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소설을 읽는 내내 이건 자전소설이구나 싶었다. 사실 2020년 부커상 수상작이라는 것만 알고 읽기 시작했기 때문에 책에 대한 정보가 거의 없었다. 그런데도 그냥 딱 알겠더라. 이건 작가의 실제 경험을 소설화 한 것이고 제목이자 소설 속 인물인 셔기 베인은 작가의 분신이구나 하고.

소설을 다 읽고 마지막 장의 작가의 감사의 글까지 읽어보니 작가는 실제로 알콜 중독 어머니가 있었고 헌신적인 형이 있었다는 걸 알 수 있었다. 그래서 인터뷰도 잠깐 찾아서 읽어보았다.

작가 더글라스 스튜어트는 실제로 글래스고에서 알콜중독인 어머니 곁에서 어린 시절을 보냈다. 아버지는 없었다. 어릴 때부터 다른 남자아이들과 달랐던 그는 늘 놀림과 괴롭힘을 받고 살았다고 한다. 소설 속 셔기 베인이 호모라고 놀림받고 아이들 사이 폭력적인 상황에 내몰리듯이 말이다. 16살에 어머니는 결국 알콜중독으로 죽었고 고아가 된 그는 고등학교를 계속 다니기 위해 밤에 일하면서 어렵게 공부했다고 한다. 그러나 글래스고를 떠나 대학을 가게 된 후 그의 인생은 새로운 전환점을 맞는다. 뉴욕 여러 유명 패션회사에서 디자이너로 경력을 쌓게 되면서 성공한 디자이너가 된 것이다. 디자이너로 일하면서도 자투리 시간에 늘 글을 썼던 그는 자신의 어린 시절을 바탕으로 한 1980년대가 배경인 소설을 쓰기 시작한다. 그는 이것을 32살 때부터 써서 42살에 완성했다고 한다. 처음 초안은 무려 A4용지로 900장이나 되는 엄청나게 긴 작품이었다. 그러다 주변인의 조언을 듣고 줄이고 줄여서 다시 쓴 것이 바로 이 소설 셔기 베인이다. 줄여도 한글판으로 거의 600장에 육박한다. 그는 이 소설로 소설가로 첫 데뷔를 했고 데뷔하자마자 2020년 부커상을 거머쥔다.

대단하지 않는가? 어린 시절부터 힘들게 열심히 살았던 것도 그렇고 다른 직업을 가지고 있으면서 틈틈이 쓴 소설이 바로 최고의 상까지 탄 것도 그렇고. 정말 인간승리의 한 장면이 아닐수 없다.

 


소설은 1980년대 대처 시대의 영국 그것도 글래스고의 워킹클래스 가족의 이야기다. 굉장한 미인이었던 애그니스는 첫 번째 결혼과 두 번째 결혼 모두 실패한다. 남자들에게 걸었던 인생은 모두 그녀가 원하던 삶이 아니었다는 것이 드러나게 되고 거기에 좌절하면서 점점 술에 의지하고 만다. 아이들은 셋이나 있다. 어머니가 알콜 중독자로 망가져 가자 집안의 유일한 수입원이었던 첫째 딸은 일찍 결혼을 해서 가족에서 빠져나갔고 둘째 아들은 그림에 재능이 있어서 예술 대학 합격증까지 받았으면서도 어머니에게 합격사실을 말하지도 못 하고 집에 남는다. 이제 가족 내에서 돈을 벌 수 있는 사람은 자신밖에 없었고 돈없이 대학을 갈 수도  집을 나갈 수도 없기에. 막내 셔기는 8살 나이에 아버지에게 버림받고 알콜 중독자 어머니 곁에서 제대로 된 돌봄도 받지 못하며 자란다. 또래 남자아이들과 많이 달랐던 게이 소년인 셔기는 밖에서는 늘 괴롭힘을 당했고 성적이고 폭력적인 욕설을 보통으로 듣고 자란다.

복지수당으로 음식보다 술을 사는 게 더 중요했던 어머니는 돈이 떨어지면 술을 사기 위해 남자들까지 침대로 끌어들이기 일쑤였고 이러한 것들을 어린나이부터 일상적으로 보고 자란 셔기는 어머니를 지키기 위해 노력하지만 어린아이가 할 수 있는 것은 별로 없다. 그저 어머니가 망가지는 것을 지켜보는 수밖에. 하지만 둘째 형과 셔기는 가족 안에 있는 한은 어머니를 어떻게든 지키려고 노력한다. 그러나 술을 끊지 못하는 어머니 때문에 집안은 점점 더 막장으로 치닫는다. 그 과정이 읽기가 너무 괴롭고 힘들었다. 술을 도저히 끊을 수 없는 어머니와 그걸 지켜보는 자식들의 무기력함과 슬픔. 이것들이 소설 전반을 채우고 있다.

애그니스의 자식들은 참 착하다. 어머니를 원망할 법 한데도 셔기는 끝까지 어머니에 대한 사랑을 놓지 못 한다. 둘째도 결국에 집을 나가지만 늘 집안일에 신경을 쓰고 있다. 가족이란게 다 이렇겠지. 괴롭고 힘들지만 외면할 수 없는 것. 이런 끈끈함이 이 책을 읽다보면 묻어난다.

그래서 책을 읽는 내내 숨이 콱 막힌 듯 답답했다. 어머니를 떠날 수 없는 아이들이 너무 불쌍해서.

제발 애그니스! 착한 아이들을 생각해서 정신 좀 차려! 하고 책 속에 들어가서 소리치고 싶었다. 설령 내가 그렇게 할 수 있다고 하더라도 애그니스는 콧방귀도 안 뀔 캐릭터이긴 하지만 말이다.

 

소설 속 상황이 답답하고 우울하긴 하지만 그래도 결론은 희망적이다. 혼자된 셔기 베인은 앞으로의 삶을 잘 꾸려 나갈 것이라는 암시로 마지막을 장식하고 있기 때문이다. 이것은 성공한 패션 디자이너이자 이제는 성공한 작가가 된 이 책의 작가가 스스로의 삶을 반추했을 때 쓸 수 있었을 삶의 긍정이기 때문에 책을 덮고 나서 참 안심이 되었다. 결국 현실 속 셔기 베인은 삶을 잘 해쳐나갔지 않은가.

 


댓글(2) 먼댓글(0) 좋아요(1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scott 2021-12-11 11:19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이작품 1980년대 영국 대처 시대의 영 글래스고의 워킹클래스 가족 이야기 군요
글래스고 출신 배우 제임스 맥어보이가 그 시절 글래스고 엄청 암울했다고 했는데 소설 속 아이들 모습이 불쌍 ㅜ.ㅜ

망고 2021-12-11 12:03   좋아요 1 | URL
네 정말 암울하더라고요ㅠㅠ그래서 읽느라 힘들었어요ㅜㅜ제임스 맥어보이가 글래스고 출신이었군요 오 또 새로운 정보습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