것들. '음식'이라고 얘기하기 차마 아까운 것들.

공선옥 선생님, 고맙습니다.
당신 덕분에 오늘 내 마음 속을 헤집어 푸릇푸릇한 푸성귀 한 잎을 찾아 내었습니다. 서걱거리는 것들, 둥글둥글한 것들, 잘 여물어 행복하게 자라있는 것들, 오늘 다 만나 보았습니다. 선생님이 차려주신 마음밥상을 잘 먹었습니다. 다시, 시작하겠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