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인경 아줌마의 속시원~한 수다]

얼마전 일어난 미국 테러사건의 피해자들이 죽음 직전 가족과 친구에게 남긴 말은 한결같았다. “내가 당신을 사랑한다는 걸 알려주고 싶어요” 라는 것. 평소 우리는 관심을 갖고 사랑하는 사람들에게 그 마음을 제대로 전달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다. 알량한 자존심과 약간의 두려움 그리고 ‘이 다음에 해야지’ 하는 게으름 때문에. 그러다보면 그 마음을 표현할 기회를 영영 놓치고 말 수도 있다. 오늘이라도 그들에게 “사랑한다”고 말하며 관심을 표현해 보자. 당장 내일 죽지 않는다 해도 아쉬울 건 없지 않은가.

한 명상가가 수련생들에게 이렇게 말했다고 한다. “당신의 생명이 1개월밖에 남지 않았다고 가정해 보십시오. 그런 다음 그 1개월 동안 당신이 꼭 하고 싶은 일들을 떠올려 보십시오.” 사람들은 진지하고도 고통스럽게, 때로는 눈물까지 흘리면서 자신의 마지막 소망을 종이에 적었다.

고향으로 내려가 노모의 손을 잡고 산책을 하다 생을 마감하겠다는 중년의 남자. 늘 자기를 나무라는 권위적인 상사에게 눈을 부라려보겠다는 소심한 샐러리맨, 자신의 전재산을 정리해 카리브해 호화유람선을 타보겠다는 20대 처녀. 내가 사랑했던 모든 사람들의 발을 정성껏 씻어주겠다는 주부.

명상가가 다시 그들에게 물었다고 한다.

“그런데 그 소망을 왜 지금 바로 행동에 옮기지 않는 겁니까?”

물론 이 이야기는 왜 지금 당장 할 수도 있는 일을 나중에, 이 다음에, 늙은 다음에, 죽기 전에로 미루며 자유의지대로 살지 못하는가를 지적한 것이다. 하지만 진짜 우리에게 남은 생명이, 한달 아니 불과 몇분뿐이라면 우리가 할 수 있는 것은 무엇일까. 은행 통장을 정리하는 걸까, 아님 배부르게 잔뜩 먹는 걸까, 아니면 평소 미워했던 이들을 찾아가 따귀라도 때려주는 걸까.

얼마전 일어난 미국의 테러사건을 보면서 난 미국과 테러범들과의 관계나 정치적 문제, 혹은 그에 따른 경제적 손실을 걱정하기보다 그 사건으로 무고하게 목숨을 잃은 이들과 그 가족들이 안쓰러워 가슴이 아팠다. 영문도 모른 채 죽어간 그들은 얼마나 억울할까.

1백층 이상의 고층빌딩에 있던 사람들, 그리고 비행기 납치범에 의해 인간폭탄 재료가 될 수밖에 없던 사람들은 자신들에게 죽음의 순간이 다가오는 것을 알았다. 인종도, 나이도, 직업과 성격도 모두 다른 이들이지만 그들이 가족이나 친구에게 전화나 핸드폰으로 남긴 말들은 약속이나 한 듯 같았다. 세상에 대한 원망이나, 더 살고 싶다는 애원이나 복수를 해달라는 저주가 아니었다. 그들의 마지막 말은 한결같았다.

“내가 당신을(엄마를, 아빠를, 언니를, 친구를) 사랑한다는 걸 알려주고 싶었어요.”

가까우면 너무 가까워서, 거리가 좀 멀면 멀어서 우린 우리가 관심을 갖고 있고 사랑하는 사람들에게 자신의 마음을 제대로 전달하지 못한다. 알량한 자존심과 약간의 두려움 그리고 ‘이 다음에 해야지’ 하는 게으름 때문에.

얼마전에도 그랬다. 우리 부에 아르바이트 학생이 들어왔다. 20세, 만으로는 18세라고 하는데 노랑머리에 야한 옷차림, 그리고 눈빛도 약간 불안했다. 일도 별로 성의있게 하는 것 같지 않았다. ‘전형적인 요즘 아이구나’ 하고 별로 관심을 기울이지 않았다. 그런데 어느날 그 아이가 얼굴빛이 달라져서 조퇴를 했다. 물어보니 가족 사이에 문제가 좀 많은 것 같았다. 고등학생인 동생은 끝없이 문제를 일으키고 부모도 그렇고. 그 불안한 눈빛의 이유를 알 것 같아 가슴이 아팠다.

가정환경이 어려워도 가출도 안하고, 원조교제도 안하고 착실하게 사무실에 일하러 나왔다는 것만으로 그 아이를 돕고 싶었다. 조용히 불러내서 집안 이야기도 듣고 도와줄 일이 없는지도 알아보리라 생각했는데 내가 해외출장을 다녀와보니 그 아이는 이미 회사를 그만둔 후였다. 연락도 잘 안된다고 했다. 그 아이에게 너무 미안했다. 진작 조금만 더 빨리 그 아이에게 관심을 보이고 뭔가 같이 고민했으면 회사를 그만두지 않아도 되지 않았을까. 내가 ‘이 다음에’하며 말을 아끼는 사이에 그 아이는 이젠 나와 인연이 없어져버렸다.

 ‘다음에’라고 미룬 사이 관심을 보여줄 기회는 사라지고 말아

또 얼마전에는 초등학교 동창생이 국내 명문의대 교수가 된 걸 알았다. 후배의 아기가 수술을 할 예정이어서 무심히 그 이야기를 하는데 담당 주치의가 그 동창생이었다. 그 친구가 의대에 들어간 후 만난 적은 있지만 20여 년을 소식을 전하지 않은 사이였다. 초등학교 3학년 때 그 친구를 처음 본 후 난 혼자 끙끙거리며 짝사랑을 했고 마음속에서 그 아이를 어린 왕자로 곱게 키웠다. 하지만 대학에 들어가서 만났을 때는 오히려 담담해졌다.

예전 같으면 상상도 못할 일이지만 이제 40대 막가파 아줌마가 되었고 나름대로 이미 다 정리된 ‘과거 완료형’의 감정이었기에 교수명단에서 그의 이메일 주소를 알아내 메일을 보냈다. 나를 기억하냐고, 내가 초등학교 다닐 때 널 무지무지 짝사랑했다고. 이제 와서 뭘 어쩌겠다는 생각은 추호도 없었다. 답장이 왔다. 다른 내용은 없고 “네가 날 좋아했었다니 굉장히 충격적이다”라는 말, 그리고 “언제 어디서나 건강하길 바란다”는 말뿐이었다.

처음에는 조금 섭섭하고 부끄러웠다. 20여 년 만에 친구가 편지를 보냈는데 예의로라도 “언제 한 번 만나 차나 마시자” 하고 제안할 줄 알았는데 “놀랐다”는 말만 반복하고 건강하라고 기원만 하다니. 하지만 그에게 좋아했었다는 말을 한 것을 후회하지는 않는다. 중요한 것은 때가 늦긴 했어도 그 애를 좋아했었다는 걸 알려준 것이다. 뒤늦게라도 누군가 자기를 좋아했다고 하면 불쾌하거나 억울하지는 않을 테니까.

요즘은 매일 밤 엄마를 씻겨드리고 재워드리며 이렇게 말한다.

“엄마, 오늘도 살아계셔 주셔서 고마워요”.

하지만 엄마가 치매에 걸리기 전, 건강하고 무슨 말이건 다 들어주셨을 때는 엄마에게 고맙다거나, 사랑한다거나, 감사하다는 말을 잘 해드리지 않았다. 오히려 뭐 해달라, 섭섭하다 등등만 강조했다. 엄마가 건강하셨을 때 더 많이 안아 드리고 더 자주 사랑한다는 말을 하지 못한 게 참 미안하다.

내 딸에게도 마찬가지이다. 내 딸이니까 사랑하는 게 너무 당연하지만 그 아이에게 내가 얼마나 사랑하는지를 잘 표현못할 때가 많다. 그 아이의 미소가 얼마나 내 마음을 따뜻하게 해주는지, 그 아이가 음식을 맛있게 먹을 때 내가 얼마나 가슴이 뿌듯해지는지를 알려줘야겠다. 내 사랑을 알면 딸아이는 절대로 가출도 안 할거고 나쁜 유혹에도 빠지지 못할 것이다. 당장 내일 죽지 않는다 해도 지금 사랑한다는 말을 해서 손해볼 건 없지 않은가.


댓글(1)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sayonara 2004-09-09 14:34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즉각즉각 표현하기도 참 쑥쓰럽죠.
"엄마 잘할께요"하는 박카스 CF도 왜 그리 어색한지.. ^_^;;;