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중그네 오늘의 일본문학 2
오쿠다 히데오 지음, 이영미 옮김 / 은행나무 / 2005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이미 많은 사람이 의사 '이라부'씨를 만난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나는 좀 늦은 편이겠지요? 많은 기대를 하고 만났습니다. 오랫동안 베스트셀러로 사랑받고 있는 책의 주인공이니까요. 그런데 많이 알려진 것치곤 이라부씨는 조금 심심했습니다. 어디선가 본 것도 같았구요. '괴짜'에도 전형이 있다는 것을 이 책을 읽고 느꼈습니다. '괴짜'라면 전형적이지 않은 사람을 뜻하는 말일텐데, 세상에 '괴짜'가 많다보니 이제는 '괴짜'에도 전형이 생겼나 봅니다. 아니면 전형적으로 보이면 그 때는 '괴짜'가 아니라고 해야 할까요? 어쨌든 이라부씨는 정신과 의사로서는 좀 '괴짜'인 것은 확실합니다. 약물 치료라곤 전혀 하질 않고, 환자의 속만 썩이니까요.

그래도 이라부씨를 만난 시간은 좋았습니다. '공중그네'는 아주 착한 책입니다. 착한 책의 착한 주인공이니 시간이 아까울 리 없겠지요. '공중그네'가 착한 책인 이유는, 아픈 사람을 치료해주기 때문입니다. 여기에 나오는 다섯 명의 아픈 사람들은 몸보다는 마음이 아픈 사람들입니다. 그런데 그들은 자신들의 마음이 아픈 줄을 잘 모릅니다. 이라부씨는 그런 사람들의 속을 썩이면서, 그 사람들이 자신과 친해질 수 있게 합니다. 치료의 첫 단계인 셈이지요. 그러고 나서야 본격적인 치료가 시작되는데요, 사실 치료라기엔 부끄러운 수준입니다. 비타민 주사를 놓는 것이니까요. 치료는 그렇게 두 가지가 병행됩니다. '속썩이면서 친해지기'와 '억지로라도 비타민 주사놓기'.

인간은 심리학적으로 모두 아픈 존재입니다. 병리학적으로는 그것을 정도에 따라 구분해놓았지만 심리학적으로는 그렇다고 합니다. 이라부씨는 이 아픈 사람들에게 최선의 처방을 해줍니다. 아까 이야기했던 친해지기의 방법으로요. 사실 모든 사람은 '아픔'과 '외로움'을 동시에 느낍니다. 그런데 이 두 가지는 한꺼번에 오는 것이 아닙니다. 그리고 아프기 때문에 외로운 것도 아닙니다. 외롭기 때문에 아파오는 것입니다.

가을입니다. 외롭기 때문에 아픈 사람이 없었으면 좋겠습니다. '외롭다'고 주변사람들에게 이야기해보세요. 그들도 사실 외로워하고 있을 지 모를 일입니다. 서로 껴안아준다면 낭만적이고 따뜻한 가을이 되지 않을까요? 그것도 힘들다면, 잠시 이라부씨를 만나보세요. 조금은 전형적인 괴짜지만, 따뜻한 사람이니까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