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봄눈 ㅣ 풍요의 바다 1
미시마 유키오 지음, 윤상인 외 옮김 / 민음사 / 2020년 9월
평점 :
배경은 러일전쟁 종전(1905년) 7년 뒤인 1912년과 그 1년 뒤인 1913년
주인공인 마쓰가에 기요아키는 후작의 아들로, 그의 할아버지는 메이지 유신 때 정부에서 큰 역할을 해서 귀족의 기틀을 마련해놓는다. 그의 아버지인 후작은 군인 출신으로, 돈은 많으나 ˝진짜 귀족˝에 대한 열등감이 있다. 그래서 아들을 아야쿠라 가문에 어렸을 때부터 조기유학을 시킨다.
아야쿠라 가문은 이른바 오래된 ˝진짜 귀족˝으로, 아야쿠라 백작의 딸인 아야쿠라 사토코와 마쓰가에 기요아키는 어렸을 때부터 사이좋게 지낸다.
기요아키는 사토코를 좋아하지만 그런 좋아하는 감정을 들키고 싶어하지 않는다. 하지만 젊음을 숨기기 어렵듯 사랑을 숨기기도 어려운 게 18살이다. 기요아키는 이를 무척 수치스럽게 생각하며, 한낱 여인의 손에 휘둘리는 자신의 모습을 혐오한다.
기요아키는 사토코에게 허세 가득한 편지를 보내며 ˝나는 너한테 휘둘리지 않음˝을 과시한다. 하지만 보내고 나서 이불킥하는 문자처럼 기요아키는 그 편지를 보내자마자 바로 후회한다.
그래서 사토코에게 전화를 걸어 편지를 절대 읽지 말고 불태워버리라고 부탁한다. 나중에 사토코의 하녀인 다데시나에게 편지를 어찌 했냐고 묻자 하녀는 ˝받자마자 불태워버렸다˝고 한다. 기요아키는 안심한다.
하지만 그것은 하녀의 거짓말이었으며 사토코는 편지를 읽었다는 걸 나중에야 기요아키는 알게 된다. 그래서 그 뒤로 사토코와 아예 연락을 끊어버린다. 몇 번이고 편지가 오지만 모두 불태워버리거나 찢어버린다.
몇 달 뒤 아버지가 기요아키에게 ˝사토코가 다른 사람과 결혼해도 괜찮겠느냐˝ 라고 묻는다. 기요아키는 괜찮다고 말한다. 그 결과 사토코는 천황의 친척에게 시집 갈 준비를 한다. 그 첫 번째 관문인 칙허는 천황에게 결혼을 허가 받는 것을 의미하는데, 이 칙허 소식을 듣자마자 기요아키는 자신이 사토코를 사랑함을 비로소 인식한다.
˝기요아키에게 환희를 안긴 것은 불가능이라는 관념이었다.˝ -235p.g
기요아키가 사토코를 사랑한다는 걸 비로소 알게 된 것은, 그 이전까지는 언제든 손에 닿을 수 있던 존재가, 이제 그럴 수 없게 됨을 알게 됐기 때문인 거 같다. 금지된 것이 더 유혹적인 것이다.
이렇게 기요아키와 사토코는 밀회를 시작하게 되고, 둘의 사랑은 파국으로 치닫는다.
이 책을 읽으면서 든 생각이 몇 가지 있다.
1.자존심이란 무엇일까?
˝나는 위험하고도 대단한 사랑을 한다˝는 자존심,
사토코에게 휘둘리지 않겠다는 자존심,
이 자존심은 기요아키의 세계를 떠받치는 기둥 같은 것이며
역설적으로 그것 때문에 그의 세계는 무너진다.
자존심은 열등감과도 깊은 연관이 있는데
열등감은 무엇을 실제로 얼마나 갖고 있는가와는 전혀 상관없다.
실제로 후작은 백작보다 더 상위의 귀족이지만, 마쓰가에 후작은 아야쿠라 백작에게 귀족적인 면에 대해서 열등감을 갖고 있다.
아야쿠라 백작은 마쓰가에 후작에게 경제적인 면에서 열등감을 갖고 있고, 자존심이 상한 백작은 딸을 통해 복수 하겠다고 마음 먹는다.
모든 것은 자존심과 열등감이라는 한 가지 감정의 두 가지 면으로 인해서 생겨난다.
내가 있으면 남이 있듯 자존심이 있으면 열등감이 있게 되는데
이는 나르시시즘 적인 면에서 기원하게 되는 게 아닌가 싶다.
자신을 너무 사랑하고 싶은 사람은 타인을 무시하게 되나보다.
2.유미주의라는 것은 무엇일까?
유미주의(탐미주의)는 감각에 몰두하는 것이다.
내용보다는 형식을 더욱 중요시하는 사조다.
미시마 유키오는 유미주의적인 문장으로 유명한데, 실제로 그의 소설을 읽고 있으면 매우 잘 짜여진 비단을 보는 듯한 기분이 든다.
단순히 형식(문장)만 유려한 게 아니라, 소설의 본질이라 할 수 있는 내용(서사) 측면에서도 매우 흡인력는 모습을 보여준다.
소설가 신경숙이 그의 문장을 표절했으니, 문장이 아름다운 것은 두말 할 나위가 없을 것이다.
3.전쟁을 아름답게 표현한다면 실상까지 미화될까?
대포 탄환 한 쌍으로 장식된 사당에 가며 ˝깨끗한 나무로 만든 쌀 되 안에 들어간 듯한 기분을 느낀다˝는 표현이 있다. 이는 아마 작가의 실제 감정이 아닐까 싶다.
1925년 생의 실제 귀족인 작가는 10대 중후반에 일본 제국의 몰락을 보았을 것이다. 하지만 몰락되기 전의 일본은 러시아와도 싸워 이겼으며, 세계 최강국인 미국과도 싸웠을 정도로 강대국이었다(고 작가는 생각할 것이다).
전쟁을 그리워하는 걸까? 아니면 그 시기의 자신을 그리워하는 걸까. 귀족이라는 건 역사적으로 전쟁을 먹고 자란 계층이므로, 전쟁이 일어나면 자신에게 이득이고, 자신은 죽지 않을 거라 생각했을 수도 있다.
옛 선조에 대해서, 전쟁에 대해서, 천황에 대해서 아름답게 표현을 하고 있는 걸 보면
비단을 짜내는 누에를 보는 기분이다.
창작품과 실제 창작자와의 갭이 너무 커서 어떤 마음으로 작품을 감상해야 할지 모르겠다.
미시마 유키오는 이상주의적인 경향이 강한 거 같다.
톨스토이도 실제로 귀족이고, 전쟁을 참가한 경험이 있는데, 그는 전쟁의 참혹한 현실을 있는 그대로 그려낸다. 그리고 전쟁이 일어나서는 안 되는 것임을 주장하지 않고, 그 현실을 보여줌으로써 우리를 설득시킨다.
톨스토이는 전쟁에 있어서만큼은 철저한 현실주의자인 것이다.
전쟁에서 희생당한 한 사람 한 사람은 제각기 깨진 세계다. 어떠한 미문도 전쟁을 미화할 수는 없다는 게 내 생각이다.
허나 이 작품의 초반부를 넘어가면, 그 뒤에는 군국주의에 대한 찬양이 나오지 않으므로 읽을 만하다.
요컨대 작품과 창작자의 관계는
작품에 창작자의 향이 너무 진하게 묻어나서는 안된다는 것이다.
비단은 아름다운 것이지만 그 위에 누에가 올라간다든지
누에 그림이 그려져 있다든지 해서는 비단조차 아름답지 않아진다는 생각을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