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마의 평전
나채훈 지음 / 북오션 / 2015년 12월
평점 :
구판절판


평전이라는 게 저자의 컨셉에 따라 매우 다양한 형태로 나올 수가 있는데 내가 생각하는 기본은 - 해당인물에 대한 유의한 사료나 정보는 일단 최대한으로 소개하는 것이며, 그에 따른 평가를 지지고 볶는 건 저자의 재량이라고 본다. 그런 점에서 이 책은 기본에 썩 충실한 책은 아니었다. 연표도 없고, 사마의의 가계도도 없고, 사료도 충분히 인용되지 않았다. 최소한 한 왕조의 태조 취급 받는 사람인데 가계도 정도는 기본 아닌가. 내가 알기로 사마의는 부인을 최소 4명인가 많으면 6, 7명 두었고 자식도 10 단위 이상으로 낳은 걸로 아는데 여긴 그런 기초적인 내용조차 없었다. 게다가 책 컨셉 자체가 온통 사마의를 변호하는 이야기이다보니 사마의에게 불리한 사료는 누락하거나 - 유리한 내용이면 연의까지도 인용하는 등 균형이 별로 잡혀있지 않았다. 일례로 사마의가 조조의 등용을 거부하던 시절 이 양반이 풍 걸렸다고 핑계 대놨는데 막상 멀쩡한 모습을 집안 여종이 목격하자 부인이 여종을 죽여버린 적이 있다. 이에 사마의는 그 부인을 중히 여겼다고 하는데, 이게 나름 유명한 일화인데도 저자는 무려 '사마의 평전'을 쓰면서도 이걸 누락했다. 게다가 제갈량이 반간계를 써서 사마의가 좌천되었다는 둥 사마의는 장합을 말렸는데 장합이 말을 안 들어서 죽었다는 둥 연의에만 나오는 허구를 근거로 쓴 글이 상당히 많았다. 이런 점은 심히 실망스러웠다.

물론 책이 단점만 있는 것은 아니었다. 『전상삼국지평화』가 재판 형식으로 진행되는 액자식 구성이라는 것, 거기 나오는 인물 중 사마중상이 사마의로 환생한다는 것은 이 책을 보고 알았다. 그리고 사마씨 집안이 엄청난 거한이었다는 사실도 새로웠다. 사마랑 같은 경우 12살 때 시험 보러 갔다가 감독관한테 나이를 똑바로 대라는 소리까지 들었다고 한다.

또한 사마의가 성품이 신중하고 - 적어도 겉으로는 - 매너가 좋은 사람이었다는 사실은 익히 알려져 있는데, 다음과 같은 이야기도 눈길을 끌었다.

「...사마의가 중앙에 진출해서 높은 벼슬을 하고 있는 동안에 상림을 고향의 덕망 있는 선배라고 여겨 항상 그에게 정중하게 인사하는 것을 잊지 않았다. 어떤 사람이 상림에게, "사마공은 지위가 존귀하니 그대는 마땅히 그의 행동을 멈추도록 해야 하오" 하고 충고했다. 그러자 상림이 대꾸했다.

"사마공 스스로 長幼의 예를 돈독하게 하려는 것은 분명 후대를 위한 모범을 보이는 것이오. 그가 벼슬이 높은 걸 내가 두려워하는 바가 아니며 그가 깍듯이 인사하는 것 역시 내가 제지할 수 있는 바가 아닐 것이오."」

저자는 사마의가 난세에 딱히 출세하려고 애쓴 인물은 아니라고 평한다. 조조가 스카웃해도 거부하거나 거의 마흔 다 돼서부터야 전면에 나서기 시작하는 등 내가 봐도 그런 것 같긴 하다.

하지만 기재는 기재인지라 벼슬살이 하다보면 뜰 수밖에 없는 인물이었다. 과연 낭중지추라. 맹달을 조지고 주가가 크게 상승한 사마의는 제갈량 전담 마크맨이 되는데, 직접 교우하지도 않았으면서 제갈량을 누구보다도 잘 아는 자가 바로 그였다.

「공명은 큰 뜻을 품었지만 기회를 보는 눈이 없고, 모략에는 뛰어나지만 결단력이 부족하며, 전투는 즐기지만 임기응변의 능력이 없다. 지금 10만 대군을 거느리고 출병했지만 이미 나의 계책에 빠진 상태다. 그는 이제 패해 물러가게 될 것이다.」

오장원에 별이 지리라는 것 또한 사마의는 정확하게 예견했다. 그럼에도 결국엔 死孔明走生仲達의 굴욕을 당했는데, 저자는 이걸 두고 사마의가 일부러 얼빠진 모습을 보여 토사구팽을 피하려 한 것이라고 주장한다. 이건 좀 황당하다.

책에 이와 비슷한 논조의 내용이 상당히 많다. 심지어 사마의가 말년에 쿠데타 일으킨 것도 본인이 생각한 최선의 구국행위였으며 조위에 대한 배신이 아니라고 평하는데, 그게 진짜라면 사마의가 식읍 4만 호인가를 받았어도 안 됐고 쿠데타 성공 후에는 황권을 공고히 하여 황제를 밀어줬어야 한다. 하지만 사마의는 조상 패거리처럼 양아치짓만 안 했다 뿐이지 권력으로 치면 그냥 'The New 조상'이었다. 책 군데군데 이런 무리수가 꽤 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만화로 배우는 공룡의 생태 한빛비즈 교양툰 3
갈로아 지음 / 한빛비즈 / 2019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얼마 전 인터넷에서 '세뿔돼지' 시리즈 만화를 본 적이 있다. 세뿔돼지란 트리케라톱스를 일컫는 말이었는데, 병맛 넘치는 약 빤 만화였다. 그 후 혹시나 해당 만화의 후속회차가 연재되지는 않았나 하고 찾아보던 와중에 세뿔돼지 시리즈가 책으로 나왔다는 사실을 알게 됐다. 이게 웬 걸 하고 알아보니 세뿔돼지 책은 한정판 부록이고, 메인은 이 책이라고 하는 거다. 저자의 만화를 디시인사이드 공룡갤러리에서 얼핏 본 적이 있는데 의외로 고퀄이었던 기억이 있어서 결국 '세뿔돼지'를 질렀다. 그러자 이 책이 부록으로 딸려왔다(?).

받아보니 이건 뭐 그냥 고퀄이 아니라 역대급 명작이다. 90년대 중반 김수정 화백의 퀴즈탐험 신비의 세계 시리즈 공룡편을 능가하는 - 최고의 공룡책이 나왔다. 퀴즈탐험도 당시에는 최신의 연구결과들을 반영하여 혁신적인 공룡서적으로 내 나름 인정한 바 있는데, 이 책은 그냥 典範이다. 저자의 전문성부터 차이가 난다. 김수정 화백이 못났다는 게 아니라, 이 사람은 아예 직업이 곤충학자다. 그리고 고생물 덕후다. 저자 소개 부분을 보면 어렸을 적 공룡 화석 찾겠다고 놀이터 흙을 파다가 실망했다는 내용이 나오는데 마치 내 얘기를 듣는 듯 했다.

지질학, 생물학, 진화학 등등 다방면에 조예가 깊은 저자가 최대한 알기 쉽게, 병맛을 섞어가며 이야기를 엮어 가는데 가히 청산유수에다 뇌리에 정보가 팍팍 들어왔다. 게다가 2019년 현재 최신 연구결과들을 반영하여 고증에 굉장히 충실한 그림들을 그려놓았다. 그러면서도 다음과 같은 멘트를 통해 본인의 책을 진리라고 생각할지도 모르는 독자들을 경계하고 있다.

「특히 공룡 연구에서는 정말 많은 공룡책이 쓰레기통에 던져질 만한 정도의 과학혁명이 자주 일어나며 해석과 양태가 빈번히 바뀐다. 그래서 공룡을 소개하는 내용을 볼 때, '저것이 사실이다'라고 받아들이지 말고 실제 공룡이 아니라 (언제 깨질 지 모르는) 정교한 '모델링'을 보고 있다고 생각하면 좋다.」

저자는 이런 '모델링'을 완벽하게 구현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 내가 모르고 있던 사실들도 많이 알 수 있었다. 특히 티렉스는 성대가 없어 포효 따위는 못하고 그르렁대기 밖에 못했다는 사실과, 이른바 '포유류형 파충류'라고 알고 있던 포유류 조상들이 지금은 '단궁류'로 재분류되었다는 사실, 그리고 공룡의 체온에 대한 골디락스 가설 등등 새로운 학설들을 많이 접할 수 있었다.

비슷한 예로 옛날 공룡책들 보면 대부분 공룡의 수명이 200년은 됐을 거란 내용이 실려 있는데, 이는 신진대사가 느린 파충류를 보고 유추한 것일 뿐이다. 현재는 화석을 통해서도 공룡의 사망 당시 연령을 알 수 있는데, 50년 이상 살았던 공룡이 거의 없는 걸로 알고 있다. 게다가 옛날 책에는 공룡이 죽을 때까지 성장했을 거라는 둥, 사자랑 티렉스랑 싸우면 티렉스가 진다는 둥 하는 이야기들이 많았는데 역시나 이 책은 그러한 낡은 학설은 반영하지 않고 있다.

일요일 오후 단 몇 시간 동안 앉거나 누워서 순식간에 읽어버렸다. 그만큼 몰입도가 높은 책이었으며 읽은 시간은 반나절이지만 감동은 반평생을 갈 만한 책이다. 저자에게 감사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고분벽화로 본 고구려 이야기
전호태 지음 / 풀빛 / 2010년 4월
평점 :
품절


현대 한반도 거주민이라면 대부분 고구려의 방역과 국력에 대한 환상 내지는 미련이 있을 것이다. 나도 마찬가지다. 만주 벌판이 얼마나 광활한 지에 대해서는 귀에 인이 박히도록 들어왔다. 그 넓은 땅을 통치하고 - 무려 중국 통일왕조와 정면대결을 펼쳤던 고구려에 대한 그리움은 발해와 고려의 건국으로 이어졌으며 우리의 대외적인 이름 또한 Korea, 즉 고구려이다. 고구려에 대한 한민족의 집착과 애정은 1,000년 이상을 반도 안에만 갖혀 지낼 수밖에 없었던 우리의 자격지심, 또는 恨의 투영일 수도 있다. 하지만 어쩌랴. 우리에게 고구려는 한족의 요순시절과 같이 여겨지고 있으며 - 안타깝지만 - 앞으로도 그럴 것 같다.

운이 좋은 건지 나쁜 건지, 고구려의 반의 반토막보다도 작은 나라에서 태어난 나도 어쩔 수 없는 한민족이다. 때문에 이 책을 보게 되었다.

고구려는 지나치게 북쪽에 있었다. 물론 지금의 못난 후손 입장에서 말이다. 신라는 당장 대국이 북에서 짓누르고 있어 견디기 힘들었고, 당 또한 변방의 골칫거리를 제거하고 싶었다. 수양제, 그리고 당태종의 끔찍한 전례가 있었지만, 이번엔 우군이 적국의 뒤에서 호응하는 형세이니 도박을 걸어봤다. 그렇게 당고종에 의해 고구려는 멸망했고 고구려의 사료와 각종 유물들이 무수히 남아있던 평양과 국내성, 졸본 등은 이후 수백 년 혹은 아직까지도 한민족의 영토로 편입되지 않았다. 이는 발해도 마찬가지다. 이에 따라 우리는 현재 고구려에 대해 극히 제한적인 사료와 유물만을 보유하게 되었다. 이런 난감한 상황 속에서도 한줄기 빛은 있었으니, 그게 바로 고분벽화인 것이다. 고구려인들 사이에선 유난히도 무덤에 벽화를 그리는 일이 유행했으며, 이는 고고학자 및 역사학자들에게는 크나큰 축복이었다. 그 양반들이 벽화를 안 그렸더라면 우리가 아는 고구려의 모습은 발해의 그것보다 덜하면 덜했지 결코 명료하지 않았을 것이다. 저자는 이 고분벽화를 토대로 고구려에 대한 썰을 풀어놓고 있다.

사실 아주 특별할 건 없었다. 이미 고구려에 대해선 학교에서나 공무원학원에서 질리도록 배워왔으니 말이다. 그런데 확실히 그런 건 있었다. 교과서에 자주 나오는 무용총이나 강서대묘 벽화가 대단히 높은 수준의 작품이라는 사실을 알게 됐다. 그 작품들이 워낙 예술적 가치가 높은 것도 있지만, 상대적으로 다른 고분벽화들의 상태나 수준이 썩 좋지는 않아보이더라.

와중에도 몇몇 이야기는 내 눈길을 끄는 면이 있었다. 저자는 일본서기의 기록도 종종 가져오고 있는데 거기 따르면 고구려와 백제가 싸웠을 때 적장끼리 서로 1대1로 겨뤄서 전쟁의 승패를 결정지었다고 한다. 일본식으로 말하자면 일기토가 있었다는 얘긴데, 현대전에서는 상상도 할 수 없는 장면이다. 또한 고구려인들이 세계 최초로 온돌을 발명했으며 실내에서는 신발을 벗고 생활했다는 사실을 보여주는 유물들이 나오는데 이런 거 보면 중공 놈들의 동북공정은 미친 소리다.

이밖에도 고구려인들의 무기, 종교, 복식 등등에 대하여 고분벽화는 정말 많은 것을 알려주고 있었다. 해의 상징은 삼족오, 달의 상징은 두꺼비와 토끼, 그리고 계수나무였다는 사실과 불교 공인 후 벽화 양태의 변천, 그리고 고구려 말기에 도교가 득세하면서 불교와 도교의 세계관이 혼재된 그림들 등등... 그리고 복식에 있어서 남자는 검정색 건을 쓰고 여자는 흰색 건을 썼다는 사실도 알 수 있었다.

재밌게 읽었다. 특히 강서대묘의 사신도는 언제 봐도 걸작이다. 고구려인의 생활상에 대해 다룬 책들 중에 이보다 알찬 책은 많지 않을 듯 하다. 만족스럽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로마인의 삶 : 축복받은 제국의 역사 시공 디스커버리 총서 58
존 셰이드 외 / 시공사 / 1997년 9월
평점 :
품절


 지구상의 고대문명 중에서도 지중해쪽 문명들은 특히 세련되어 보인다. 물론 내 기준이긴 하지만, 걔네들이 남긴 공예품이나 미술작품, 건축물 등을 보면 그 디테일과 규모면에서 웬만한 근현대 작품을 압살할 정도다. 르네상스운동이 괜히 태동한 게 아니란 얘기다. 그 지중해권 문명국가들 중 가장 마지막까지 살아남은 나라가 로마다. 오래 존속하고 땅도 넓어 후세인들에게 지대한 영향을 끼친 나라이기에 로마의 역사나 문화 등에 대한 정보는 비교적 접하기 쉬운 편이다. 그래도 활자화된, 로마인 일반의 삶에 대한 내용이 궁금해져 이 책을 샀다.

 

책은 로마의 역사, 문화를 입체적으로 보여주고 있었다. 그런데 워낙 로마에 관한 이야기가 대중적으로 널리 알려져 있다보니 딱히 새로운 내용은 많지 않았다. 개중 내 눈에 띈 내용들은 어찌 보면 좀 단편적인 이야기들이다.

 

「제정 초기부터...(중략)...신랑은 약혼녀에게 선물과 반지를 주었으며, 여자는 이 반지를 왼손 약지에 끼었다. 결혼식날은 먼저 제물을 바치는 의식을 치른 다음, 신랑신부가 결혼에 동의하는 선언문을 읽었다.」

 

2,000년 후 극동아시아 대한민국의 보편적인 결혼풍습이 바로 로마에서 온 것이었다! 조금 다른 건 로마에서는 선언문 낭독 후 부부가 서로 악수를 했다고 한다.

 '라틴'이라는 단어가 로마의 식민지나 동맹국 사람들 일부에게 부여하던 시민권 이름이었다는 사실과, 로마가 유대교 및 기독교를 탄압했던 게 종교적인 이유는 아니었다는 것도 새로웠다. 하긴 로마는 식민지 원주민들의 기존 종교에 대해 비교적 관대한 국가였다.

 

책을 읽는 내내 온갖 프레스코화와 조각상, 거대한 건축물과 그런 건축물을 재현한 그림 등을 보고 있자니 경이롭기 짝이 없었다. 특히 콜로세움이야 말할 것도 없고 포룸이나 공중목욕탕, 심지어 일반시민용 아파트까지 보고 나니 '이게 2,000년 전 나라냐'하는 생각이 들 정도였다. 누차 말하지만 르네상스가 괜히 나온 게 아니다.

 

「로마는 우리에게 어떤 유산을 남겼는가? 그들은 유럽의 교양어 중 하나인 라틴어를 우리에게 전해 주었고 수많은 로망어를 남겨주었다. 또 로마의 법률과 공화정 체제, 그리스 문화, 지중해 지역의 두 종교 - 유대교와 기독교 - 를 중세와 근대세계로 넘겨주었다. 이 모든 로마의 유산은 로마의 정복활동과 세계통일에 힘입어 가능한 것이었다. 그리고 이 유산들이 전해진 방식 또한 로마 문화의 한 단면이기도 하다.

오늘날의 유럽인은 모두 로마의 시민이다. 그들 모두는 로마가 고대 세계로부터 전승하여 고르고 개선해서 후대로 넘겨준 다양한 문화유산의 수혜자인 것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손자병법 범우문고 40
손무 지음 / 범우사 / 1988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2,000원 짜리 책이다. 초판이 86년도에 나온 책인데 내 건 초판 그대로 나온 00년도 5쇄 짜리다. 이걸 07년도에 샀던데 이제야 읽은 나도 참 죄인이다.

 

삼국지, 고대사 덕후로서 손자병법이라는 훌륭한 고전을 읽어보지 않은 것 또한 중죄이다. 그래서 봤는데, 꽤 훌륭한 책이긴 했는데 다음번엔 위무제 버전도 읽어보고 싶긴 하다.
보니까 병법의 기초부터 시작해서 실제로 들어가는 구조던데 전쟁과 살육에 대한 이야기다보니 확실히 고전 치고 현실적인 이야기가 많았다. 물론 내 이목을 끄는 것은 그런 것들보단 문장이 아름답다거나 작금에도 유효하다거나 한 이야기들이다. 일단 인상 깊은 구절 몇 수 적어보겠다.

 

「손자가 말하기를 무릇 용병의 법은 나라를 온전케 하는 것이 으뜸이요 나라를 깨뜨리는 것은 그 다음이며, 군을 온전케 함이 으뜸이요 군을 깨뜨리는 것은 그 다음이며, 旅를 온전케 함이 으뜸이요 旅를 깨뜨리는 것은 그 다음이며, 卒을 온전케 함이 으뜸이요 卒을 깨뜨리는 것은 그 다음이며, 伍를 온전케 함이 으뜸이요 伍를 깨뜨리는 것은 그 다음이다. 그러므로 백전 백승이 가장 좋은 것은 아니다. 가장 좋은 것은 싸우지 않고 적의 군대를 굴복시키는 것이다.
孫子曰 凡用兵之法 全國爲上 破國次之 全軍爲上 破軍次之 全旅爲上 破旅次之 全卒爲上 破卒次之 全伍爲上 破伍次之 是故百戰百勝 非善之善者也 不戰而屈人之兵 善之善者也」
-謨攻篇, 1章

 

「...그러므로 말하기를 저편을 알고 나를 알면 백 번을 싸워도 위태롭지 않다고 했다. 저편을 모르고 나를 알면 한 번은 이기고 한 번은 진다. 저편을 모르고 나도 모르면 싸울 적마다 반드시 위태롭다.
 ...故曰 知彼知己者 百戰不殆 不知彼而知己 一勝一負 不知彼不知己 每戰必殆」
-謨攻篇, 5章

 

「...그러므로 승병은 먼저 이기고 나서 싸움을 구하며 패병은 먼저 싸우고 나서 승리를 구한다.
 ...是故勝兵先勝而後求戰 敗兵先戰而後求勝」
-形篇, 2章

 

「亂은 治에서 생기고 怯은 勇에서 생기며 弱은 强에서 생긴다...
亂生於治 怯生於勇 弱生於彊...」
-勢篇, 4章

 

「달려가지 않는 곳에서 나오고 뜻하지 않은 곳으로 달려간다...
出其所不趨 趨其所不意...」
-虛實篇, 2章

 

「무릇 군대의 태세는 물과 같다. 물의 형세는 높은 곳을 피해서 아래로 흐른다. 군대의 태세는 실을 피해 허를 친다. 물은 땅에 의해 흐름이 규정되고 군대는 적에 의해 승리가 규정된다. 그러므로 군대에는 일정 불변의 태세가 없고 물에는 일정한 형세가 없는 것이다. 능히 적의 태세에 따라서 변화시켜 승리를 거두는 것을 일러 용병의 신이라고 한다. 그러므로 오행에 상승이 없고 네 계절에 상위가 없다. 해에도 길고 짧음이 있고 달에도 기울고 차는 것이 있는 것이다.
夫兵形象水 水之形 避高而趨下 兵之形 避實而擊虛 水因地而制流 兵因敵而制勝 故兵無常勢 水無常形 能因敵變化而取勝者 謂之神 故五行無常勝 四時無常位 日有短長 月有死生」
-虛實篇, 7章

 

「길에도 지나가지 못할 곳이 있고, 적군이라도 치지 말아야 할 것이 있으며, 적의 성이라도 공격하지 말아야 할 곳이 있고, 땅도 다투지 말아야 할 곳이 있으며, 군주의 명령이라도 받지 말아야 할 것이 있다.
塗有所不由 軍有所不擊 城有所不攻 地有所不爭 君命有所不受」
-九變篇, 2章

 

「사졸들을 보기를 어린아이같이 하여야 한다. 그러므로 함께 험하고 깊은 골짜기도 갈 수 있다. 사졸들을 보기를 사랑하는 자식같이 하여야 한다. 그러므로 더불어 죽을 수가 있는 것이다. 후대해도 부릴 수 없고 사랑해도 명령할 수 없으며 어지러워도 다스릴 수 없는 것은, 말하자면 방자한 자식처럼 쓸모가 없는 것이다.
視卒如嬰兒 故可與之赴深谿 視卒如愛子 故可與之俱死 厚而不能使 愛而不能令 亂而不能治 譬若驕子 不可用也」
-地形篇, 4章

 

「그러므로 불로써 공격을 돕는 것은 현명한 것이고, 물로써 공격을 돕는 것은 강한 것이다. 물은 끊을 수 있지만 불은 빼앗을 수 없다.
故以火佐攻者明 以水佐攻者强 水可以絶 不可以奪」
-火攻篇, 3章

 

「...이롭지 않으면 움직이지 않고 소득이 없으면 쓰지 않으며 위태롭지 않으면 싸우지 않는다. 군주는 분노 때문에 군사를 일으켜서는 안 되며, 장수는 격분하여 전투를 해서는 안 된다. 이득에 합치되어야 움직이고 이득에 합치되지 않으면 그쳐야 한다. 분노는 다시 즐거움이 될 수 있고 격분은 다시 기쁨이 될 수가 있지만, 나라가 망하면 다시 존립할 수 없으며 죽은 자는 다시 살릴 수 없다. 그러므로 현명한 군주는 이를 삼가고 훌륭한 장수는 이를 경계한다. 이것이 나라를 안전하게 하고 군사를 보전하는 길이다.
 ...非利不動 非得不用 非危不戰 主不可以怒而興師 將不可以慍而致戰 合於利而動 不合於利而止 怒可以復喜 慍可以復悅 亡國不可以復存 死者不可以復生 故明君愼之 良將警之 此安國全軍之道也」
-火攻篇, 4章

 

전반적으로 유비무환의 컨셉이 기저에 깔려 있었으며, 경제성을 강조하는 책이었다. 중의적일 수도 있는데 손자는 전쟁이 나라 경제에 얼마나 악영향을 끼치는지, 그 악영향을 그나마 줄이려면 어떻게 하는 것이 좋은지에 대해 수없이 고민하다 이 책을 쓴 듯 하다. 그 외 용간편에는 反閒이라고 이중간첩 쓰는 법도 나와 있는 등 2,500년 전에 나온 책이라는 게 믿기지 않을 정도로 수준이 높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