흙과 재 동문선 현대신서 41
아티크 라히미 지음, 김주경 옮김 / 동문선 / 2002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신작로 한쪽에 노인과 아이가 앉아 있다. 아이는 할아버지를 계속 귀찮게 한다. 그리고 이것저것 주문한다. 노인이 사과를 꺼낸다. 앞니 없는 아이가 사과를 깨물어 먹는 것이 힘겹다. 노인은 칼을 꺼내 사과를 자르고 다시 손자에게 준다.


군용트럭이 지나간다. 먼지가 자욱이 내려앉는다. 사과위에도…….사과를 손으로 덮어서 감싸자 아이는 하지 말라며 손을 잡아끈다. 먼지가 앉는다고 이야기 해봐야 소용없다. 아이는 자기가 하고 싶은 말만 하고 있을 뿐이다.


노인은 아들을 만나러 가기위에 기에 있다. 언제 지나갈지 모르는 버스를 기다리면서 손자와 함께 있는 것이다. 다리 옆의 건널목을 지키는 사내에게 차가 오면 알려달라고 신신당부한다. 초소를 지키는 이는 신경질 적이다. 노인은 쩔쩔 매면서도 꼭 차를 놓치지 않으려는 듯 같은 말을 반복한다.


노인의 가족은 다 죽었다. 전쟁의 폭격으로 무너진 건물더미와 폭격의 화염에 휩싸여 죽었다. 노인은 살아남은 자의 슬픔을 한탄하며 손자를 바라본다. 손자는 운이 좋아 살았으나 폭발음으로 청각을 잃었다. 노인은 발가벗은 며느리가 폭발의 화염 속에 찢겨 죽는 것을 목격하고 말았다.


물을 얻기 위해 갔던 가겟집 주인은 무척 온화하고 이해심이 많았다. 무엇보다도 남의 이야기를 들어줄 줄 알아서 그에게 기억하고 싶지 않은 이야기를 풀어 놓는다. 그리고 자신이 가족이 둘밖에 남지 않았음을 알려주기 위해 아들에게 가는 것이라고 말한다.


아이가 떼를 쓴다. 차가 올 시간이 다가온다. 노인은 갈등한다. 가서 말해야 할까. 아니면 가지 않고 아들이 모르는 채 탄광에서 생활하는 것이 좋은가. 남에게 전해 듣는 것 보다 노인이 직접 전해주는 것이 좋을 것이다.


아이는 결국 가겟집 주인이 맡아 주기로 한다. 가서 잘 곳도 마땅치 않을 것이고 자신의 아들이 귀머거리가 되었음을 일가의 죽음으로 인한 충격에 더하고 싶지 않았던 것이다. 처음본 사람에게 아이를 맡겨도 될까하는 의심이 들었지만 버스기사가 가겟집 주인의 인품을 칭찬하고 나서는 안심한다.


탄광에 도착하고 아들을 만나게 될 두려움에 망설인다. 결국 감독관을 만나 자신을 소개하고 아들을 만나기를 요청하지만 감독관은 아들이 갱도 깊이에 일하고 있으며 가족모두가 다 죽은 줄 알고 있다는 이야기를 한다.


알면서도 집으로 오지 않은 아들에 대한 배신감에 휩싸인다. 사실 감독관의 술책으로 아들의 면회는 거절되었다. 돌아가는 차를 타기 위해 길을 나서는 노인. 동료청년에게 자신임을 증명할 담배통을 맡기고 돌아선다.


전쟁의 참상을 전하는 영화, 소설, 희곡 등의 문학작품들은 하나같이 그 현실의 어두움과 인간성의 파괴, 잔혹성과 야만의 그림자 속에서의 삶을 그린다. 저자 아티크 라미히는 외세의 침략과 내전으로 이어지는 모국 아프가니스탄의 혼란을 견디지 못하고 프랑스로 망명했다. 전쟁속의 무자비한 폭력의 광기는 지식인에게 가장 먼저 큰 상처를 남기게 마련이다. 이를 아는 이들은 국외로의 망명길에 오르고 그렇지 못한 대부분은 고국에서 죽음을 맞는다.


외세에 의한 전쟁과 동족끼리의 전쟁을 겪은 한국의 역사를 보아도 수백만의 눈물과 고통, 아픔이 오늘날에 전해지는 것은 기껏 그 단어의 사전적 의미정도에 지나지 않을 뿐이다. 전쟁이 앗아간 나와 내 주변의 삶을 잃는 것에 대한 내면을 잘 그리고 있는 ‘흙과 재’는 읽는 이로 하여금 과연 전쟁 후에 남는 것이 무엇인가를 성찰하게 하는 울림이다.


댓글(1)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