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고 싶은 길을 가라
로랑 구넬 지음, 박명숙 옮김 / 조화로운삶(위즈덤하우스) / 2009년 8월
평점 :
품절



 

실패와 두려움. 내 인생을 좀 더 행복하게 만들지 못하고 있는 이유이다. 한 번의 실패로 교훈을 얻었다고 생각하면 다음번에 다시는 같은 시도를 하지 않으려 한다. 상대방에게 부탁하거나 희박한 확률을 가지고 있는 모험에 대한 두려움은 나를 좀 더 사교적이고 진취적인 인간이 되는 데에 큰 걸림돌이 되게 한다.

나는 알고 있다 나의 단점을. 이를 극복하기는 쉽지 않다. 오랜 세월동안 억눌려 온 내 자아의 일부가 그리 쉽게 펴질 것이라고 생각되지 않는다. 꾸준한 자기 암시로 좋아질 수는 있을 거라는 희망은 갖는다. 하지만 그런 생각을 가진 이후로 몇 년이 흘렀지만 나는 정체되어 있음을 느낀다.


희망은 어디에 있는가. 내가 원하는 길로 가기 위해서 당장 내가 해야 할 일은 무엇일까. 로랑 구넬의<가고 싶은 길을 가라>는 진정으로 나와 내 인생의 올바름을 위해서 내가 어떤 생각과 태도를 취해야 하는지를 알려준다.  

 

주인공은 ‘네가 얼마나 잘 고치는지 보겠다’ 라는 마음으로 찾은 ‘치료사’에게 가르침을 받는다. 그리고 인생 최대의 변화를 경험하게 된다. 다시는 찾지 않을 것 같았던 첫 방문의 마음이 바뀌고, 매일 찾아서 이야기 나누고 그가 내주는 ‘숙제’를 실행하면서 얻는 깨달음으로 조금씩 변해가는 것을 느끼고 급기야는 완전히 몰입하게 되어 자신을 결국 변화시키는데 성공하기에 이른다는 내용이다.

변화는 그리 긴 시간을 요하지 않았다. 며칠의 기간이 내 삶을 되돌아보고 온전한 나를 찾기 위한 발돋움으로는 충분한 시간이었던 것이다. 나도 그럴 수 있을까. 나에게 가르침을 줄 선생이 필요한 것인가. 스스로 생각을 전환하여 실행하는 것은 큰 용기가 필요하다.


   
  ‘이제 새로운 삶이 시작되었다. 이제부터는 ’나의‘ 삶을 살게 될 것이다. 내가 내린 경정과 선택과 의지로 이루어진 삶을. 의문과 망설임, 다른 이들의 시선에 대한 두려움, 나의 능력에 대한 의구심과 사랑받지 못할지도 모른다는 두려움과는 영원히 작별을 고할 때다……삶이라는 게임의 주연으로서 그 규칙을 조금씩 터득해 나가야 한다. 비록 삶의 목적에 대한 의문은 여전히 풀리지 않고 남아 있겠지만.’  
   




주인공 줄리앙의 마지막 독백은 내가 가지고 있는 불만을 대변한다. 곧 내가 변할 수 있으리라는 믿음을 그가 대변하는 것이다.


나는 변할 수 있을까. 현재의 만족하지 못하는 나의 삶을 조금씩 바꾸어 나갈수 있을까. 주인공에게 가르침을 주었던 샴탕 선생의 말들이 나에게 변화를 주고 있는 것일까. 사실 나는 가고 싶은 길을 걸어왔다. 삶에 만족도도 또래의 친구들에 비해 상당이 높은 편이다. 하지만 여전히 목은 마르다 앞으로 어떤 길을 걸어가야 할지 그리고 그 길에 무엇이 날 기다리고 있을지 두려움도 있다. 하지만 내가 가고 싶은 길을 걸으면서 느끼는 행복이 지금의 나를 든든하게 받치고 있다. 내 자신에 대한 확신, 그것이 <가고 싶은 길을 가라>가 ‘나’에게 던지는 삶의 철학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