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논어 (무삭제 완역본) ㅣ 현대지성 클래식 23
공자 지음, 소준섭 옮김 / 현대지성 / 2018년 10월
평점 :
논어는 공자 사후 제자들이 기록한 스승의 언행을 집대성해 낸 책이다.
동아시아의 가장 큰 스승이라 할 수 있는 공자의 말과 행동을 배울 수 있다고 하기에 큰 기대를 했으나, 실망이 제법 컸다.
물론 좋은 부분도 있었다. 그 대표적인 것이 바로 ‘배움‘으로 대표되는 자기 수양의 강조다. 공자는 배우고 또 배웠다. ˝내가 아는 게 가장 많은 사람은 아닐지 몰라도, 나보다 배우는 걸 좋아하는 사람은 없을 것˝이라고 공자는 말한다.
하지만 그 이외의 말들은 그저 좋은 말로만 느껴질 뿐, 그다지 마음에 와닿지 않았다. 살아오며 들은 명언에는 <논어>가 출처인 말들이 참 많았다. 그런 말들을 보며 <논어>를 꼭 다 읽어보리라 생각했으나, 정작 책 전체를 읽어보니 공자 사상이 가진 한계점이 눈에 들어왔다.
수기치인으로 대표되는 공자의 사상은 ˝먼저 자신을 수양한 뒤에 남을 다스리라˝를 골자로 한다. 이를 역으로 말하면, 통치 문란의 원인을 집권자 개인에게 돌리는 방식인 것이다. 즉 사회 문제를 시스템이 아닌 개인의 문제로 돌려버림으로써, 책임소재 묻기에만 급급한 사상이 될 수 있는 취약점을 갖고 있다.
또한 공자 사상은 기본적으로 ‘남에게 쓰임 받기 위한‘ 학문이다. 그렇기에 예법에 대한 집착이 심하고, 유신을 주장하되 혁명에는 반대하는 보수성을 갖고 있다. 또한 고착된 계급을 정당화하는데, 이는 ˝군군, 신신, 부부, 자자˝로 대표되는 ˝정명 사상˝에 잘 나타나 있다.
정명 사상은 ˝~다움˝을 강조하는 사상이다. ˝그 지위에 있지 않으면 그 일을 도모하지 않는 것˝이 바로 정명이다. 자신의 몸가짐을 조심하고 ˝~다움˝에 집착하는 것은 피지배계층이 해야 할 일이다.
그렇기에 정명 사상은 기본적으로 지배 계급의 논리로 쓰이기 좋다. ˝임금은 임금답게, 신하는 신하답게˝라고 말은 하지만, 사실상 임금에게 ˝임금답지 않다˝고 혁명을 일으키는 것은 금지되어 있기에, 남는 것은 ˝신하는 신하답게˝라는 피지배계층에 대한 기강 잡기뿐이다.
<논어>를 읽다 보면 칭찬과 비난에 대한 구절이 많이 나온다. 바로 ˝군자˝와 ˝소인˝으로 인간을 이분법적으로 나누어놓고, ˝군자는 ~하고, 소인은 ~한다˝는 식으로 평가하는 식이다.
하지만 칭찬이라는 것은 비난과 마찬가지로 한 가지 실재에 대한 방향만 다른 그림자일 뿐이다. 남을 칭찬하는 걸 자주 하는 사람은 인정욕구가 강한 사람이고, 비난도 곧잘 할 사람이다.
공자의 비극은 ˝말 잘 듣는 사람˝ 만드는 가르침을 설파했으나, 정작 본인은 어떤 군주에게도 쓰이지 못했다는 데 있다. 그에 따라 인정욕구도 제대로 채워지지 못했을 것이다. 그리하여 공자는 반역을 비난했으나, 정작 반역을 일으킨 역적에게 자리를 제안받자 수락하려고 하는 이중적인 모습을 보인다(그의 제자 자로가 이를 비난한다). 즉 지행합일이 되지 않는 것이다.
제자가 ˝3년상을 꼭 치러야 합니까?˝라고 묻자, ˝네가 편하다면 1년상만 해라˝라고 공자는 답한다. 그리고 제자가 사라지자 ˝그 녀석은 부모에게 사랑을 받지 못했나보다, 3년상을 치르는 것은 당연한 것인데˝라고 한탄한다.
이 대목에서 나는, ‘기원전 6세기의 중국이 그렇게 경제적으로 풍족했을까?‘ 하는 생각이 들었다. 부모님이 돌아가신 뒤 3년 동안 일을 제대로 하지 않아도 사회가 굴러갈 수 있었다는 소리이기 때문이다. 하지만 경제적으로 어려운데도 3년상을 하는 게 과연 합리적인 행위일까? 그렇진 않을 것이다.
공자 사상의 한계는 바로 ˝전통˝과 ˝~다움˝에 집착한다는 데 있다. 전통이라는 이유 하나만으로 무조건 지켜야 한다고 주장하는 건 말이 안 된다. 공자가 3년상 같은 전통에 집착했던 이유는, 그것이 사람들에게 인정받을 수 있었던 방법이었기 때문일 것이다.
˝아침에 도를 들으면 저녁에 죽어도 좋다˝
20대에 처음 이 문장을 들었을 때 무척 감탄했던 기억이 난다. 하지만 <논어>를 다 읽고 나니, 겉으로만 그럴듯한 나르시시스트의 말을 듣는 것 같다. ˝죽어도 좋을 만큼 나는 배우는 걸 사랑해˝라고 말하는.
번외.
공자 사상과 반대로, 노장사상은 철저히 지배계층의 처세술 같다. 따라서 지배계층은 노장사상을 국민(피지배계층)에게 배급할 필요를 느끼지 못한 것이다.
=>이 둘(공자, 노자)의 공통점은 ˝적정함˝을 강조했다는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