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존재의 세 가지 거짓말 - 상 - 비밀 노트
아고타 크리스토프 지음, 용경식 옮김 / 까치 / 1993년 8월
평점 :
구판절판
상당히 이름난 국내 소설가의 - 누구였는지는 기억이 나질 않는다- 독서 리스트에서 이 소설을 우연히 발견하고 책을 집어 들게 되었다. 아마 재작년인가 이 소설을 처음 접했는데, 그 이후 수많은 소설을 읽었어도 이 작품만큼 지독하고 동시에 매혹적인 작품을 만나기란 쉽지 않았다. (지금은 이 책이 품절이라고 하니 너무나 아쉽다. 보다 많은 독자들이 이 소설의 매력에 빠졌으면 하는 마음인데...)
이 소설 속에서는 아동학대, 도둑질, 살인, 강간, 수간 등 인간의 삶 속에서 일어날 수 있는 가장 어두운 사건들이 아무렇지도 않은 듯 무표정한 얼굴로 마구 벌어진다. 그러나, 이 소설은 그런 사건들에 한탄하고 눈물 흘리는 식으로 감정을 낭비하지 않는다. 그저 극히 짧은 문장으로 이루어진 사건의 전달만이 있을 뿐...
처음부터 이 소설은 '의견이나 생각을 배제한 채 일어난 일만을 객관적으로 기술하기로 한 어느 쌍동이 형제의 비밀노트'라는 형식을 띈다. 두 쌍동이가 정해 놓은 전제 조건 때문에 이 소설은 처음부터 끝까지 메마른 문체로 사실만을 전한다.
비정하고 끔찍한 현실, 그리고 그보다 더 비정한 짧은 문장들때문에 이 소설은 마치 악의적으로 쓰여진 우화처럼 느껴진다. 그러나, 어느 순간 이 끔찍한 상황들이야말로 가감없는 현실의 모습 그대로라는 생각이 찾아온다. 우리가 거짓말이라고 믿고 싶은 사실들로 이루어진 세상, 그것이 정말 우리들이 살고 있는 세상이 아닌가.
아동학대, 도둑질, 거짓말, 살인, 강간 같은 것들이 어디 이 소설 속에서처럼 전쟁 국가의 국경지대에서만 벌어지는 일들이겠는가. 우리의 가장 가까운 이웃에서도 지금 이 순간 벌어지는 현실인 것을.
소설 속 사건들은 아름다운 문장으로 꾸며져 있지 않다. 그러나, 그 건조한 문장들 하나 하나가 전체를 이루며 하나의 아름다운 상징을 이룬다. 유럽의 어느 비평가가 아고타 크리스토프의 작품을 '검은 다이아몬드'에 비유했다고 한다. 정말 정확한 비유라는 생각이 든다. 이 소설은 가장 어두운 곳에서 가장 매혹적인 빛을 발산하는 그런 작품이다.
앞으로도 오랫동안 이처럼 지독한 작품을 다시 찾아보기 힘들 것 같다는 생각이 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