타워
배명훈 지음 / 오멜라스(웅진) / 2009년 6월
평점 :
구판절판



근래에 개인의 삶과 죽음, 고통과 기쁨에 관한 소설을 많이 있지만, 사회적인 구조 정. 경. 학계의 공고한 시스템, 계파와 이즘의 아귀다툼과 그 속에서 생기는 소모에 대해 이야기하는 소설은 흔하지 않다.


배명훈의 ‘타워’는 그래서 다르게 느껴진다. 자신의 팬을 점점 넓혀 유명기성작가이상의 호응을 받고 있는 박민규의 ‘칭찬’의 글이 아니더라도 소설이 가진 통속성과 유머, 풍자와 해학의 이야기 전개는 충분히 시선을 끌만한 일이다.


‘태초에 ‘타워’가 있었다‘ 라고 시작해야 할 것 같은 분위기의 타워는 674층 높이에 50만의 인구를 수용하는 독립국가 빈스토크(잭과 콩나물에 등장하는 콩나물의 이름을 땀) 층별대로 계급구조가 이루어져 있고 수직이동 통로인 엘리베이터가 주요 이동수단인 동시에 국가의 동맥이라 할 수 있다. 이곳에서 일어나는 국가적 사태의 면면을 들여다보는 소설은 지금 대한민국의 곳곳에서 일어나고 있는 비효율과 부조리에 관한 보고서이기도 하다.


소설은 연작형태로 구성되어 있고 마지막에 소설에 등장하는 인물이나 사건 등에 대한 ‘보너스’ 같은 글들이 등장한다. 각기 다른 등장인물과 시간, 배경을 가지고 이어지는 단편 중에 가장 직설적인 현실비판을 드러내는 ‘엘리베이터 기동 연습’을 꼽는다.


타워의 대표적 ‘사상’은 ‘수직’과 ‘수평’으로 나뉜다. ‘수평운송노조와 수직운송조합의 입장 차이에서 비롯된 빈스토크의 양대 이념 체계’라는 작자의 해석과, 이 단어가 가진 본래의 의미로 해석 할 수도 있다. 타워가 가진 물리적 성격, 그리고 구성원들의 계급과 계층에 따른 분류로도 이해가 가능하다. ‘나’는 교통공무원이면서 수직주의자도 수평주의자도 아닌 중립적 성격을 가지고 있다고 항변한다. 하지만 수평주의자들의 데모와 테러에 대항하기 위한 선택은 ‘수직주의자’의 것이 되고 만다. 계급과 계파, 수직주의와 수평주의의 대립이 테러를 낳고 이 테러 속에서 분열하는 계급내의 갈등까지 재미있게(?) 그리고 있다.


이 외에 5개의 에피소드는 타워에 대한 포괄적 이해를 돕는다. 타워에 대한 이해가 읽는 이에게 주는 것은 무엇일까. 지금 우리가 살고 있는 21세기의 한국, 더 넓게는 세계 속의 한국에 대한 위치와 그곳의 국민으로 살고 있는 우리의 처지일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