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마인 이야기 6 - 팍스 로마나 로마인 이야기 시리즈 6
시오노 나나미 지음, 김석희 옮김 / 한길사 / 1997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로마인 이야기' 6권은 전무후무한 천재였던 카이사르의 뒤를 이은 아우구스투스황제가 다스리던 시대의 이야기이다.그동안 수백년에 걸쳐서 로마의 선조들이 갖은 고난과 투쟁을 통해서 기초를 닦고, 카이사르라는 희대의 인물이 거의 완성시킨 로마는 아우구스투스황제시대에 이르러서는 명실상부한 세계의 중심으로 우뚝 서게 된다. 로마제국은 그 이후로도 수백년동안이나 번영을 누리게 되지만, 대통령당선자가 취임식을 끝낸 이후부터 곧바로 권력의 누수가 시작되는 것을 볼 때, 아우구스투스가 다스리던 그때가 바로 로마의 최전성기가 아니었나 싶다.

카이사르가 선택한 후계자답게 명장 아그리파와 2인 3각으로 국내외적인 문제를 멋지게 처리해나간다. 하지만 아그리파의 죽음과 말년에 겪게 되는 여러가지 고난들과 고민들은 운명의 장난으로 치부해야 하는 걸까? 아니면 아우구스투스황제가 갖고 있는 재능의 한계로 생각해야 할까? 많은 독자들이 시오노 나나미의 '로마인 이야기'를 일본제국주의에 대한 어설픈 변명이라고 생각한다. 하지만 개인적으로는 그렇게 생각하지 않는다. 로마제국과 대동아공영권을 꿈꾸던 일본제국과의 차이는 타이슨과 알리, 마라도나와 펠레의 차이만큼이나 커다란 것이기 때문이다. 만약 일본이 대동아공영권을 건설했다 한들 피지배층인 한국인출신, 동남아시아출신의 인물이 황제가 될 수 있었을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