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리데기
황석영 지음 / 창비 / 2007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올해 '오 하느님', '캐비닛', '남한산성', '리진', 그리고 이 책 '바리데기'까지를 읽고 나니 한국문학의 중흥이라고 했던 한 문인-사실은 이 책의 저자-의 말이 거짓이 없음을 알겠다. 그간 한국문학이 보여주지 못했던 것들을, 마치 2007년이라는 해에 맞추어 일시에 보여주자는 작가들의 담합이 있기라도 했던 것처럼, 풍성하다.

황석영은 대단한 작가다. '손님'을 읽고난 뒤에도 그 대단함을 몰랐었는데, '바리데기'를 읽고 황석영이 대단한 작가였구나, 라고 생각했다. 황석영이야말로 진짜 참여문학을 하는 몇 안되는 이 중 하나다. '삼포가는 길', '객지', '오래된 정원', '손님', 그리고 '바리데기'로 이어지는 그의 문학 여정에는 그가 치열하게 고민하는 당대의 현실이 녹아 있다. 대개는 자신이 가지고 있는 화두와 소재가 문학인생의 끝까지 이어지는 데 반해, 황석영의 소재는 늘 현재형이다. 이렇게 자주 변신하는 작가가 있을까. 이렇게 끝까지 현재의 문제를 고민하는 작가가 있을까. 그의 품은 마치 우주와 같다. 그의 사유가 김수영의 불온성을 보는 것 같다. 늘 어제의 자신을 깨트리는 모험. 황석영은 살아있는 '바리'다. 나는 이 '바리'를 한동안 기억하겠다. 다음 작품의 주인공이 오기 전까지.

 

* '바리데기'는 '바리'라는 북한 소녀의 일대기다. 한국 설화인 '바리데기'를 현실에 차용해 쓴 것이 개인적으로는 '디 워'라는 사회현상, 더 정확하게 말하면 '디 워'의 엔딩곡으로 '아리랑'을 쓴 것과 자꾸 오버랩되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