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엄마, 미안해 - 내 멋대로 살던 나. 엄마를 돌.보.다.
마쓰우라 신야 지음, 이정환 옮김 / 한국능률협회컨설팅(KMAC) / 2018년 7월
평점 :
엄마, 미안해
과학 저널리스트 독신남 50대 아들의 치매 간병 에세이 <엄마, 미안해>는 치매 간병의 현실을 고스란히 우리에게 전해주고 있다. 일본은 치매 환자를 지원하는 정부 지원 시스템이 잘 되어 있는 편이다. 정부 지원 간병 시스템이 잘 되어 있다고는 하지만 인력난으로 자신의 순번이 올때까지 하염없이 순서를 기다려야 하는 고질적 문제가 있으며, 이 또한 정보가 없으면 제대로 활용하지 못한다는 문제도 있다. 정보를 잘 알지 못해 적절한 시기에 대처를 하지 못하여 치매가 급속도로 나빠지기도 하며 의사마다 환자에 대한 대처가 달라지는 문제 또한 보인다.
치매 간병에 대해 막연하게 어려울 것이라는 생각 뿐이었다. 하지만 그 어려움은 우리의 생각 이상으로 어려운 일이었다. 저자 마쓰우라 신야는 출퇴근 시간이 정해져 있지 않기에 그나마 엄마 간병에 많은 시간을 할애할 수 있었다. 하지만 지속적으로 간병만 할 수 없는 노릇이었다. 간병에 돈을 절대적이며 필수적이다.
돈은 여러 문제 중의 하나일 뿐이다. 실금으로 인해 속옷이며 침대시트까지 하루에도 몇 차례 소독하고 빨래를 해야 하며, 냉동 만두를 꺼내 주방을 난장판으로 만들기도 하고, 음식이 맛 없다는 투정은 일상이고, 환자와 간병인 모두 정상적인 생활 자체가 불가능하다. 병원에 가는 것도 산책을 하는 것도 엄마를 설득하느라 진땀을 빼야 하고 간병인의 감정은 지칠대로 지쳐간다. 실제로 저자는 간병의 생활 중에 스트레스로 인해 정식적 이상 증후도 보였다.
“당신이 쓰러지면 어머니도 불행해지니까 최대한 즐겁게 간병해야 해요. 우리가 도와드릴게요.” 실제로 간병하는 입장에 놓이면 ‘편안한 간병’ 또는 ‘즐거운 간병’이란 있을 수 없다. (p88)
'즐거운 간병'이란 가능할까. 내 앞에 동일한 상황이 벌어진다면 나는 감당해 낼 수 있을까. 현실적으로 내가 같은 상황이라면 회사 생활을 하며 부모를 간병하기란 불가능하다. 육아와 간병은 비슷하면서도 매우 다르다. 육아도 아이를 돌봐야 하기에 스트레스를 받고 힘이 들지만, 아이가 커가면서 점차 대화가 되고 아이의 재롱을 보며 위안을 받고 행복을 느낄 수 있다. 반면에 간병은 시간이 지날 수록 점차 상황이 악화되어가며 보상과 위안은 전무하다.
"어머니가 차라리 돌아가시면 편할 텐데"
어머니가 돌아가시면 나는 이 중압감에서 해방될 수 있다. (p190)
간병인의 스트레스가 극에 달했으며 엄마의 상황 또한 최악의 상태에 결국 일이 벌어지고 말았다. 최악의 상황이다. 있어서 안되는 일이 벌어졌다. 엄마의 뺨을 때린 것이다. 정신을 차린 것은 엄마의 입에서 피가 흘러내렸을 때다. 이 어려운 상황이 이해가 되기에 누구를 나무랄 수도 없다. 이러한 상황을 털어 놓고 상담을 통해 적절하게 대처했다. 엄마는 기관에서 잠시 머무르게 되고 2주 동안 간병인은 스트레스로 부터 보호 받았다.
2년여 간병의 끝은 엄마가 온전히 기관의 보살핌을 받게되는 순간이었다. 엄마의 상황은 가장 안 좋은 상황이 되었으며 기관의 도움없이는 환자와 간병인 모두에게 어려운 상황이었다. 정부의 보조와 더불어 매달 추가적인 돈을 지불해야만 한다. 그나마 다행인 셈이다. 간병의 처음부터 끝까지 즐거움이나 행복은 찾아볼 수 없다. 힘들고 어렵고 안타까움의 연속이다. 그렇기에 더욱 가슴이 아프다.
치매에 대처하는 한국이 처한 현실과 내 주위를 돌아본다. 부모님이 아직은 젊다고는 하지만 언젠가 노쇠해지고 병이 들 수도 있다. 치매가 올지 또한 아무도 모른다. 정부에서는 치매 국가 책임제라는 슬로건으로 치매 간병에 대해 위기를 느꼈고 이에 대응하려 하고 있지만 사실상 우리에게 그 정보는 전무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