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로마인 이야기 10 - 모든 길은 로마로 통한다 ㅣ 로마인 이야기 시리즈 10
시오노 나나미 지음, 김석희 옮김 / 한길사 / 2002년 3월
평점 :
일권부터 구권까지의 로마인 이야기를 읽으면서, 참 대단한 사람들이라고 생각했었다.
어떤면에서 보면... 우리가 따라가지도 못할 개방적인 생각, 합리적인 사고, 유연한 행동, 지금과 별반 다를바 없는 고대의 인프라를 구축했던 나라... 도저히 기원전 사람들, 고대 사람들이라고 여길 수 없을 만큼 대단한 사람들임을 알았다.
로마인 이야기... 이 책은 역사의 흐름을 이야기하는가 하면, 인물 중심이 되기도 한다.
또 그런가하면, 정치적인 얘기도하고... 문화적인 얘기도 한다... 또 그런가하면, 지금 10권에서 다루고 있는 인프라를 얘기하기도 한다.
다만, 10권에서는 중점적으로 그동안 자세히 다루지 못했던 부분을 얘기한다.
도로... 길이다.
사람들이 자주 다니는 길을 놔두고... 왜 굳이... 지금으로 치자면, 고속도로를 깔았을까?
로마에도 길은 많이 있었다.
하지만 도로는 다르다... 우선 로마인이 만든 도로는 길을 평평하게 넓게 고른다음, 그 위에다 마름모꼴의 반듯반듯한 돌을 깔았다, 그리고 그 위에 시멘트를 부어 길을 완성시켰다.
길을 만드는 도중, 산이 막히면... 깍아내었고, 바위가 막고 있으면... 터널을 내었다.
미국의 고속도로와 조금도 다르지 않다.
이런 도로는 로마인은, 수도 로마를 중심으로 속주 구석구석까지 연결되도록 만들었다.
정말, 놀라지 않을 수 없다.
다리 또한 그런 방식으로 만들었다.
지금의 다리와 조금도 다름이 없는 다리...
고대에도 수도가 있었다니 그저 놀라울 뿐이다.
지금 우리와 같이 수도관으로 연결된 수도, 말이다.
그래서 로마인들은 물을 뜨러 바깥으로 나가지 않아도 됐다고 한다.
수도 로마에 넘쳐나는 대중목욕탕도 이런 시설이 있었기 때문에 가능한 일이라고도 한다.
그런데, 고대에 만들어졌던 하드 인프라를, 이탈리아는 지금도 계속 사용하고 있다고 한다.
10권을 읽으면서 계속 생각한 것은,... 지금도 하드 인프라가 없는 나라도 많다.
작가도 그 생각을 한 모양이다.
그럼, 그들은 무엇인가?
인프라가 없는 나라는 왜 그럴까?
작가의 말대로, 인프라를 구축할 경제력이 없는걸까?
아니면, 두뇌가 없는걸까?
아니면, 게으름이 이유일까?
나도 궁금하다, 기원전 고대시대에 인프라를 구축했던 저들은 뭔가?
고대에 아무도 생각지 못했던... 심지어 지금도 도로가 없는 나라, 물을 끌어들이지 못하는 나라들은 뭐란 말인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