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준식의 생각
서준식 지음 / 야간비행 / 2003년 3월
평점 :
품절


1. 나의 아버지는 '낙관적으로 살라'는 말을 싫어하신다. 세상이 비관적이고 서민들의 삶이 지랄 같은데 마냥 낙관적으로 살라니. 나도 같은 생각이다. 그래서 훈훈하고 따스한 드라마들을 마냥 좋아하지만은 않는다. '그래도 세상은 아직 살만한 거야'라고 나에게 속삭이기 때문이다. 달라진 것은 아무 것도 없는데도 말이다. 작은 희망에서 삶의 위안을 발견하는 것도 소중한 것임은 분명하지만, 거세된 분노를 되찾는 것이 지금은 더 소중하게 느껴진다. 두터운 일상에 눌린 분노.

2. 하지만 나는 낙관적으로 살고 싶다. 쳇바퀴 같은 일상을 깨고 분노를 되찾았을 때, 희망과 더불어 그 분노의 힘으로 내가 생각하고 실천할 수 있게 되었을 때, 세상은 조금씩 변해갈 것이다. 세상은 변할 수 있고, 변화시킬 수 있다는 낙관.

3. 400여 쪽에 달하는 분량. 보통 사람들에게는 익숙치 않은 말들. 특별히 디자인이라고 할 만한 것이 없는 디자인. 친구와 소주 한 잔 나눌 수 있을 정도의 책값. 나는 이책을 사기 위해 집앞의 책방을 뒤졌고, 찾다 못해 점원에게 물었다. 한참을 해매다 찾은 그 점원은 '촌스런' 디자인과 '좋지 않은' 종이질 때문에 괜히 미안해했고, 나는 재생지가 환경적으로 좋다는 것과 이 책은 디자인이 중요한 책이 아님을 설명해야 했다. 이 책은 그런 대접을 받고 있었다.

5. '산뜻한 추상과 집단적 정열'이라는 '안락한 진보'와 '인간현실의 무한한 복잡성' 속에서 굳건히 지켜야 하는 진보. 많은 사람들이 학교를 졸업하면서 일상에 묻히는 것을 설명해주는 말이다. 나도 역시 다르진 않다. 적당히 진보적인 척, 아웃사이더인 척하기 참 쉽다. 하지만 시간이 지나면 참 낯뜨겁다.

'인간현실의 무한한 복잡성'이 새록새록 몸으로 느껴지는 요즘, 서준식씨의 말처럼 진보의 편에 서있기는 참 힘들다. 나는 앞서 말한 '분노'의 힘으로 버텨볼 생각이다. 그 분노가 주체할 수 없게 되었을 때, 나는 내가 할 수 있는 일을 찾았다. 참으로 하찮은 일이지만 나름의 의미를 찾는다. 그리고 그 틈을 조금씩 넓혀갈 생각이다. 그래서 언젠가 켜켜이 쌓인 나의 일상이 ‘쩍’하고 갈라질 때, 나는 다시 이 책을 꺼내 볼 것이다. 이 책은 나에게 ‘구체성으로의 회귀’와 ‘자생에의 정열’이라는 화두를 던져주었다.

책은 덮었지만 지하철을 타고 출근하는 오늘 아침에도 문득문득 서준식씨의 글귀가 떠오른다. ‘우리는 고난에 찬 이 분단시대를 올바르게 살아온 것일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네 이웃을 사랑하라 - 20세기 유럽, 야만의 기록
피터 마쓰 지음, 최정숙 옮김 / 미래의창 / 2002년 4월
평점 :
절판


...하지만 이웃은 사랑하지 않는다. 이 책을 고른 것은 제목 때문이었다. 그리고 거기서 야만을 보았다. 이 책에 나오는 야만적인 장면을 굳이 예를 들 필요는 없을 것 같다. 다만 내가 몸에 소름이 돋았던 것은 야만의 방식이다. 살인과 강간 역시 야만이기는 하나 인간의 악마적인 광기가 분출되는 것에 불과하다. 그보다 더 야만스러운 것은 인간 스스로 그러한 광기를 즐기는 것. 군인이 집에 들어온다. 군인은 딸을 강간하지 않는다. 아버지에게 딸을 강간하라 한다. 아버지는 차라리 죽이라고 한다. 군인은 아버지 대신 딸을 죽인다고 한다. 아버지는 딸을 강간한다. 아, 이를 어떻게 받아들여야 하나.

이 책을 읽는 것이 마냥 편안하지만은 않다. 단순히 내가 학살자들과 같은 인간이고 희생자들에게 연민을 느끼기 때문만은 아니다. 내가 할 수 있는 일을 찾지 못하기 때문이다. 저자인 종군기자 피터 마쓰는 그 야만의 현장을 전쟁포르노라 했다. 그리고 나는 그 포르노잡지를 몇 푼의 돈을 주고 사서 보는 것이다. 분노한다. 그리고 광기에 사로잡힌 인간들, 쓰레기만도 못한 자들을 욕한다. 그리고 전쟁이 끝나고 평화가 깃들기를 기원한다, 진정으로. 그리고 책을 덮는다. 그리고 생각한다. ‘다음엔 무슨 책을 보나?’

인류를 사랑하기는 쉬우나 이웃을 사랑하기는 어렵다 했다. 나 역시 다르지 않다는 것은 깨닫는 것은 꽤나 씁쓸한 경험이다. 내가 별 하나를 아껴둔 것은 사진 탓이다. 개인적으로 사진보다 글이 주는 힘을 믿는 편이기는 하지만 정도의 문제지 사진의 힘을 불신하는 것은 아니다. 때로 사진은 몇 마디 글보다 더 위력적일 수 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