퇴계잡영 - 이황, 토계마을에서 시를 쓰다
이황 지음, 이장우.장세후 옮김 / 연암서가 / 2009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요즘의 우리의 아버지세대가 가장 걱정하는 것은 노후생활가 아닐까 싶다. 자연을 벗 삼으면서 매일 아름다운 경치를 보며 편안한 생활을 하는 노후는 누구나 원하는 미래이다. 그런데 이러한 노후를 보낸 인물이 있으니 바로 퇴계 이황이다. 젊었을 때 출사하여 벼슬을 하다가 40대 중반에 이르러 지금의 안동시 도산면 토계동인 토계마을에 정착하여 혼자서 자연속에서 남은 생을 보냈다. 여기서 짐작할 수 있듯이 이황의 호 "퇴계"는 토계에서 따온 것으로 토계를 퇴계로 고쳐 자신의 호로 삼았다. 더 정확히 말하자면 그 토계동에 가면 실개천이 있는데 이 물의 이름이 토계라고 한다. 이러한 것을 보니 연암 박지원이 떠오른다. 연암도 연암골에 살면서 그 지역의 이름을 자신의 호로 삼았다. 자연과 하나가 되려는 그 당시의 조상들의 마음에서 비롯된 것이 아닐까?


 누구나 가지고 싶어하는 돈. 그 중에서도 천원짜리에 자리잡은 분이 이 퇴계선생이시다. 하루에도 수많은 사람이 무심코 보는 얼굴이지만 그 중에 몇이나 퇴계 이황이라는 인물에 대해서 제대로 알고 있을까? 부끄럽지만 나도 이분에 대해서 잘 모른다. 하지만 이 책을 통하여 그 분의 노년생활에 대해서는 조금이나마 알 것 같았다. 토계마을에서 지내며 매일같이 아름다운 자연을 보며 노래한 시들을 담은 것이 바로 이 책이다. 자연속에서의 아름다움에 감탄을 하면서 지은 시를 통해서 퇴계선생이 어떠한 마음을 가지고 노후를 편안하게 보냈는지 제대로 알 수 있었다. 나는 솔직히 시에 대해서 잘 모른다. 학창시절에도 시를 해석하는 것이 어찌나 어려웠는지 이루 말할 수 없다. 하지만 이 책은 원문과 한글로 번역된 시, 그리고 시에 대한 해석이 있어서 보다 쉽게 이해할 수 있었다. 나는 그러한 시들을 보면서 퇴계선생이 노년에 느낀 생각들을 대략 세가지 정도로 꼽을 수 있었다. 


 우선은 자연에 대한 "경이"이다. 퇴계선생은 젊었을 때 출사하여 벼슬을 하다가 오랜시간이 지난 후에야 이렇게 자연에 정착할 수 있었다. 나같으면 무심코 지나쳤을 흐르는 물이나 산을 뒤덮은 구름들을 보고서 퇴계선생은 아름다움과 깨달음을 얻었다. 매일같이 일어나는 자연의 변화를 보며 인간사의 덧없음 등을 깨달으며 토계마을 주변의 풍경을 예찬했다. 우리들은 단풍이나 벚꽃들이 많이 핀 풍경같이 확연히 티가 나는 그러한 풍경들을 찾아다니며 감탄하지만 퇴계선생은 그냥 있는 그대로의 자연속에서 많은 것을 느꼈다. 내가 감성이 메말라서 그런지 자연에 아름다움과 위대함은 인식하지만 내면 깊숙히 감동을 느끼지 못한다. 왜 그럴까? 나도 퇴계선생이 정착하던 그 나이정도 되면 바뀌려나.


 또, 퇴계 선생은 자신이 과거 세상에 나가서 벼슬을 하며 보낸 시간들을 후회했다는 것이다. 젊은 나이에 자신만만하게 세상에 나갔지만 이렇게 자연을 벗삼아 살아보니 인간사의 모든 것이 부질없어 보인 것이다. 높은 벼슬자리도 드높은 명예도 수많은 재물까지도 덧없는 것일진데 자신은 왜 그러한 세상에 나갔는지 후회하는 마음을 간간히 시속에서 느껴진다. 이것은 누구나 같은 과정은 밟아가는 것 같다. 젊었을때는 패기넘치는 마음으로 세상의 문을 두드리고 많은 것을 이루었거나 아니면 실패했거나 하여 은퇴하게 되면 번잡한 사회보다는 자연과 벗삼아 살아가는 것이 훨씬 좋은 것이라는 걸 깨닫게 되는 듯 하다. 아마도 수많은 사람들이 이렇게 같은 길을 가고 있지 않을까?


 마지막으로 도이다. 수많은 학자들이 궁구하고 끝없이 추구하는 절대진리인 도!

퇴계선생은 자신이 이렇게 자연에서 은거하는 이유를 이렇게 들었다. 

"하늘의 이치에 부합하는 백성의 덕성과 공업을 모름지기 추구하여 얻고자함이다." 

누구나가 도 내지 진리를 추구하는 이유가 있을 것이다. 학자가 아니더라도 그렇다. 나도 부끄럽지만 하나의 생각을 갖고 있다. 올바른 삶을 살기 위한 어떤 판단의 절대적인 기준이 있을까? 하고 말이다. 은거하면서도 책을 놓지 않고 성현들의 삶을 생각했던 퇴계선생의 모습에서 우리는 저마다 많은 것을 느낄 것이라 생각된다. 간단히는 평생공부부터 시작하여 그밖에 다양한 것들을 말이다. 


시를 그다지 좋아하지 않는 나이지만 시는 그 사람의 내면에서 우러나오는 깊은 속내를 아주 효과적으로 드러낼 수 있다고 생각한다. 자연과 벗삼아 노후를 보낸 퇴계선생의 시는 노학자의 세상을 바라보는 솔직한 시선이 담겨있지 않았을까 한다. 더불어 내면을 향한 시선까지도. 너무나도 바쁘게 시간을 보내는 사람들은 퇴계선생의 자연과 한께하는 노년일기를 보며 잠시 쉬어감이 어떨런지.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