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굿바이 파라다이스
강지영 지음 / 씨네21북스 / 2009년 7월
평점 :
절판
최근 유명 인사들의 잇따른 죽음은 당신에게 어떤 의미로 다가오는가. 그(그녀)를 알지 못하더라도 티브이를 통해서 가족보다 더 자세한 얼굴과 생김새 다양한 일면들을 경험한 이유로 왠지 남의 죽음 같지 않았다. 오열하던 일반인들의 모습은 가족보다 더 과장스럽고 그래서 때로는 일부에게 불편함을 주기도 하였을 터다. 다행히 살아 남아 있는 이들은 장례식 이후로 차분히 자신의 삶을 살아가기 시작한다. 기억속에만 존재하는 그들의 삶에 대해 자신의 삶을 챙기기 바쁜 나는 생각할 겨를이 없다.
같은 죽음이라도 누워서 병이나 늙어서 고요히 가는 인간적인 것이 아니면 전해듣는 이들의 가슴을 흥분시키는 요소로 작용할 가능성이 크다. 자살이나 살인, 사고 등으로 생기는 죽음은 일면식 없더라도 호기심을 자극하고 원초적인 충동을 슬며시 끌어올린다.
살인을 주제로 하는 미국의 드라마는 대한민국에서 선풍적인 인기를 끌고 있어서 ‘미드폐인’이라는 신조어를 낳기도 했다. 심지어 연쇄살인범이 주인공인 드라마도 확실한 팬층을 가지고 있으니 일부에서는 자칫 현실의 사건으로 연결될 가능성이 있다는 오해를 살수도 있음직하다.
갖가지 다양한 ‘죽음’을 주제로 한 소설은 충분히 매혹적이고 호기심 충만한 독자들의 구미를 당긴다. 장르소설의 상투성을 드러낸다는 아쉬움이 있긴 하지만 작가 강지영의 소설은 기존의 것과 거리가 느껴진다. 낮설음. 그러면서도 서서히 젖어드는 서늘함, 따뜻함, 유쾌함. 익숙하지 않은 데뷔작이라는 점이기도 하겠지만 자유롭게 상상을 넘나드는 작가의 재기가 피가 튀고 팔이 잘리고 널부러져 썩어가는 시신이 그려지는 속에서도 어이없이 웃음이 난다.
이걸, 블랙유머라고 하나. 아, 그러고 보니 장르적 특징이라고 할 수 없는 단편집 전체의 큰 특징 하나, ‘나’를 주인공으로 하는 1인칭 시점을 고수한다는 것. 좀 고집스럽기도 하지만 충분히 흥미롭고 인물을 이동하는 1인칭 시점은 신선하면서도 자극적이다. 멀찌감치 떨어져서 보는 것이 아니라 깊숙이 관여되는 ‘나’처럼 되본다고 할까. 잘 못쓰면 영 어색하고 몰입도가 떨어질 수 있는데 작가 강지영은 그런 면에서는 솜씨가 좋다.
다만, 아쉬운 점은 인물에 대한 개성이나 그가 겪은 삶에 대한 이해가 어렵다는 점이다. ‘나’라서 쉬운게 아니라 더 어려워 졌다고 할까. 애정이 가는 인물들이 허무하게 죽어버리는 결말들도 진한 아쉬움으로 남는다. 하긴, 악인이 살아남는 것이 현실이라면 문학도 그런 현실을 반영하는 것이리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