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공하는 사람들의 7가지 습관
스티븐 코비 지음, 김경섭 옮김 / 김영사 / 1994년 4월
평점 :
구판절판


'성공하는 사람들의 7가지 습관'은 20세기의 성공학을 대표한다고 할 수 있을 정도로 많이 팔린 책이다. 세계 여러 나라에서 이만저만한 베스트셀러러가 아닌 것이다. 수많은 독자들이 감명을 받았고 커다란 변화를 경험했으며 놀라운 결과들을 이끌어낸 책이다. 하지만 세 차례 이상이나 꼼꼼하게 훑어보았지만 '과연 그럴만한 가치가 있는 책인가?!'하는 개인적인 소감만 남아있을 뿐이다.

이 책에서 언급된 거의 모든 주제들이 이미 기존의 수많은 자기계발서적들에서 볼 수 있었던 내용들이었던데다가 학구적인 저자의 이상적인 논리에 바탕을 둔 주장들 뿐이다. 한마디로 뻔한 내용들을 조금 더 근사한 표현들로 포장한 것이다.(따지고 본다면, 그러한 노력과 재능도 나름대로 칭찬받을만한 것이지만 말이다.)인생에 관한 고찰을 담은 심오한 주제를 간결한 7가지의 카테고리에 담아서 그럴듯하게 포장한, 베스트셀러의 몇가지 습관에 충실한 책이라고 생각한다.

스티븐 코비가 주장하는 몇 가지 습관들을 예로 살펴본다면 다음과 같다.스티븐 코비는 20세기 초 이후의 성공학 서적들이 성격중심의 접근법으로 이야기하기 때문에 응급처치식의 처세술만을 가르친다고 폄하한다. 하지만 이 부분에서 굳이 트집을 잡자면 저자의 조사가 충분하지 못했다는 것이다. 그가 인용한 사례 중에 빅터 프랭클에 관한 부분을 보자면 그는 2차대전 때 독일군의 포로수용소에서의 경험을 바탕으로 자신의 학설을 세운 사람이다. 스티븐 코비가 격찬해마지않는 19세기 초 이전의 저작들이 아닌 것이다.

또한 감정계좌에 관한 개념은 '성공하는 사람들의 7가지 습관'이 출간되기 10년도 더 전에 출간되었던 지그 지글러의 '정상에서 만납시다'에 거의 비슷하게 나오는 내용이다. '소중한 것을 먼저하라'는 개념 또한 이미 시간관리에 관심있는 사람들이라면 누구나 알고 있는 것이 아니던가? 정말 그것이 새롭고 놀라운 개념이라고 감탄할 수 있을 것인가?

그리고 '감정은행계좌'에 관한 이론이 실제 생활에서 얼마나 통용될 수 있을 것인가? 상대방이 약삭빠른 무뢰한이라면 감정은행계좌에 플러스를 쌓으려는 나의 의도를 마음껏 이용할 것이다. '윈-윈' 전략이라는 것도 가족이나 친한 친구같은 호의적인 관계이거나 고도의 도덕적 완성을 성취한 사람들과의 사이에서만 통용될 수 있는 것이다.

'80:20의 법칙'의 저자인 리처드 코치처럼 '폐쇄적인 몰몬교의 교리에 바탕을 둔 허접한 내용'이라는 식으로 트집을 잡고싶지는 않지만, 개인적으로 볼 때 '성공하는 사람들의 7가지 습관'이 왜 이렇게 어마어마한 베스트셀러가 되었는지 모르겠다. 아마도 베스트셀러의 원칙에 충실한 책의 구성과 저자의 노력 때문이 아닐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8)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