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아 있는 나날 민음사 모던 클래식 34
가즈오 이시구로 지음, 송은경 옮김 / 민음사 / 2010년 9월
평점 :
품절


'위대한 집사'는 주인공 스티븐스의 삶의 의미이고, '품위'는 그 삶의 의미를 만들어가는 기준이다. '품위'라는 틀로 찍어내어 틀밖에 있는 것들은 삶에서 불필요한 것들이 되어버린다. 그것은 죽음도 사랑도 예외가 아니다.

 

집사라는 자신의 삶에서 그는 주인공이 아니고, 다른 사람에 의해서 부여된 삶을 산다. 그런 스티븐스는 동료 켄턴양의 말처럼, '시치미를 떼고' 살아간다. 그의 아버지의 임종 앞에서도, 켄턴 양이 다른 사람의 청혼을 받아들여 달링턴 홀을 떠난다고 했을 때도, "스티븐스 괜찮은가?" 주변 사람들도 다 알고 묻는 그의 얼굴에 가득한 아픔을 자신만 모른체 한다.

 

도대체 무엇을 위해서...? (이 물음은 나를 내내 답답하게 했다)

 

설상가상으로 스티븐스의 신념은 자신도 미처 깨닫지 못한 사이에 달링턴 경의 몰락과 함께 무너진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달링턴 홀의 주인이 바뀐 현재도 그는 여전히 달링턴 경을 모셨던 자신의 인생의 정점을 추억하며 산다.

 

인생의 황혼기에 주어진 6일간의 여행... 스티븐스는 '타인의 삶'을 벗고 오로지 '자신의 삶'을 살 수 있는 터닝포인트를 마주하고 있다. 그러나 그는 기꺼이 지나간 영광의 시간들을 반복할 준비가 되어있는 듯하다.

 

인생이 그렇지 않은가! 자신이 옳다고 생각하는 신념을 향해 달려가는 바퀴는 때로는 가족, 사랑, 그리고 숨겨진 진실을 짓밟고 지나간다. 그 바퀴가 서서히 멈춰설 즈음(그때가 인생의 황혼기 일지도)... 산산히 부서져 흔적도 찾을 수 없는 소중한 것들을 사무치게 그리워해야만 할지도 모른다. 하지만 그 신념의 잔혹한 결과들을 확인했다 하더라도 지금까지의 자신의 삶을 단번에 바꿀 수 있을까?

 

다소 깔끔하지 못한 결말이 당혹스럽지만, 작가는 여행을 마치고 다시 일상으로 돌아가는 스티븐스의 모습을 절망적으로 얘기하지는 않는다. 스티븐스의 이야기를 계속되어야 할 시간의 연속성 위에 놓아 둔다. 여전히 회의적인 그의 다짐이 나를 무겁게 하지만, 자신의 삶을 바꿀 시간이 아직은 그에게 남아있다는 것에서 희망을 가져본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