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는 '남자'보다 '적금통장'이 좋다
강서재 지음 / 위즈덤하우스 / 2004년 6월
평점 :
품절


이 책을 쓴 작가만큼의 금액은 아니지만 나 역시 작가랑 같은 경험이 있기에 많은 공감(내용에 공감한다는 말이 아니고, 동병상련 차원의 공감)을 하며 읽었다. 그리고, 작가가 미련하다는 생각을 하지 않을 수가 없었다.

작가는, 예를 들어서 내가 한 달에 수입의 절반을 저축하면 1년 후 얼마가 될까하는 순차적 방식이 아니라 내가 1년 후 1,000원을 모으고 싶다면 한 달에 얼마씩 저축해야 하는 것일까?하는 역순환 방식이 필요하다고 했다. 이건 내가 왜 저축을 하는가에 대한 물음에 답을 가지고 있냐없냐가 좌우하는 문제이다. "왜 그만큼의 액수가 필요한가?" 라는 질문이 따른다면 작가가 말한 순차적 방식이 아닌 역순환 방식은 저절로 따라오게 된다. 작가는 어느날 뻥뚫린 통장을 보고 충격을 받아 그 공허함으로 저축을 위한 저축을 감행했다. 작가는 은행에 찾아가서 통장을 만들면서도 얼마를 저축해야할 지를 고민했다. 목표가 서지 않았던 저축이었기에 생겼던 일이 아닐까? 나이가 20살이 넘은 사람이 은행에 가서 통장 만들기를 헤맨다는 거 꼭 이런 목표가 섰냐 안 섰냐의 문제 말고도 우리 사회에 시사하는 바가 굉장히 큰 거다. 물론 현실은 이에 대해 무감각하지만. 개인적으로는 한국 사회가 이 점을 인식하는 순간이면 한국이라는 나라가 엄청난 발전을 할 거라고 생각한다.

각설하고, 그 돈을 모아서 뭘 하겠다는 건설적인 계획이 있어서 그렇게 먹고 싶은 것 못 먹고, 보고 싶은 영화 못 보고, 입고 싶은 옷 못 입고 모은 돈이면 나름대로 정당성을 갖는다. 그런데, 그 액수 그대로 다시 은행통장으로 골인할 돈이면서 그렇게 청승맞은(?) 생활을 하는 건 진짜 미련 그자체라는 생각만 든다. 단순 금액 불리기가 목표인 저축과 무엇을 하기 위한 목표가 서 있는 저축은 차원이 다르다. 창조적인 삶을 사는 사람의 건설적인 저축과 재산 불리기 차원의 단순 저축의 차이라고나 할까...

하지만 난 안다. 외국어 공부든, 내가 수행하는 일이든 처음부터 끝까지 내가 주체가 되어 이루어낸 일이 하나라도 있는 사람은 세상을 보는 눈이 확 달라진다는 것을. 이점에 있어선 비록 저축을 위한 저축이었더라도 작가는 1억을 만드는 저축 과정에서 얻은 게 많았던 걸로 보인다.

우리 사회가 어렸을 때부터 경제관념을 몸에 배이게 해서 저축이라는 거 자체가 일상에서 습관이 되어 있는 저축이라면 작가처럼 폭식하는 저축이 화제가 될 일이 없었을 거라고 생각한다. 또, 카드빚에 시달리고, 외국에 나가 싹쓸이 쇼핑하고, 능력도 안 되는 사람들이 명품에 휩쓸려 다니는 열풍을 낳았을까 그런 생각이 든다. 경제개념이라는 건 어느 한 순간에 몸에 배이는 게 아니다. 그런 차원에서 입시라는 이름 아래 유치원때부터 사교육이라는 미명하에 젊음을 공부와 씨름하며 보내야 하는 이땅의 젊은이들을 낳고 있는 현실과 용돈이 부모가 자식을 통제하는 수단으로 전락해 버린 현실을 반성해야 하지 않을까? 어렸을 때부터 용돈으로 부모한테 저당잡힌 인생을 살며 무엇 하나 스스로 계획하고 실현해 본 적이 없는 사람이 겪을 시행착오가 카드빚이니, 싹쓸이 쇼핑이니, 명품집착이니 이런 현실로 나타나는 거 아닐까?

 


댓글(2)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자그니 2004-09-29 16:47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음- 아마도 책 낼려고 ㅡ_ㅡa 열심히 저축했던 것은 아닐까요?

marine 2005-03-03 12:25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동감, 책 팔아서 돈 벌려고 저축한 걸로 보입니다 이런 류의 책이 베스트셀러가 되는 걸 보면 확실히 경제에 대한 불안감이 온 사회를 휘감고 있는 게 분명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