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문재인의 운명 (반양장)
문재인 지음 / 가교(가교출판) / 2011년 6월
평점 :
절판
굳이 이 책의 저자와 노전대통령을 영웅시할 생각은 없음에도 불구하고, 이 책의 진솔함과 담담함은 읽는 이의 가슴을 후비는 듯하다.
과거 누구처럼 누구누구가 자신을 좋아했다느니, (이미 이 세상 사람이 아닌 인물을 언급하며) 자신이 그를 감화시키고 그의 사과를 받았다는 이야기는 지금까지 당사자 둘만이 아는 비밀이었다는 식의 허황된 이야기를 늘어놓지 않음에도 불구하고, 저자는 충분히 훌륭한 인물이며 충분히 귀감이 될 만한 사람인 것 같다.
이 책에 노무현 전 대통령과 얽힌 재미있는 에피소드나 흥미로운 사건들은 나오지 않는다.
너무도 담담하고 차분하게 굵직굵직한 사건들을 기록했을 뿐이다.
마치 김훈의 글을 읽는 것처럼 간결하면서도 힘이 넘치는 문장들도 있다.
------------------------
사건 뿐 아니라 부산변호사회 활동도 열심히 했다. 특히 노 변호사는 부산변호사회 재무이사를 세 번이나 할 만큼 모두를 위한 일에도 열심이었다. 나이든 분들이든 젊은 분들이든, 변호사들은 다 그를 좋아했다. 좋은 시절이었다.
-p.36
경찰이 동의대사건에서의 안전소홀 책임을 제대로 반성하고 교훈으로 삼기만 했어도 용산참사는 발생하지 않았을 것이다.
-p.85
공수처(고위공직자 비리수사처) 공약은 당시 국민들의 요구를 반영한 것이었다. 국민들의 지지여론이 높고 양대 후보가 함께 제시했던 공약인데도 법안을 만드는 과정에서 장애가 생겼다. 공수처의 수사대상 때문이었다. 대통령 주변 측근과 친인척, 청와대 주변 권력형 비리의 위험이 있는 사람들이 기본 대상이다. 그 외 고위 공직자들도 모두 망라된다. 국회의원도 당연히 포함됐다. 국회에서 이를 용납하지 않았다.
-p.328
당일 걸어서 노란 선을 넘는 대통령 내외분의 모습은 대단히 인상적이었다. 대통령은 그 선 앞에서 소감을 말했다. "저는 이번에 대통령으로서 이 금단의 선을 넘어 갑니다. 제가 다녀오면 또 더 많은 사람들이 다녀오게 될 것입니다. 그러면 마침내 이 금단의 선도 점차 지워질 것입니다."
-p.35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