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아토피 길라잡이 - 닥터몰리의 면역으로 치료하는 난치병
송창수 지음 / 부광 / 2010년 3월
평점 :
품절
 |
|
|
|
아토피 또는 아토피 증후군은 알레르기 항원에 대한 직접 접촉 없이 신체가 극도로 민감해지는 알레르기 반응을 이른다. 아토피의 증상으로는 아토피성 피부염, 알레르기성 결막염, 알레르기성 비염, 천식이 있다. 발병에는 유전적 영향이 크다.
|
|
|
|
 |
현대의학으로 명확한 원인과 처방을 할 수 없는 병들이다. 민간치료가 훨씬 발달해서 공기 좋은 자연재의 집에서 유기농 채소를 섭식하며 치료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모르긴 해도 주변의 공기와 음식, 집에서 나오는 기운이 ‘명확한 원인을 알 수 없는 병’을 치유한다는 믿음은 있는 것 같다.
시골에 산지 몇 년 동안 이곳에 나서 사는 아이들을 보면서 아토피성 피부염을 앓고 있는 아이를 보지 못했다. (아주 깊숙이 보이지 않는 곳에 숨겨져 있을 수도 있지만 여름에는 대부분 드러난 피부들이 증명하기 때문에)그렇다고 하면 결국 도시에서 거주하면서 막힌 공간에서 사는 것이 인간의 생체리듬과 근본적인 생리작용을 방해한다는 것이 아닐까.
책을 쓴 저자는 한의사다. 한의학적으로 체질을 알고 처방할 때 아토피도 거뜬히 치료할 수 있다는 자신감을 가지고 있고 많은 수의 임상을 증거로 보인다. 한의사이면서 서양의학과 손을 잡는다. 세포 분자단위의 과학적 분석을 통해서 얻을 것은 얻어내지만 이로 잡아낼 수 없는 부분들( 미드 ‘하우스’가 떠오르는 군)에 대한 해답은 결국 ‘체질’에 따른 습관의 변화(먹는 것이 주요한 부분)로 해결할 수 있다는 것이다.
대구 쪽에 한 의사 분은 고혈압과 당뇨환자들에게 약을 끊고 현미를 주로 하는 식이요법으로 치료한다는 다큐를 본적이 있다. 신기하게도 거의 모든 환자들이 약을 끊고 충실하게 식이요법을 하는 경우 수치로 보는 심각한 질환들이 호전되는 것을 경험했다. 환자는 늘어나지만 병원이 돈을 버는 것은 아니다. 명성은 얻지만 돈을 벌지는 못하는 그 의사 분에게 존경을 표하고 싶다.
더불어 치우치지 않은 믿음이 ‘치유’에 도움이 된다는 것을 믿음으로 여기며 아토피를 치료하는 데에는 건강한 생각과 운동, 식이요법과 맑은 공기가 필요하다는 것은 ‘진리’가 아닐까 판단한다.
<아토피 길라잡이>는 면역질환을 기본으로 하는 피부염, 비염, 천식, 건선, 관절염 등의 증상과 해결방안을 제시한다. 물론 상세는 아닌 정보들이 아쉽긴 하지만 대체적으로 만성이 되어버린 병들에게 대한 이해를 높일 수 있다는데 에 점수를 주고 싶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