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olveig's Song (PEER GYNT)_Yoshikazu Mera


Kanske vil der gå både Vinter og Vår,
og næste Sommer med, og det hele År,
men engang vil du komme, det ved jeg vist,
og jeg skal nok vente, for det lovte jeg sidst.

Gud styrke dig, hvor du i Verden går,
Gud glæde dig, hvis du for hans Fodskammel står.
Her skal jeg vente til du kommer igjen;
og venter du hist oppe, vi træffes der, min Ven!

 

겨울 지나 봄, 여름, 그리고.......

그를.. 보호하소서, 보호하소서...

쓸쓸하게.. 홀로.. 늘. 고대함 ..............d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1.
...내가 내 삶과의 거리를 유지하는 것은 나 자신을
"보여지는 나"와 "바라보는 나"로 분리시키는 데서부터 시작된다.
나는 언제나 나를 본다.
"보여지는 나"에게 내 삶을 이끌어가게 하면서
"바라보는 나"가 그것을 보도록 만든다.
이렇게 내 내면 속에 있는 또다른 나로 하여금
나 자신의 일거일동을 낱낱이 지켜보게 하는 것은
20년도 훨씬 더 된 습관이다
그러므로 내 삶은 삶이 내게 가까이 오지 못하도록
끊임없이 거리를 유지하는 긴장으로써만 지탱해 왔다.
나는 언제나 내 삶의 거리밖에서 지켜보기를 원한다....


...어느 날 나는 지나간 일기장에서 '내가 믿을 수 없는 것들'이라는
제목의 긴 목록을 발견했다.
무엇을 믿고 무엇을 믿지 않는다 말인가.
이 세상 모든 것은 다면체로서 언제나 흘러가고 또 변하고 있는데
무엇 때문에 사람의 삶 속에 불변의 의미가 있다고 믿을 것이며
또 그 믿음을 당연하고도 어이없게 배반당함으로써
스스로 상처를 입을 것인가.
무엇인가를 믿지 않기로 마음먹으며 그 일기를 쓸 때까지만 해도
나는 삶을 꽤 심각한 것이라고 여겼던 모양이다....

-은희경, <새의 선물> 중에서..

 

"보여지는 나"와 "바라보는 나"...
사람들마다 정도의 차이는 있겠지만
누구나 이 두 가지의 나를 갖게되는 걸테지요.
의식적으로든 의식하지 않든간에...

글 속에서 보여지는
12살 어린아이의 삶에 대한 냉소어린 시선들에
많은 사람들이
세상을 너무 일찍 알아버린 아이같지 않은 아이라고들 했지만

내가 봤던건
더이상 세상에..삶에..
상처받고 싶어하지 않는
여리디여린 주인공의 모습이었습니다.

여리고 약한 내면 속의 나가
자신을 보호하는 방법으로 찾아낸 건

내 내면 속에 있는 또다른 나로 하여금
나 자신의 일거일동을 낱낱이 지켜보게 하는,
그래서 삶이 내게 가까이 오지 못하도록
끊임없이 거리를 유지하는,

바로 삶.에.거.리.두.기.였지요.


그녀처럼 20년 습관은 아니어두
내 삶에서 한발짝 물러서
저만치서 떨어져 바라보는 것..
담금질에 지쳐있다면
가끔씩은 그런 삶의 거리두기도
나쁘진 않을거 같단 생각이 드네요..

- 2002/08/14

 

있는그대로 솔직하게 받아들이고 꺼안기에는
세상은, 삶은, 그 생채기가 너무 아프다.
幼弱하여 솔직할 수 없음으로
차라리 나를 닫아 둔 채 거리를 두고 바라보는 일.

거.리.두.기.
요즘의 내가 자꾸 떠올리는 말.
지금의 난 삶의 담금질에 지쳐있는가.. 
그런가.. 그러한가
무엇을 얼마나 겪어보았다고, 해내었다고..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Fenesta Che Lucive


Fenesta che lucive e mo non luci
Sign'e ca Nenna mia stace ammalata.
S'affaccia la sorella e me lo dice;
Nennella toja e morta e s'e atterrata
Chagneva sempe ca dormeva sola, ah!
Mo duorme co li muorte accompagata!

 

 

 

 

 



 

당신 생각을 켜놓은 채 잠이 들었습니다...  - 함민복, 가을 

 

 

불꺼진, 나의 창...

내 꺼지지 않는, 당신, 생각...... dove`*

 

 

 

 Franco Corelli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창가에서

 

비 갠 오후 햇살이 참 맑았는데
갑자기 눈물이
눈물이 났습니다.

세상이 왜 그처럼
낮설게만 보이는지
그대는 어째서 그토록
순식간에 왔다 갑니까

비 갠 오후 햇살이 참 맑았는데
갑자기 눈물이
눈물이 났습니다.


이정하 시, 정은주 노래,  <혼자 사랑한다는 것은> 중에서...

 

 

눈물이, 눈물이 났습니다....


댓글(1)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dove 2009-02-07 01:09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따끈한 국 한그릇은... 그렇게 또....
내일도 또 안개이려나... 흔적 하나에 가슴 쓸어내리는, 오래오래 기다리던 밤...
 
새의 선물 - 제1회 문학동네소설상 수상작
은희경 지음 / 문학동네 / 1996년 1월
구판절판


사람을 좋아하는 감정에는
이쁘고 좋기만 한 고운 정과
귀찮지만 허물없는 미운 정이 있다.
좋아한다는 감정은 언제나 고운 정으로 출발하지만
미운 정까지 들지 않으면 그 관계는 지속될 수가 없다.
왜냐하면 고운 정보다 미운 정이 훨씬
너그러운 감정이기 때문이다.-*쪽

...내가 내 삶과의 거리를 유지하는 것은 나 자신을
"보여지는 나"와 "바라보는 나"로 분리시키는 데서부터 시작된다.
나는 언제나 나를 본다.
"보여지는 나"에게 내 삶을 이끌어가게 하면서
"바라보는 나"가 그것을 보도록 만든다.
이렇게 내 내면 속에 있는 또다른 나로 하여금
나 자신의 일거일동을 낱낱이 지켜보게 하는 것은
20년도 훨씬 더 된 습관이다
그러므로 내 삶은 삶이 내게 가까이 오지 못하도록
끊임없이 거리를 유지하는 긴장으로써만 지탱해 왔다.
나는 언제나 내 삶의 거리밖에서 지켜보기를 원한다.... -*쪽

...어느 날 나는 지나간 일기장에서 '내가 믿을 수 없는 것들'이라는
제목의 긴 목록을 발견했다.
무엇을 믿고 무엇을 믿지 않는다 말인가.
이 세상 모든 것은 다면체로서 언제나 흘러가고 또 변하고 있는데
무엇 때문에 사람의 삶 속에 불변의 의미가 있다고 믿을 것이며
또 그 믿음을 당연하고도 어이없게 배반당함으로써
스스로 상처를 입을 것인가.
무엇인가를 믿지 않기로 마음먹으며 그 일기를 쓸 때까지만 해도
나는 삶을 꽤 심각한 것이라고 여겼던 모양이다....
-*쪽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