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때 프리드리히가 있었다 청소년문학 보물창고 17
한스 페터 리히터 지음, 배정희 옮김 / 보물창고 / 2005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지금까지 읽은 2차세계대전 전후소설 중 최고였습니다. 감히 평생을 가까이 두고 싶은 책이라고 말하고 싶습니다.

유대인과 비유대인이 아직은 이웃으로 지내던 어느 날부터 이야기는 시작됩니다. 그 때 '프리드리히'가 있었습니다. 이 작은 유대인 꼬마의 성장은 사회의 퇴화와 걸음을 같이 합니다. 그리고 독일이 권력과 폭력, 광기에 뒤덮일수록 '프리드리히'는 고통을 받게 됩니다.

가볍게 읽히는 소설인데, 문학적 상징과 비유가 잘 녹아내린 작품이기도 합니다. 예를 들자면 아래와 같은 것들입니다.

난장이 눈사람- 작품의 처음과 끝에 등장하며, 무기력한 유대인의 모습을 상징하는 듯합니다. 후에 '프리드리히'의 비극적인 결말을 암시하기도 합니다.

화자인 '나'의 망치놀이- 집단의 권력이 갖는 광기에 대한 상징이며, 그것이 '프리드리히'라는 개인적 영역으로 들어가면서 '나'는 혼란스러워지게 됩니다.

레쉬의 슈나이더 유품 도둑질- 죽은 사람의 물건을 훔침으로써, 현재까지 이어지는 유대인 박해를 상징하는 듯 보입니다.

이것 말고도 더 풍부한 내용인데, 기억이 잘 나지 않네요. 하지만 무엇보다 제게 가장 깊이 남게 될 장면은 바로 사람입니다.

참 이상한 일이죠. 사회가 폭력적일수록 인간은 더 아름다워지나 봅니다. '아브라함의 가게에서 고집부리며 물건을 사간 노파', '옳은 판결을 해 준 멋진 판사', '프리드리히를 사랑한 헬가'...... 아무래도 이 비극적인 책은 저에게 수 많은 아름다운 사람들로, 그들의 아름다운 이야기로 남을 모양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