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 인생의 만화책 - 캐릭터로 읽는 20세기 한국만화사, 한국만화 100년 특별기획
황민호 지음 / 가람기획 / 2009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만화방 갈래?

친구가 물어오면 우물쭈물 하며 당황했다. 그리고 어설픈 핑계를 대며 집으로 가야한다고 둘러대고 일행에서 빠져 나왔다. 오락실, 만화방 등은 사실 지금도 천대받는 곳 중에 하나다. 담배연기로 가득차서 부스스한 모습들이 가득한 곳에 어느 건전한 부모가 아이의 출입을 허가하겠는가.


내가 만화를 접한 것은 <보물섬>을 통해서 였다. 당시에 수많은 작가들의 다양한 연재가 어린 나의 마음을 빼앗았다. 덕분에 세뱃돈과 명절날 받아서 모아놓은 돈은 거의 <보물섬>구매에 들어갔다. 당시에 다른 만화책은 꿈도 꾸지 않았다. 오로지 보물섬으로 국내 만화가들을 처음 만났고 이어서 소년챔프와 같은 시리즈가 나올 즈음엔 너무 일본만화의 그림체가 거슬려서 손을 뗐다. 물론 이 당시 만화책보다 수학책, 영어책을 더 들고 있을 때였다.(물론 제대로 보고 있었다는 생각은 들지 않는다)


그러다가 만화방에 출입하기 시작한건 고등학교 졸업시즌이었다. 학력고사를 마치고 결과를 기다리는 동안 내내 만화방에서 살다시피 했다. 저렴한 비용으로 시간을 보내기에 그만한 장소가 없었다. 점심 먹고 가서 눅눅한 지하의 책방에서 주인공과 함께 몇 시간을 여행하다보면 몸이 지뿌둥하고 머릿속은 꽉 차서 가슴이 쿵쾅거리는 채로 집에 돌아와서 내일을 기다리곤 했다.


만화는 가장 효율적인 정보전달 매체중 하나이다. 작은 면적의 페이지에 작가가 전달하고자 하는 상황과 정보를 압축적으로 보여주기 때문이다. 장문의 글은 지루하고 화가의 그림은 난해하지만 만화는 이 두 조합이 보여줄 수 있는 최고의 경지라 할 만하다. 물론, 그 효율성은 작가에 따라 큰 차이를 보인다.


작가의 펜끝에 따라 독자가 울고 웃고 하는 것은 문학과 다름없다. 기승전결을 갖춘 시리즈는 매권을 이어가지 않고는 궁금해서 못 버티게 만드는 것도 연재소설과 다름없다. 인기작가의 작품이 나오는 날짜가 되면 팬들이 전국의 만화방에서 그 신작을 찾아 주인에게 물어보게 되는 것은 인지상정이다.


요즈음은 웹툰이 대세다. 강풀로 대표되는 웹툰작가들이 오늘의 만화가로서 이름을 떨치고 있고 새로운 작가들이 속속 놀라운 작품들로 데뷔하고 있어서 가히 웹툰의 ‘춘추전국시대’와 같은 양상을 보이고 있다. 게다가 스크롤에 따른 기존 칸형식의 만화가 유물로 남고 이는 그대로 판본만화에도 이어져 마치 사진집 같은 형식의 만화가 인쇄되어 나와 베스트셀러로 오르기도 한다.


좋은 만화작품은 소설보다 영화화가 쉽다. 이는 작가가 설정한 캐릭터들의 이미지가 명확하기 때문인데 이와 연상되는 배우들의 조합만 잘 찾으면 영화화까지 가는 작업이 단순화되기 때문이다. 물론 영화의 성공은 만화의 성공과는 별개다.


<내 인생의 만화책>은 우리나라 만화사를 돌아보며 가장 특징적인 주인공들을 한자리에 모은다. 해방이후의 신문에 등장한 주인공들로 시작해서 우리가 잘 아는 ‘둘리’, 공포의 외인구단의 ‘혜성’까지 이어진다. 아쉽게도 90년대 이후의 샛별 같은 ‘캐릭터’들을 볼 수 없는데 워낙 방대한양의 정보를 한정된 지면에 소개하는 한계는 다른 주인공들의 설명과 소개에서도 고스란히 드러난다. 몇 편정도로 요약될 수 없는 주인공들의 각자 다른 상황과 배경을 별도로 하고 같은 이름을 쓴다는 점으로 하나로 억지로 묶으려 하니 다소 억지스러운 설명도 간간히 보인다.


만화에 대한 풍부한 애정으로 긴 기간 동안 방대한 자료를 정리했을 저자에 노고를 높이 사며, 연대기 식이 아닌 몇 명의 대표적 주인공들을 작품별로 분석한 책을 기대해본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